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월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강월도
작가 정보
본명강욱(姜旭)
출생1936년 2월 22일(1936-02-22)
사망2002년 8월 21일(2002-08-21)(66세)
국적대한민국
장르

강월도(姜月道, 1936년 2월 22일~2002년 8월 21일)는 대한민국의 극작가, 시인, 철학 교수, 문학 평론가수필가였다.

생애[편집]

서울대학교 문리대 영문과 1학년 재학 중 중퇴 이후 도미,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2년 뉴욕 오프 브로드웨이 《라마마 극장》에서 한국인 극작가 최초로 연극 《머리 사냥》을 공연했다.[1] 1988년 귀국하여 한성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극작가 겸 시인으로 활동했다. 2000년부터 파킨슨병으로 투병하다 2002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2][3]

약력[편집]

학력[편집]

주요 경력[편집]

저서[편집]

시집《태양을 위한 환상》 (시집), 공동문화사, 1954 [4][편집]

  • 《욕망, 그 가면극》 (시집), 일선기획, 1990
  • 《육체의 대화》 (시집), 혜화당, 1994
  • 《자유 변주곡》 (시집), 한국시문화회관, 1998
  • 《사랑무한》 (시집), 늘봄, 1999
  • 《마지막 유혹》 (시집), 우리글, 2001
  • 《욕망과 희비극》 (시집), 우리글, 2001

희곡[편집]

  • 《어쩐지 돌연변이》 (희곡), 도서출판 예나, 1988
  • 《뻔데기전》 (희곡), 예니, 1990
  • 《이승의 죄 - 뉴욕에 사는 차이나맨의 하루》 (희곡), 예니, 1991
  • 《향연, 사랑의 신 에로스에게》 (희곡), 예니, 1993
  • 《학이여, 노래하라》 (희곡), 꿈과 시, 1993년 10월호
  • 《인조 인간》 (희곡), 예니, 1994
  • 《바퀴벌레》 (희곡), 순수문학, 1994년 8월호
  • 《박덩이 로맨스》 (희곡), 예니, 1995
  • 《어제와 내일 사이에서》 (희곡), 예니, 1995
  • 《문의 희비극》 (희곡), 예니, 1998

평론[편집]

  • 《이성의 미학 축제》 (논평집), 한신문화사, 1992
  • 《철학과 희비극》 (논평집), 현대미학사, 1996
  • 《과학의 논리와 아름다운 생물의 미소》 (논평집), 서울스코프, 1998

수필[편집]

  • 《Man's World》 (Philosophical Essays), Hanshin Publishing Co., 1997

각주[편집]

  1. '햄릿' 한국 정서로 재탄생 한국일보, 2011년 6월 17일
  2. 비운의 천재 강월도씨가 남긴 뒷얘기 동아일보, 2002년 9월 17일
  3. 비운의 극작가 강월도를 아십니까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조선일보, 2013년 8월 15일
  4. 문재에 빼어났던 그는 1954년 당시 19세 대입 재수생 시절 이미 시인으로 문단 등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