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크로포사우루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미크로포사우루스

생물 분류ℹ️

미크로포사우루스(Microposaurus)는 트라이아스기 중기에서 후기까지 생존했던 짧은 주둥이를 가진 트레마토사우루스과의 혈통이다.[1] 속명의 뜻은 '작은 눈의 도마뱀'을 의미하며, 그리스어 (μικρός, '작은' + ὤψ, '얼굴' 또는 '눈' + σαῦρος, '도마뱀')이 합쳐져 만들어졌다.[2]

발견[편집]

미크로포사우루스의 두개골 화석

1923년에 E.C. 케이스 박사가 최초의 미크로포사우루스 표본을 발견했다. 발견 당시 두개골입천장이 위쪽으로 박혀 있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불행하게도, 두개골에는 이미 부서진 두개골을 손상시키지 않고는 제거할 수 없는 성분이 코팅되어 있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표본을 처음 조사할 때 나온 많은 특징들이 나중에 잘못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3]

특징[편집]

처음으로 발견된 미크로포사우루스는 트레마토사우루스과의 계통으로 분류되었다.[4] 표본에서 관찰된 일반적인 트레마토사우루스과의 특징은 안와가 두개골의 앞쪽 절반 내에 있었고, 안와후-전두엽 성장대가 존재했으며, 앞쪽 구개공공이 쌍을 이루었고, 접형돌기형이 있었다는 것이다. 성인 개체의 경우 안와는 작았고 두개골의 측면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했다는 것이다.[5]

각주[편집]

  1. Damiani, Ross (2004). “Cranial anatomy and relationships of Microposaurus casei, a temnospondyl from the Middle Triassic of South Afric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4 (3): 533–41. doi:10.1671/0272-4634(2004)024[0533:caarom]2.0.co;2. 
  2. Warren, Anne (2012). “The South African stereospondyl Microposaurus from the Middle Triassic of the Sydney Basin, Australi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2 (3): 538–44. doi:10.1080/02724634.2012.658934. S2CID 128842227. 
  3. Butler, Richard (2012년 11월 28일). “7km SE of Picton (Triassic of Australia)”. 《PaleoBioDB》. 2017년 3월 2일에 확인함. 
  4. Sébastien, Steyer (2002). “The first articulated trematosaur 'amphibian' from the Lower Triassic of Madagascar: Implications for the Phylogeny of the Group”. 《Palaeontology》 45 (4): 771–93. doi:10.1111/1475-4983.00260. 
  5. Scheyer, Torsten; Romano, Carlo; Jenks, Jim; Bucher, Hugo (2014). “Early Triassic marine biotic recovery: The predators' perspective”. 《PLOS ONE》 9 (3): e88987. doi:10.1371/journal.pone.0088987. PMC 3960099. PMID 24647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