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인도 번왕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도 번왕국(藩王國, Indian princely state)이란 영국령 인도 제국에서 영국 정부가 직할 통치하지 않고 각 지역 제후들을 그대로 군주로 삼아 다스린 소규모 군주국들이다. 인도에는 지방에 많은 제후국이 있었는데, 영국이 진출하면서 그 수를 감축하여, 영국 통치기에는 500여 개의 제후국이 있었다. 영국은 이 제후들을 직할령(直轄領)으로 삼지 않고 간접통치를 하여, 내정 권한만을 주었다. 번왕국의 규모는 크면 인구 1600만의 하이데라바드 번왕국으로부터, 작으면 면적 1.65km2, 인구 82명(1941년)의 빌바리(Bilbari) 번왕국까지 다양했다.

독립 이후에는 번왕국 대부분이 인도, 일부는 파키스탄에 귀속하여(카슈미르는 제외) 소멸하였다.

인도에서는 1947년 독립 선포 직후 번왕국 대부분이 공화국에 가입하며 소멸하였으나, 일부 번왕국의 수장이 통합을 거부하여 무력으로 강제 합병한 곳도 있었다. 인도 중부 내륙에 위치한 하이데라바드국은 인구 대부분이 힌두교도였으나 통치자인 니잠은 무슬림이었는데, 멀리 떨어진 영토 탓에 파키스탄 가입이 좌절되자 독립을 선포하였고, 이에 반대한 인도가 1948년 9월 폴로 작전 하에 하이데라바드로 침공하여 합병하였다.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은 인구 대부분이 무슬림이었으나 통치자는 힌두교도였고, 초기에 독립을 유지하려 하였으나 봉기가 일어나고 파키스탄의 침공 위기가 커지자 인도와 손을 잡았다. 이에 따라 파키스탄과 인도가 잠무 카슈미르의 일부를 각각 점령하고 전체의 영토를 주장하여 카슈미르 분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편 파키스탄에는 독립 당시 13개의 번왕국이 있었는데(모두 서파키스탄에 있었다) 이들은 1948년까지 모두 통합 및 합병되었으나 그 과정에 반발하며 일어난 반란이 발루치스탄 분쟁의 씨앗이 되었다.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