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김영하 (1878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영하(金榮夏)
출생1878년 음력 9월 19일
조선 전라도 화순군 도암면 도장리
사망1920년 양력 4월 1일
성별남성
본관진주김씨(晉州金氏) 회헌공파 능주종중
경력대한광복회 단원

김영하(金榮夏, 1878년 9월 19일 ~ 1920년 4월 1일)는 김용상 (1858년) 선생의 제자이자 조카로서 경술국치 이후 대한의 국권회복을 위해 1917년 전남 일대의 자산가들을 대상으로 독립운동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던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다.

생애[편집]

독립운동자금 모금 활동[편집]

경술국치 이후 국권회복을 위해 기회를 모색하던 중 1917년경 뜻을 같이하는 김교락(金敎洛)·양재홍(梁在鴻)·문재교(文在敎)·정동근(鄭東根)·고성후(高成厚) 등과 동지적 결합을 맺고 우선 독립운동에 필요한 군자금 모집활동을 폈다. 이후 이들은 나주(羅州)·함평(咸平)·화순·순천(順天) 등 주로 전남지역에서 자산가들을 대상으로 1년여동안 십여 차례에 걸쳐 천여원의 군자금을 수합하면서 조직을 확대해 갔다. 그러던 중 일경에 피체되어 1918년 12월 광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0년형을 언도받고 항소했으나 1919년 3월 대구복심법원에서 10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1]

경력[편집]

대한광복회 단원[2]

서훈[편집]

건국포장(1980년)

건국훈장 애국장(1990년)[3]

가족 관계[편집]

김용상 (1858년) 숙부

각주[편집]

  1. “김영하 - 디지털화순문화대전”. 2021년 4월 20일. 202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2. “독립운동가 - 디지털화순문화대전”. 202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3. “공훈전자사료관”. 202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