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놋다리밟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놋다리밟기한국에서 세시 풍속으로 하는 놀이의 하나이다.

놋다리밟기는 일명 기와밟기라고도 하며, 주로 안동·의성 등지에서 젊은 부녀자들 사이에서만 행해진다. 해마다 음력 정월 보름날 달밝은 밤에 몸치장을 한 젊은 여자들이 일정한 장소에 모여 얼마 동안 흥이 나서 논다. 그렇게 하여 많은 사람이 모이면 모두 일렬로 늘어선 다음, 허리를 구부리고 뒷사람은 앞사람의 허리를 두 손으로 붙들어 껴안고, 그 뒷사람도 수십명이 모두 그렇게 한다. 그 다음 한 소녀로 하여금 올라서게 하고, 양쪽에 각각 한 사람씩 붙어 서서 그 소녀의 손을 잡고 놋다리밟기 노래를 부르면서 밤 늦도록 논다.

어떤 학교 운동회에서 하는 종목 이기도 하다.

유래 이 놀이의 유래는 지금으로부터 600여 년 전 고려 공민왕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홍건적이 쳐들어 왔을 때 왕은 노국공주와 함께 개경(開京)을 떠나 청주를 거쳐 안동 지방에 파천(播遷)했다. 그때 그곳의 부녀자들이 모두 나와서 공주가 시내를 건널 때 사람 다리를 놓아 건너게 하였던 것인데 그 뒤 공민왕이 개경으로 환궁(還宮)하자 안동 지방의 부녀자들이 정월 보름날 달밝은 밤을 택하여 하나의 연중행사로서 놀이를 한 것이었다. 그것이 뒷날 이 지방 특유의 풍속이 되었던 것이다.[1]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