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랑주 괄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라그랑주 괄호(Lagrange bracket)는 조제프루이 라그랑주고전역학을 새롭게 공식화 하면서 도입한 개념으로, 푸아송 괄호와 가까이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푸아송 괄호와 달리 더이상 자주 사용되진 않는다.

정의[편집]

(q1, …, qn, p1, …, pn)를 위상 공간정준좌표라 하자. 모든 정준좌표가 두 변수 u와 v로 표현 가능할 때, 라그랑주 괄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성질[편집]

  • 라그랑주 괄호는 정준좌표 (qi, pi)의 변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Qi, Pi)를 새로운 정준좌표라 하면,
정준변환이 되고, 이 변환에 대해선 라그랑주 괄호는 불변량이 된다. 즉,
이다. 때문에, 아래첨자로 표시된 정준좌표는 자주 생략되기도 한다.
  • Ω를 2n차원의 위상 공간 W의 심플렉틱 형식이라 하고 u1,…,u2n이 W상의 의 좌표라고 하자. 이 때, 정준좌표 (qi, pi)는 좌표 u에 대한 함수로 나타낼 수 있고, 아래의 라그랑주 괄호로 정의된 행렬
Ω텐서로 취급할 때의 좌표 u로 기술된 성분을 의미한다. 이 행렬의 역행렬은 좌표 u위에서 다음과 같은 푸아송 괄호 {·,·}로 정의된 행렬을 의미하게 된다.
이를 수식으로 쓰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δjk크로네커 델타이다.
  • 위의 성질에 대한 따름정리로 위상 공간의 좌표 (Q1, …, Qn, P1, …, Pn)이 정준좌표이면 좌표 사이의 라그랑주 괄호는
이 되며, 이 역 또한 참이다.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 Cornelius Lanczos, The Variational Principles of Mechanics, Dover (1986), ISBN 0-486-65067-7.
  • Iglesias, Patrick, Les origines du calcul symplectique chez Lagrange [The origins of symplectic calculus in Lagrange's work], L'Enseign. Math. (2) 44 (1998), no. 3-4, 257--277.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