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식읍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식읍(食邑) 또는 식봉(食封)은 동아시아에서 나라에서 공신이나 왕족에게 내리던 토지와 가호이다. 흔히 “땅을 주었다”라고 여기기도 하나, 녹읍과 마찬가지로, 소유권은 여전히 나라에 속하였고, 녹읍을 받은 이는 그 땅의 조세와 함께 노동력을 징발할 수 있을 뿐이었다. 다만 녹읍과는 달리 봉작과 함께 상속할 수 있었다.

중국의 식읍[편집]

공신에게 내리던 채읍(采邑). 봉작과 함께 대대로 상속되었다. 단순히 수조권을 가졌으며, 실질적 지배권은 인정되지 않았다. 진(秦)·한(漢) 때부터 원나라 때까지 이어졌다.[1]

한국의 식읍[편집]

532년(신라 법흥왕 19) 금관국(金官國:駕洛)의 김구해(金仇亥)가 신라에 내항(來降)하자 이를 금관군(金官郡)으로 격하하고 예민(隸民)과 함께 식읍을 내린 일이 식읍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며, 그 뒤 고려와 조선 초기까지 이어졌다.[1]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식읍〉. 《엔싸이버 백과사전》. 2008년 7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