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
Ministry of Foreign Affairs, DPR KOREA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外務省
약칭 외무성
설립일 1948년 9월 8일
역할 외교정책 수립 및 집행
소재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
외무상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미상
상급기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산하기관 군축평화연구소, 미국연구소, 일본연구소
웹사이트 www.mfa.gov.kp/

외무성(外務省, Ministry of Foreign Affairs)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중앙 행정기관이다.

상세[편집]

외교 정책의 수립 및 시행, 조약 기타 국제 협정에 관한 사무 관장, 재외국민의 보호 지원, 문화협력 및 대외공보 사무 관장, 국제사정 조사 및 이민사무를 관장한다. 평양시 중구역 중성동에 위치해 있다.[1][2]

조직 체계에 있어서, 한 명의 과 일곱 명의 부상이 있으며, 때로는 제1부상직을 병행하고 있다. 제1부상을 제외하고, 각 지역국에서 한명씩 부상을 두고 있다. 순수하게 외교 및 영사 업무만 담당하고 있으며, 비슷한 맥락의 업무인 대외 경제 관련 외교 정책의 수립 시행 및 종합 조정은 대외경제위원장이, 무역 및 외국과의 통상과 통상 교섭 업무는 무역상이 관장한다. 무역 관련 업무는 장관급인 대외경제위원장, 무역상을 따로 두며, 이들은 각각 대외경제위원회 및 무역성에서 활동한다.

폐쇄적인 북한에서 가장 대외적으로 잘 알려진 부서이기도 하다. 특히 해외공관에 상주하는 북한 외교관들은 현지 언론에 노출되거나, 인터뷰, 그리고 국제회의 참석 등을 통해서 모습을 보인다. 이들은 북한의 외교정책의 당위성을 강조하거나, 국제사회 및 남한의 다양한 문제 제기에 대하여 대응하는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연혁[편집]

조직[편집]

기능 중심 산하 국[편집]

  • 보도국
  • 영사국
  • 조약법규국
  • 의례국
  • 국제기구국

기타 주요부서들[편집]

  • 보도국
  • 령사조약법규국(영사조약법규국)
  • 의례국
  • 국제기구국
  • 경제협조국

재외 공관 담당[편집]

산하 연구소[편집]

  • 군축 및 평화연구소
  • 미국연구소
  • 일본연구소

후원 민간 단체[편집]

  • 조중민간교류촉진협회
  • 조미민간교류협회
  • 조선-캐나다 협조사
  • 조일교류협회
  • 조선-유럽협회
  • 국제경제 및 기술교류촉진협회

역대 상, 부상[편집]

역대 외무장관[편집]

1기
  • 1대 박헌영 (1948년 9월 2일 - 1953년 8월 2일)
  • 2대 남일 (1953년 8월 2일 - 1957년 9월 9일)
2기

역대 외교상[편집]

1기
  • 허담 (1977년 12월 8일 - 1983년 12월 8일)
2기
  • 리수용 (2009년 9월 9일 - 2010년 4월 8일)
  • 박의춘 (2010년 4월 8일 - 2014년 4월 9일)

역대 외무상[편집]

1기
  • 3대 남일 (1957년 9월 9일 ~ 1959년 10월 11일)
  • 4대 이상조 (1959년 10월 11일 ~ 1959년 10월 25일)
  • 5대 박성철 (1959년 10월 25일 ~ 1962년 10월 22일)
  • 6대 이상조 (1962년 10월 23일 ∼ 1967년 12월 16일)
  • 7대 박성철 (1967년 12월 16일 ∼ 1970년 7월 8일)
  • 8대 허담 (1970년 7월 8일 ~ 1970년 11월 18일)
2기
  • 허담 (1972년 7월 20일 - 1977년 12월 8일)
3기
4기
  • 리수용 (2014년 4월 9일 - 2016년 5월 9일)
  • 리용호 (2016년 5월 9일 - 2019년 12월 29일)
  • 리선권 (2019년 12월 29일 - 2022년 6월 10일)
  • 최선희 (2022년 6월 10일 - 현직)

외무성 부상[편집]

1기
2기
3기
4기

외무성 수석부상[편집]

1기

외무성 차석부상[편집]

1기
2기

역대 외무성 제1부상[편집]

1기
2기

역대 외무성 제2부상[편집]

1기
  • 송호경 - 1984년 3월 22일 ~ 1987년 7월 8일
2기
  • 강석주 - 1989년 7월 6일 ~ 1998년 9월 1일

각주[편집]

  1. “웜비어 사망 3주기...모친 “북한 불법 활동 최대한 폭로””. 2020년 6월 20일. 2024년 5월 26일에 확인함. 
  2. “北, 외무성 공식 홈페이지 개설..."내부 조직, 담당 부서 '11국 3연구소' 공개". 2017년 6월 22일. 2024년 5월 26일에 확인함. 
  3. 중국, 일본, 몽골을 담당
  4. 베트남, 미얀마, 태국, 필리핀, 라오스, 말레이시아, 캄보쟈, 싱가포르, 브루네이, 네팔, 이란, 인디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몰디브, 스리랑카, 아프가니스탄,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피지, 파푸아 뉴기니, 나우루, 바누아투 등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나라들. 아세안 및 남아시아 협력기구 담당
  5.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타키키스탄, 몰도바,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 그루지야
  6. 서유럽, 남유럽, 북유럽 국가 전반
  7. 미국, 캐나다
  8. 아프리카, 중동, 중남 아메리카 국가 전반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