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음력 6월 9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음력 6월 9일음력 6월의 9번째 날이다.

- 갑진년 6월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작은달 (30일 없음)
첫날: 2024년 7월 6일
끝날: 2024년 8월 3일

모두 보기

사건[편집]

  • 1421년 - 조선 세종 3년, 왜관(倭館)에서의 밀무역을 단속하다.
  • 1433년 - 조선 세종 15년, 정초(鄭招)·박연(朴堧)·김진(金鎭) 등이 새로 만든 혼천의(渾天儀)를 올리다.
  • 1481년 - 조선 성종 12년, 평안도 의주(義州) 지방에 성을 쌓고 관문(關門)을 두다.
  • 1526년 - 조선 중종 21년, 평안도에 큰비가 내려 1,500 토지의 곡식이 손상되다.
  • 1573년 - 조선 선조 6년, 전라도 낙안(樂安) 땅의 금오도(金鰲島) 수토장(搜討將)이 왜선(倭船)과 만나 싸우다.
  • 1638년 - 조선 인조 16년, 몽골에서 소를 구입하여 평안도에 나누어 주어 농사짓는 데 도움이 되게 했다.
  • 1643년 - 조선 인조 21년, 한성부경상도의 대구(大丘)·안동(安東)·김해(金海)·영덕(盈德)·울산부(蔚山府) 등과 전라도에서 지진이 있었고, 전라도 화순현(和順縣)·영광군(靈光郡)에서는 벼락이 쳤다.
  • 1731년 - 조선 영조 7년, 전염병으로 경상도에 환자 1,915명과 사망자 325명, 충청도 환자 1,050명과 사망자 378명이 발생하다.
  • 1788년 - 조선 정조 12년, 강릉의 엽치군(獵雉軍, 꿩 사냥꾼)을 공납의 폐단이 있다는 이유로 폐지하다.
  • 1882년 - 조선 고종 19년, 임오군란이 일어나다.

문화[편집]

  • 1402년 - 조선 태종 2년, 하륜이 근천정(覲天庭)·수명명(受明命) 등 악장(樂章)을 짓다.
  • 1432년 - 조선 세종 14년, 집현전에서 《삼강행실(三綱行實)》을 편찬하다.
  • 1699년 - 조선 숙종 25년, 《국조보감(國朝寶鑑)》과 《여지승람(輿地勝覽)》을 편찬케 하다.
  • 1739년 - 조선 영조 15년, 동관왕묘(東關王廟)를 중수하고 관원을 보내어 치제(致祭)하다.

탄생[편집]

사망[편집]

기념일, 연중행사[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