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율봉서원

율봉서원
(栗峰書院)
대한민국 순천시 (전라남도)향토유적
종목향토유적 제12호
(2015년 7월 3일 지정)
수량일원
위치
순천 율봉서원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순천 율봉서원
순천 율봉서원
순천 율봉서원(대한민국)
주소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725-1번지
좌표북위 34° 52′ 57″ 동경 127° 28′ 20″ / 북위 34.88250° 동경 127.47222°  / 34.88250; 127.47222

율봉서원(栗峰書院)은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에 있는 서원이다. 2015년 7월 3일 순천시 (전라남도)의 향토유적 제12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율봉서원은 1824년에 건립 되었다. 1868년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철폐된 후 지금 서원이 바라보는 남서쪽 약 320m정도 떨어진 곳에 기단과 그 위에 놓여진 비만 남아 있어 그 맥을 유지하고 있었다. 1948년 해방 후 현재의 위치에 복설, 지금까지 보수 및 수리가 이루어졌다.[1]

삼강문은 1707년도에 원래 열녀비가 있던 터에 정숙․정승조 부자가 정유재란 때 순절한 임란공신(선무원종2등의 쌍충)임을 인정, 1804년 쌍충 정려가 내려지자 이때 3칸의 삼강문으로 합쳐 세워졌다. 1982년 현재의 터로 이전되었다.[1]

율봉서원 및 삼강문과 과련된 기록은 『강남악부』「작호행」에 1633년(인조 11) 정숙의 자부(승호 처) 동복오씨의 열녀정려 세워졌다고 기록되었다.[1]

순천부 유학 이덕붕(李德鵬) 등 가전상언(駕前上言)에 의하면, 1804년(순조 4) 정숙(1556~1598)·정승조(1573~1598) 쌍충정려 및 정숙의 7세손 효원(孝元)과 처 성씨(成氏)의 쌍효 정려명이 내려지자 그 해 12월에 충․효․열의 삼강문 세워졌다는 기록이 있다.[1]

외삼문이 강당과 중심축에 놓이고 사우건물로 진입할 수 반드시 강당을 거치고 사당에 진입할 수 있는 서원은 경북의 역동서원(1570) 밖에 없는 것으로 보아, 율봉서원 또한 서원의 배치유형 면에서 과정적 공간이 잘 나타나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1]

율봉사인 사우건물이 단 차이와 동선의 흐름체계에 의해 위계성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배향자의 정려각이 율봉서원의 일부가 됨으로 서원의 사우중심형 건물의 상징적 구심점이 더욱 부각되어 나타난다.[1]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