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구시 갑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1950년~1963년
의원 수1인
이전 선거구대구부 갑
이후 선거구대구시 기 (1958년 분리)
대구시 중구

대구시 갑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경상북도 대구시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다.

역사[편집]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대구부 갑 선거구가 개편되면서 신설되었다.

제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칠성동, 산격동, 검단동 등의 지역들이 대구시 기 선거구로 분리되었다.

1963년 1월, 대구시에 구제가 실시되었다. 이에 대구시 갑에 해당하는 지역에 중구가 설치되었다. 이로 인해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대구시 중구 선거구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편집]

선거 정당 의원
1950년 무소속 조경규
1954년 민주국민당 서동진
1958년 무소속 신도환
1960년 민주당 서동진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상북도 대구시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조경규 무소속 8,335표
24.00%
당선
서동진 무소속 6,512표
18.75%
최희송 무소속 6,354표
18.29%
장영모 무소속 2,458표
7.07%
최윤동 민주국민당 2,052표
5.90%
이응수 무소속 1,952표
5.62%
권헌길 무소속 1,502표
4.32%
이재영 민주국민당 1,265표
3.64%
김한용 무소속 925표
2.66%
김성국 무소속 829표
2.38%
이병주 무소속 741표
2.13%
방한상 독립노농당 501표
1.44%
이팔수 무소속 408표
1.17%
엄익재 무소속 347표
0.99%
김종열 무소속 286표
0.82%
구입본 무소속 255표
0.73%
합계 34,722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상북도 대구시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서동진 민주국민당 21,211표
41.30%
당선
최희송 무소속 13,356표
26.00%
서석현 자유당 7,043표
13.71%
최성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4,301표
8.37%
송두환 무소속 2,634표
5.12%
김충학 민주국민당 1,160표
2.25%
김지현 무소속 1,097표
2.13%
이병군 무소속 548표
1.06%
합계 51,350표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상북도 대구시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신도환 무소속 15,623표
55.90%
당선
서동진 민주당 10,840표
38.78%
배은희 무소속 1,484표
5.31%
합계 27,947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경상북도 대구시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서동진 민주당 21,208표
73.79%
당선
최석채 사회대중당 7,530표
26.20%
합계 28,738표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