본문으로 이동

매트로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조합론에서, '''매트로이드'''({{llang|en|matroid}})는 선형독립성을 공리화한 조합론적인 대상이다. == 정의 == '''매트로이드''' <math>(E,\mat...
(차이 없음)

2014년 1월 3일 (금) 13:58 판

조합론에서, 매트로이드(영어: matroid)는 선형독립성을 공리화한 조합론적인 대상이다.

정의

매트로이드 는 유한집합 와 그 부분집합들의 집합 로 구성된다. 여기서 의 원소들을 독립집합(영어: independent set)이라고 한다. 이 데이터는 다음 공리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공집합의 독립성) .
  • (독립성의 유전 영어: hereditary property) 독립집합의 부분집합은 독립이다. 즉, 만약 라면 이다.
  • (추가성 영어: augmentation property) 만약 이고 라면, 가 존재한다.

역사

해슬러 휘트니가 1935년 도입하였다.[1] 1938년에 일본의 나카사와 다케오(中澤 武雄)가 동일한 개념을 독립적으로 발견하였으나,[2][3][4][5] 크게 알려지지 못했다.

참고 문헌

  1. Whitney, Hassler (1935). “On the abstract properties of linear dependence”.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7 (3): 509–533. doi:10.2307/2371182. JSTOR 2371182. MR 1507091. 
  2. Nakasawa, Takeo (1935). “Zur Axiomatik der linearen Abhängigkeit I”. 《Science reports of the Tokyo Bunrika Daigaku A》 (東京文理科大学) 2: 235–255. 
  3. Nakasawa, Takeo (1936). “Zur Axiomatik der linearen Abhängigkeit II”. 《Science reports of the Tokyo Bunrika Daigaku A》 (東京文理科大学) 3: 45–69. 
  4. Nakasawa, Takeo (1936). “Zur Axiomatik der linearen Abhängigkeit III”. 《Science reports of the Tokyo Bunrika Daigaku A》 (東京文理科大学) 3: 123–136. 
  5. Nishimura, Hirokazu; Susumu Kuroda. 《A Lost Mathematician, Takeo Nakasawa: The Forgotten Father of Matroid Theory》. Springer. doi:10.1007/978-3-7643-8573-6. ISBN 978-3-7643-8572-9.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