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유화 (속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화(Propitiation)는 속죄 교리에서 죄를 덮는다, 혹은 마음을 풀어준다는 의미이다. 하나님의 보복이나 진노를 피하기 위해 하나님의 선처를 바라거나 마음을 풀어주는 행동을 말한다.

성경적 근거[편집]

로마서 3:25에 유화는 그리스어로 '힐라스리온'로 문자적의미는 '언약궤'의 뚜껑을 의미한다. 히브리서 9장 5절에는 속죄소로 번역된다.

요한일서 2:2에는 우리의 죄의 화목제물이 되었다고 말한다.

공동기도문[편집]

성공회의 1979년도 발행된 공동기도서에는 화목제물이 '완전한 제물'로 바뀌었다.

개혁주의 신학[편집]

C.H. 다드는 '힐스테리온'을 유화(propitiation)로 번역하지 않고, 속죄(expiation)로 번역하자는 주장을 하였다.

속죄(expiation)은 죄를 취소한다는 뜻이며, 다드는 신약성경번역을 할 때, 하나님의 진노를 강조한 유화보다 속죄의 사용을 주장하였다.[1]

개혁주의 신학자들은 이 용어 사용을 매우 강조한다. 왜냐하면, 이 단어가 가진 하나님의 진노에 대한 연관성 때문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Reymond, Robert L. (1998). 《A new systematic theology of the Christian faith》. Nashville: T. Nelson. 636쪽. ISBN 0-8499-13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