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Mizzzzzzzzzi/연습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투썸플레이스
A Twosome Place
형태개인기업
창립2002년
산업 분야음식점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웹사이트https://www.twosome.co.kr:7009/main.asp
투썸플레이스(A Twosome Place)는 CJ그룹의 디저트 카페 프랜차이즈 기업이다. 투썸플레이스는 매장에서 직접 만드는 케이크와 샌드위치를 제공하는 디저트 카페로 대한민국에서 매출액 2위를 자랑하고 있다. 2002년 신촌점을 시작으로 2009년부터 가맹사업을 시행해 1년만에 100호점을 돌파하며 현재 대한민국에서 1000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02년부터 200여개의 디저트를 선보이며 '프리미엄 디저트카페'로 자리잡아왔다. 현재 2018년 투썸플레이스 전속 모델로는 김태리가 발탁되었다. 

투썸플레이스 의미[편집]

  • SMALL INDULGENCE '나만의 즐거움을 만날 수 있는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라는 의미로
'A'CUP OF COFFEE(따스한 한 잔의 커피가 있는), 'TWO' OF US (우리가 함께 하는), 'SOME' DESSERT (눈과 입이 즐거운 색다를 디저트를 즐기는), 'PLACE'(작은 사치를 누릴 수 있는 행복한 공간) 라는 의미를 가진 카페이다.[1]

연혁[편집]

2002년 투썸플레이스 브랜드 론칭(1호점 신촌점)으로 시작해 2009년 가맹사업을 시작했다. 2010년에는 100호점 돌파함과 동시에 BI를 리뉴얼했다. 2011년은 국내가 아닌 중국에서 새로운 가맹점 1호점을 오픈했다. 투썸플레이스는 매년 100개 가까운 수의 가맹점이 생겨났고 2012년에는 첫 복합 매장으로 중국리두에 오픈을 했다. 2016년에는 원두를 로스팅하는 과정과 콜드브루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직접 볼 수 있는 공간과 스폐셜커피와 디저트를 즐길 수 있는 현대인을 위한 플래그십 스토어인 로스터리카페를 신논현점에서 오픈했다. 현재 꾸준한 성장으로 국내에서 1000개의 매장과 해외 45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다.[2] 한국에서 스타벅스를 제외한 가맹점 매출수익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또한 같은 CJ계열사인 CGV 내에서도 투썸플레이스를 만나 볼 수 있다.

투썸플레이스의 제품.[3][편집]

COFFEE[편집]

'투썸의 원두' 투썸의 원두는 중남미의 원두를 사용한다.

'블렌딩과 로스팅' 투썸에는 오리지널 블렌드와 스페셜 블렌드로 두가지의 블렌드를 가지고 있다. 오리지널 블렌드는 다크 로스팅을 통해 깊고 진한 초콜렛티한 풍미로 원두의 풍미가 강조된 원두이고, 스페셜 블렌드는 향미 손실을 최소화 하여 과일향과 꽃향으로 오리지널 블렌드보다 가벼운 바디감과 산뜻함을 즐길 수 있는 원두이다. 소비자들은 투썸에서 두 가지 종류의 커피를 즐길 수 있다.

DESERT[편집]

투썸의 디저트 종류는 케이크, 마카롱, 초콜릿, 아이스크림이 있다. 케이크는 홀 케이크 뿐만 아니라 조각케익도 판매중이다. 그 중 시그니처는 스트로베리초콜릿생크림 케이크(STRAWBERRY CHOCOLATECAKE)와 티라미수(TIRAMISU)이다.

TWG TEA[편집]

투썸플레이스는 2040 고객층을 중심으로 차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현상을 보고 커피 전문접 업계 최초로 TWG와 독점 계약을 맺었다. TWG TEA는 명품 차로 알려진 마니아층이 두터운 것으로 유명하다. 본사는 싱가포르에 있으며 국내에서는 5성급 호텔과 백화점 명품관 등 한정된 공간에서만 판매하는 고급 차 브랜드이다. 투썸플레이스에서는 '잉글리시 블랙퍼스트', '1837블랙티', '크림카라멜', '프렌치 얼그레이', '레드자스민' 으로 총 5가지 항목을 판매 중이다. [4]

전 메뉴 소개[편집]

'ESEPRESSO' 에는 에스프레소(싱글,더블),에스프레소 콘 파나(싱글,더블), 에스프레소 마키아또(싱글,더블), 아메리카노(HOT/ICE), 라떼(HOT/ICE), 카푸치노, 카페모카(HOT/ICE),바닐라라떼(HOT/ICE),카라멜 마키아또(HOT/ICE), 화이트모카(HOT/ICE), 숏라떼(ICE), 롱블랙(HOT/ICE), 콜드브루, 콜드브루 라떼, 플로팅라떼, 티라미스라떼, 니트로 콜트브루, 니트로 콜드브루 라떼, 콜드부르 토닉, 시그니처 라떼, 오렌지 블라썸 라떼, 더블브루(HOT/ICE)가 있다.

'DRINK' 에는 스트로베리 초콜릿 라떼, 스트로베리 라떼, 자몽에이드, 라즈베리에이드, 오렌지에이드, 라임레몬에이드, 오렌지자몽주스, 키위바나나주스 가 있다. 이 제품들은 모두 아이스만 가능하다.

'BLENDED FRAPPE'에는 로얄밀크티 쉐이크, 스트로베리 피치 프라페, 커피쉐이크, 초코쉐이크, 바닐라쉐이크, 유자프라페, 요거프라페, 모카칩프라페, 카라멜프라페, 그린티프라페, 망고프라페 가 있다.

'TEA' 에는 리프레싱 스트로베리 아이스티, 루이보스 크림티, 라즈베리 아이스티, 허니레몬 아이스티, TWG TEA(HOT/ICE), 오렌지 자몽티, 고구마라떼, 유자레몬티, 로얄밀크티, 버블밀크티, 버블 그린티라떼, 초콜렛티(HOT/ICE), 그린티라떼(HOT/ICE), 마샬라 차이라떼 가 있다.

'CAKE' 케이크는 무스케이크와 생크림케이크로 분류된다. 무스케이크에는 러브시그널, 바닐라크렘브륄레, 까망베르치즈, 밀키베리하트, 벨지안 멜팅 가나슈,그뤼에르치즈무스, 뉴욕치즈, 트리플초콜릿무스케이크, 캐롯케이크, 레드벨벳케이크, 블랙포레스트, 클래식가토, 마스카포네 티라미수 가 있다.

생크림케이크에는 기프트박스, 로즈베리생크림케이크, TWG로얄밀크티쉬폰, 더치솔티드카라멜, 커피생크림, 요거생크림1호, 스트로베리초콜릿생크림케이크, 마스카포네생크림케이크[믹스드베리, 멜론, 자몽&오렌지], 요거생크림 2호, 요거생크림 3호, 리얼 생크림1호, 요거하트 , 블루베리 쉬폰케익, 리얼생크림 3호 , 장미요거생크림, 초코쉬폰케익이 있다.

DESERT'에는 크렘슈(초콜렛, 바닐라), 생크림피칸타르트(피스&홀케익), 생크림소프트쉬폰, 러브시그널, 아이스박스마카롱, 마카롱초코롱SET, TWG얼그레이 마카롱, 바닐라 크렘브륄레, TWG로얄밀크티쉬폰, 더치솔티드카라멜, 까망베르치즈케이크, 커피생크림, 밀키베리무스, 떠먹는 스트로베리초콜릿생크림, 떠먹는 티라미수, 떠먹는 딸기레어치즈, 벨지안가나슈, 로즈베리생크림, 아이스박스, 스트로베리요거타르트, 뉴욕치즈케이크, 그뤼에르치즈무스, 트리플초콜릿 무스케이크, 더블초콜릿머핀, 라즈베리초코칩머핀, 오리지널블루베리머핀, 다크초콜릿쿠키, 피넛버터쿠키, 에클레어(바닐라, 초콜릿), 블랙포레스트, 산딸기마카롱, 그린티마카롱, 벨지안초콜릿마카롱, 블루베리마카롱, 마카롱세트(12개입), 마카롱세트(6개입), 레드벨벳 케이크, 캐롯케이크, 딸기요거, 클래식가토가 있다.

'CHOCOALTE' 미니 생초콜릿(그린티,다크), PABLO다크초콜릿, 생초콜릿(그린티,다크), 초코롱세트12개입, 초코롱세트8개입, 초코롱세트4개입, 초코롱 프랄리네, 초코롱바닐라, 초코롱 피스타치오, 초코롱 오렌지, 초코롱 산딸기, 초코롱 바나나가 있다

'ICE CREAM' 소프트아이스크림(콘,컵), 아포카토(블랙티, 그린티, 바닐라)가 있다

'빙수' 콜드부르케이크빙수, TWG블랙티 빙수, 레몬셔벗 오미자빙수, 오리지널 팥빙수 를 판매 할 계획이다.

'SANDWICH' 핫치킨베이크, 불고기베이크, 치킨오믈렛 샌드위치, 카프리제 샌드위치, 토마토모짜렐라랩, 시저치킨랩, 올리브치킨파니니, 쿠바노파니니, 칠리소시지 바게트 샌드위치, 할라피뇨 스테이크 바게트 샌드위치, 멜팅치즈깜파뉴 토스트, 햄&치즈 퀘사디아, 페스토 햄치즈 파니니, 멕시칸파니니, 토마토에그 샌드위친, 크로크무슈, 바베큐치킨파니니, B.E.L.T 샌드위치, 토마토모짜렐라, 레몬치킨클럽이 있다

'SALAD' 건강한컵 리프레쉬, 스트로베리 시트론샐러드, 카프레제 발사믹 샐러드, 사이드 샐러드, 카프레제 샐러드, 콥 샐러드, 그릴드 치킨 시저 샐러드, 리코타치즈올리브 샐러드, 허브 치킨 가든 샐러드가 있다.

'BEYKARY' 쇼콜라쿠키, 크렌베리쿠키, 화이트버터쿠키, 얼그레이파운드, 후르츠파운드, 토마토베이컨블루밍 브레드, 6치즈 블루밍브레드, 스윗버터 토스트, 스윗버터 토스트 위드베리가 있다.

매출현황[편집]

지난해(2017)년 투썸플레이스가 국내 대형 커피점 중 최다 출점을 하였다. 2016년부터 2018년 현재 까지 798개의 점포 수에서 950개, 총 152개의 점포수가 늘어났다. 그 전 년도와 비교해 보아도 매년 100개 이상의 점포수가 늘어나고 있다. 2015년말 조사에 따르면 투썸플레이스는 4억 8300만원으로 조사대상 10곳 중 가맹점 연평균 매출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5]투썸플레이스의 매출은 직영점만 운영하는 스타벅스를 제외하고는 국내 카페 매출순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2014년 TWG를 도입 한 후에는 매출이 60%이상 확대되었다.[6] 또한 이번년도 2월에 1300억원 지분을 보통주에 매각한 후 신주발행을 통해 500억원 자금조달을 하며 총 1800억원의 해외투자를 실현하였다.[7]

성공전략[편집]

  1. 투썸플레이스는 2002년부터 15년간 속도보다는 방향측에 초첨을 맞춰 차근차근 성장하는 모습의 경영전략을 펼쳐왔다 .[8]
  2. 투썸플레이스는 15년만에 CJ푸드빌에서 독립,책임 경영체제를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독립법인으로 분리되었다. 회사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던 투썸플레이스에게 마케팅과 연구개발을 위한 지원을 집중투자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9]
  3. 초기부터 주장하던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라는 타이틀 처럼 2002년부터 현재까지 200여개의 디저트(초콜렛, 케이크, 샌드위치 등)를 선보이고 있으며 '원두이원화' 전략으로 고객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10]
  4. (사)한국인터넷소통협회에서 3개월간 소비자와 소통지수를 기반으로 한 소통 경쟁력 가치를 측정한 빅데이터가 있다. 그 결과 투썸플레이스는 고객 반응도가 높고 적절한 이벤트와 제품을 통해서 가장 많은 소비자의 참여를 이끌어 낸 바로 알려져 있다.[11]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