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석 동위 원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연계에 존재하는 주석안정 동위 원소는 10종으로 가장 많이 존재한다.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주석의 동위 원소는 99Sn에서 137Sn까지 존재한다. 이중 99Sn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동위 원소들 중 양성자의 개수가 중성자보다 더 많은 동위 원소들 중 가장 무거우며, 100Sn는 양성자가 중성자와의 개수가 동일한 동위 원소들 가장 무거우며, 이중 마법 수를 가지고 있다.

121m1Sn은 들떠 있지만 반감기는 43.9년이나 되어 중간 반감기 핵분열 생성물로 분류되며, 이들 중 가장 낮은 비율로 생성된다.

126Sn은 주석의 핵분열 방사성 동위 원소 생성물들 중 반감기가 가장 긴 23만년이며, 태양계 극 초창기에는 많이 존재했었지만 반감기가 짧아 이른 시기에 사라졌으며, 현재는 우라늄, 토륨의 자발핵분열 생성물로 자연계에 미량 존재하며, 원자로핵분열로 생성된다.

[편집]

핵자
Z(p) N(n)  
동위 원소 질량 (u)
 
반감기 붕괴
방식[1][n 1]
붕괴 생성
동위 원소[n 2]

스핀
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
범위
(몰 분율)
자연계에 존재하는
최대 범위
(몰 분율)
들뜬 에너지
99Sn[n 3] 50 49 98.94933(64)# 5# ms 9/2+#
100Sn[n 4] 50 50 99.93904(76) 1.1(4) s
[0.94(+54-27) s]
β+ (83%) 100In 0+
β+, p (17%) 99Cd
101Sn 50 51 100.93606(32)# 3(1) s β+ 101In 5/2+#
β+, p (극히 드묾) 100Cd
102Sn 50 52 101.93030(14) 4.5(7) s β+ 102In 0+
β+, p (극히 드묾) 101Cd
102mSn 2017(2) keV 720(220) ns (6+)
103Sn 50 53 102.92810(32)# 7.0(6) s β+ 103In 5/2+#
β+, p (극히 드묾) 102Cd
104Sn 50 54 103.92314(11) 20.8(5) s β+ 104In 0+
105Sn 50 55 104.92135(9) 34(1) s β+ 105In (5/2+)
β+, p (극히 드묾) 105Cd
106Sn 50 56 105.91688(5) 115(5) s β+ 106In 0+
107Sn 50 57 106.91564(9) 2.90(5) min β+ 107In (5/2+)
108Sn 50 58 107.911925(21) 10.30(8) min β+ 108In 0+
109Sn 50 59 108.911283(11) 18.0(2) min β+ 109In 5/2(+)
110Sn 50 60 109.907843(15) 4.11(10) h ε 110In 0+
111Sn 50 61 110.907734(7) 35.3(6) min β+ 111In 7/2+
111mSn 254.72(8) keV 12.5(10) µs 1/2+
112Sn 50 62 111.904818(5) 안정[n 5] 0+ 0.0097(1)
113Sn 50 63 112.905171(4) 115.09(3) d β+ 113In 1/2+
113mSn 77.386(19) keV 21.4(4) min IT (91.1%) 113Sn 7/2+
β+ (8.9%) 113In
114Sn 50 64 113.902779(3) 안정[n 6] 0+ 0.0066(1)
114mSn 3087.37(7) keV 733(14) ns 7-
115Sn 50 65 114.903342(3) 안정[n 6] 1/2+ 0.0034(1)
115m1Sn 612.81(4) keV 3.26(8) µs 7/2+
115m2Sn 713.64(12) keV 159(1) µs 11/2-
116Sn 50 66 115.901741(3) 안정[n 6] 0+ 0.1454(9)
117Sn 50 67 116.902952(3) 안정[n 6] 1/2+ 0.0768(7)
117m1Sn 314.58(4) keV 13.76(4) d IT 117Sn 11/2-
117m2Sn 2406.4(4) keV 1.75(7) µs (19/2+)
118Sn 50 68 117.901603(3) 안정[n 6] 0+ 0.2422(9)
119Sn 50 69 118.903308(3) 안정[n 6] 1/2+ 0.0859(4)
119m1Sn 89.531(13) keV 293.1(7) d IT 119Sn 11/2-
119m2Sn 2127.0(10) keV 9.6(12) µs (19/2+)
120Sn 50 70 119.9021947(27) 안정[n 6] 0+ 0.3258(9)
120m1Sn 2481.63(6) keV 11.8(5) µs (7-)
120m2Sn 2902.22(22) keV 6.26(11) µs (10+)#
121Sn[n 7] 50 71 120.9042355(27) 27.03(4) h β- 121Sb 3/2+
121m1Sn 6.30(6) keV 43.9(5) a IT (77.6%) 121Sn 11/2-
β- (22.4%) 121Sb
121m2Sn 1998.8(9) keV 5.3(5) µs (19/2+)#
121m3Sn 2834.6(18) keV 0.167(25) µs (27/2-)
122Sn[n 7] 50 72 121.9034390(29) 안정[n 8] 0+ 0.0463(3)
123Sn[n 7] 50 73 122.9057208(29) 129.2(4) d β- 123Sb 11/2-
123m1Sn 24.6(4) keV 40.06(1) min β- 123Sb 3/2+
123m2Sn 1945.0(10) keV 7.4(26) µs (19/2+)
123m3Sn 2153.0(12) keV 6 µs (23/2+)
123m4Sn 2713.0(14) keV 34 µs (27/2-)
124Sn[n 7] 50 74 123.9052739(15) 관찰 안정[n 9] 0+ 0.0579(5)
124m1Sn 2204.622(23) keV 0.27(6) µs 5-
124m2Sn 2325.01(4) keV 3.1(5) µs 7-
124m3Sn 2656.6(5) keV 45(5) µs (10+)#
125Sn[n 7] 50 75 124.9077841(16) 9.64(3) d β- 125Sb 11/2-
125mSn 27.50(14) keV 9.52(5) min 3/2+
126Sn[n 10] 50 76 125.907653(11) 2.30(14)×105 a β- (66.5%) 126m2Sb 0+
β- (33.5%) 126m1Sb
126m1Sn 2218.99(8) keV 6.6(14) µs 7-
126m2Sn 2564.5(5) keV 7.7(5) µs (10+)#
127Sn 50 77 126.910360(26) 2.10(4) h β- 127Sb (11/2-)
127mSn 4.7(3) keV 4.13(3) min β- 127Sb (3/2+)
128Sn 50 78 127.910537(29) 59.07(14) min β- 128Sb 0+
128mSn 2091.50(11) keV 6.5(5) s IT 128Sn (7-)
129Sn 50 79 128.91348(3) 2.23(4) min β- 129Sb (3/2+)#
129mSn 35.2(3) keV 6.9(1) min β- (99.99%) 129Sb (11/2-)#
IT (0.002%) 129Sn
130Sn 50 80 129.913967(11) 3.72(7) min β- 130Sb 0+
130m1Sn 1946.88(10) keV 1.7(1) min β- 130Sb (7-)#
130m2Sn 2434.79(12) keV 1.61(15) µs (10+)
131Sn 50 81 130.917000(23) 56.0(5) s β- 131Sb (3/2+)
131m1Sn 80(30)# keV 58.4(5) s β- (99.99%) 131Sb (11/2-)
IT (0.0004%) 131Sn
131m2Sn 4846.7(9) keV 300(20) ns (19/2- ~ 23/2-)
132Sn 50 82 131.917816(15) 39.7(8) s β- 132Sb 0+
133Sn 50 83 132.92383(4) 1.45(3) s β- (99.97%) 133Sb (7/2-)#
β-, n (0.0294%) 132Sb
134Sn 50 84 133.92829(11) 1.050(11) s β- (83%) 134Sb 0+
β-, n (17%) 133Sb
135Sn 50 85 134.93473(43)# 530(20) ms β- 135Sb (7/2-)
β-, n 134Sb
136Sn 50 86 135.93934(54)# 0.25(3) s β- 136Sb 0+
β-, n 135Sb
137Sn 50 87 136.94599(64)# 190(60) ms β- 137Sb 5/2-#

주해[편집]

  1. 약어:
    IT: 이성질핵 전이
  2.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3. 양성자가 중성자보다 더 많은 가장 무거운 핵자로 알려져 있다.
  4. 양성자와 중성자가 동일한 개수를 가진 가장 무거운 핵자로 알려져 있다.
  5. β+β+ 붕괴를 통해 112Cd으로 붕괴할 수 있다.
  6. 이론상으로 자발 핵분열을 할 수 있다.
  7. 핵분열 생성물
  8. β-β- 붕괴를 통해 122Te으로 붕괴할 수 있다.
  9. β-β- 붕괴를 통해 124Te으로 붕괴할 수 있으며 반감기는 1027 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10. 긴 반감기를 가진 핵분열 생성물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