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키부 분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키부 분쟁
제2차 콩고 전쟁의 여파의 일부

키부 지역에서 암악하고 있는 여러 군벌과 무장단체의 분포 지도.
날짜* 2004년 6월 2일[2]-2009년 2월 27일 (1기)
  • 2012년 4월 4일-2013년 11월 7일 (2기)
  • 2015년 1월 31일[3]-현재 (3기)
장소
상태

진행 중

  • 2009년 CNDP에게, 2013년 M23 운동에게 FARDC가 승리
  • CNDP가 콩고 민주 공화국의 정당으로 인정받음
  • M23 운동이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와 평화 협정 체결, 2022년부터 전투 재개
  • 동부 콩고에서 FDLR, 마이마이 민병대 등 여러 무장 단체가 여전히 활동 중
  • 2015년 초 UN과 FARDC가 FDLR 및 기타 동맹군벌을 격퇴하기 위한 작전 개시
교전국
  • 콩고 민주 공화국 M23
    (2012년 이후, 임시로 "M27"로 이름 변경)[8]
  • CNDP (2006–2009년)
지원국
지원국

지휘관
병력
CNDP: 6,000–8,000명 (2007년)[13]
M23: 5,500명 이상 (2012년)

2004년: 총 병력 20,000명[13][14]

  • 콩고 민주 공화국 FARDC 병력 14,000명
  • 마이마이 민병대 4,000–5,000명[14]

2008년:

  • 마이마이 민병대 3,500명[15]
  • FDLR 병력 6,000–7,000명[15]

2013년: 유엔 MONUSCO 임무단 22,016명 (2013년)[16]
FDLR 2,000명[17]
ACPLS 1,500명[18]
FNL/팔리페후투 3,000명
FNL–은자밤페마 수백명
1,000–1,250명 (2018년)[19]
라이아 무톰보키 민병대 수천명
기타 무장세력 병력 10,000명 이상
피해 규모
CNDP: 최소 233명 사망 FARDC: 최소 71명 사망
BDF: 미상
유엔 17명 이상 사망[20][21]
미상 미상
국내 실향민 140만명 이상 발생[22]
초과 사망자 수만명 이상
분쟁으로 총 11,873명 이상 사망
(민간인과 양측 교전원 포함)[23][24][20][25][26]

키부 분쟁은 2004년 콩고 민주 공화국군(FARDC)과 콩고 민주 공화국후투 파워 관련 무장단체인 르완다 해방민주군 (FDLR) 사이에서 비롯된 콩고 동부 지역의 무장분쟁이다. 키부 분쟁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되며 그중 3기 단계는 현재 진행중인 분쟁이다. 2009년 3월까지 민주콩고군과 교전하던 주요 무장세력으로는 인민방위국민회의(CNDP)가 있었다. 두 단체간의 분쟁이 끝난 이후에는 이전에 로랑 은쿤다의 지휘 하에 있던 투치족 반군이 정부군에 대항하는 주요 반군세력으로 부상했다.

유엔 콩고 민주 공화국 안정화 임무(MONUSCO)는 키부 분쟁에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21,000명 규모의 이 안정화 임무단은 현재 진행 중인 평화유지 임무 중 가장 큰 규모이다. 평화유지 임무 기간 유엔 평화유지군 병력 93명이 사망했는데, 이 중 15명은 2017년 12월 이슬람주의 계열 반군인 민주연합군(ADF)의 북키부주 대규모 공격으로 발생했다.[27] 평화유지군은 분쟁에서 무력충돌 확대를 방지하고 전시 성폭행소년병 사용과 같은 인권침해 상황을 막기 위해 노력하는 임무를 진행하고 있다.[28]

배경[편집]

로랑 은쿤다는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진행된 제2차 콩고 전쟁에서 고마 지역의 반군인 콩고 민주연합(RCD)의 장교였다. 르완다의 지원을 받은 콩고 민주연합은 당시 민주콩고의 대통령인 로랑데지레 카빌라 정권을 전복시키러 시도했다.[29] 2003년 콩고 전쟁이 종전되자 은쿤다는 민주콩고 과도정부의 새로운 통합군에 대령 장교로 합류했으며 2004년에는 장군으로 진급했다. 뒤이어 은쿤다는 콩고 정부를 부정하고 콩고 민주연합-고마 병력 일부와 함께 북키부주마시시 숲으로 다시 후퇴했다.[30]

글로벌 위트니스에서는 광물을 구매하러는 서방 기업이 정부군 반정부군 가리지 않고 모두 자금을 지원하며 광물을 구매한다고 밝혔다. 전자장비와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석석, , 콜탄 같은 광물은 민주콩고의 주요 수출품이다. 이후 체결된 유엔 결의안에 따르면 천연자원의 불법 거래를 통해 불법적인 민주콩고 내 무장단체를 지원하는 사람은 여행 제한과 자산 동결 등의 제재를 받아야 한다고 명시했다.[31] 이와 관련된 문제의 정도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32]

전개[편집]

FDLR 반란[편집]

FDLR은 1994년 르완다 집단학살을 주도한 인트라함웨의 원년 구성원을 조직원으로 두었다. 이 단체는 콩고에서 활동하는 외국군, 특히 르완다 애국군(르완다군의 군부 파벌)과 르완다의 지원을 받는 콩고민주집회당에 대항하는 대리전 부대로 이용하러는 콩고 민주 공화국의 대통령 로랑데지레 카빌라로부터 광범위한 지원과 협력을 받았다. 2002년 7월, 킨샤샤 점령 지역에 남아있던 FDLR 부대가 북키부주남키부주 지역으로 이동했다. 당시에는 부대원 15,000명에서 20,000명이 있다고 추정되었다. 2002년 제2차 콩고 전쟁이 공식적으로 끝난 이후에도 FDLR 부대는 콩고 민주 공화국 동부 국경을 넘어 르완다의 투치족 세력을 계속 공격하여 이 지역의 긴장을 크게 고조시켰고 1996년 이후 세 번째로 르완다의 콩고 공격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2004년 중반에도 여러 공격이 있어 콩고인 25,000명이 고향을 떠나 강제 이주했다.

2004~2009년: 은쿤다의 CNDP 반란[편집]

2004년 초 북키부주에서는 이미 평화 협상이 진행되고 있었다. 합의 조건에 따라 모든 교전당사자는 과도정부에 합류하고 각자의 군대를 하나의 국군으로 통합해야 했다. 하지만 모든 교전당사자가 평화를 위한 조치를 취하진 않았다. 이런 상황으로 흘러간 초기 징후로는 2006년 7월 로랑 은쿤다를 비롯한 콩고민주집회(RCD) 고위 간부 3명이 도망가 인민방위국민회(CNDP) 반군으로 변모하는 정치 운동을 결성한 일이다. 키부 지역은 다시 한 번 혼란에 빠졌고 전투의 격렬함은 제2차 콩고 전쟁급으로 심해졌다. 자경단 민병대인 마이마이도 이 폭력사태에 가담하긴 했지만 중심에는 CNDP와 르완다 내 최대 후투족 단체인 르완다 해방민주군(FDLR)간의 반목이었다.[33]

2004년 부카부 공세[편집]

2004년 은쿤다의 부대는 남키부주의 콩고 민주 공화국 군대와 충돌하기 시작해 2004년 6월에는 8일간 부카부를 점령하며 전쟁 범죄를 일으킨 혐의로 은쿤다가 기소되었다.[34] 은쿤다는 자신이 콩고 동부에 거주하는 투치족바냐물렝게를 향한 대량학살을 막으러 움직인 것이라고 주장했다.[35] 이 주장은 유엔 콩고 민주 공화국 안정화 임무(MONUSCO)에서 거부했다.[36] 유엔이 은쿤다의 부대를 부카부에서 마시시숲으로 철수하는 협상에 따라 부대 일부가 분열되었다. 줄레스 무테부시가 이끄는 부대는 르완다로 철수했다.[34] 키냐르완다어를 사용하는 약 15만명의 주민(은쿤다 부대의 언어군이기도 함)는 콩고 민주 공화국군의 보복 공격을 두려워 해 남키부주에서 북키부주로 집단으로 도망갔다.[37]

2005년 콩고 민주군과의 충돌[편집]

2005년 은쿤다는 부패가 심하다며 정부 전복을 요구했고, 점점 더 많은 RCD-고마 군인이 탈영해 은쿤다 부대에 합류했다.[38]

2006년[편집]

2006년 1월 은쿤다의 부대는 MONUC에게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된 콩고 민주 공화국군와 충돌했다.[39] 2006년 8월에는 사케 마을 주변에서 추가 충돌이 발생했다.[40] 하지만 MONUC는 은쿤다에 대한 국제 체포영장이 발부된 후에도 "로랑 은쿤다는 지역 주민에게 위협이 된다고 볼 수 없으므로 그에 대한 어떠한 조치도 정당화할 수 없다"며 체포를 거부했다.[41] 2006년 6월 말 은쿤다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제재 대상이 되었다.[42]

치열하고 폭력적인 2006년 총선 1차전 및 2차전에서 은쿤다는 선거 결과를 존중하겠다고 말했다.[43][44][45] 하지만 11월 25일 대법원이 조제프 카빌라가 대선 2차 투표에 승리했다고 발표하기 하루 전에 은쿤다의 부대가 콩고 민주 공화국 제11여단을 상대로 사케에서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고,[46] MONUC 평화유지군과도 충돌했다.[47] 다만 이 공격은 선거와 관련이 없을 수도 있으며, "부대 지휘관 중 한 명과 가까운 투치족 민간인이 살해되서" 일어난 공격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48]

유엔은 콩고 민주 공화국 정부에게 은쿤다와의 협상을 촉구했고, 민주콩고 내무부 장관인 데니스 칼루메 눔비는 협상을 위해 콩고 동부로 파견되었다.[49]

2006년 12월 7일, RCD-고마 부대가 북키부주에 있는 콩고 민주 공화국군을 공격했다. MONUC의 군사적 지원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군은 RCD-고마 부대원 150명을 사살하고 원 방어선을 지키는 데 성공했다. 콩고 민간인 약 12,000명이 콩고에서 우간다 키소로구로 피난을 갔다.[50] 또한 같은 날 콩고 민주 공화국에서 우간다 키소로구로 로켓이 발사되어 7명이 사망했다.[51]

2007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Conflict Minerals, Rebels and Child Soldiers in Congo”. 《YouTube》. 2 March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January 2015에 확인함. 
  2. “Rebel troops capture Bukavu and threaten third Congo war - Independent Online Edition > Africa”. 《news.independent.co.uk》. 2008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5월 17일에 확인함. 
  3. 'Scores dead' in Burundi clashes”. 1 August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January 2015에 확인함. 
  4. “FARDC hunting down APCLS in Masisi, and what about FDLR?”. 《christoph vogel》. 4 March 2014. 17 January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January 2015에 확인함. 
  5. “Activists urge govt to arrest fugitive DRC warlord”. 《News24》. 7 January 2015. 3 February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 March 2015에 확인함. 
  6. “Archived copy”. 3 February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8 January 2015에 확인함. 
  7. “DRC: Who are the Raïa Mutomboki?”. 2013년 7월 17일. 2015년 1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월 12일에 확인함. 
  8. “DR Congo: suspicion of an alleged recovery of M23 Rubaya”. 《Silent War Journal》. 31 August 2014. 29 January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 March 2015에 확인함. 
  9. “Rwanda 'protecting M23 DR Congo rebels'. BBC News. 2014년 6월 5일. 2020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19일에 확인함. 
  10. “Susan Rice: the liberal case against her being secretary of state”. 《The Guardian》. 2012년 12월 13일. 2020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19일에 확인함. 
  11. “Reshuffle in the Congolese army – cui bono? - christoph vogel”. 《christoph vogel》. 28 September 2014. 9 January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January 2015에 확인함. 
  12. Chris McGreal ( 5 August 2014). “US tells armed group in DRC to surrender or face 'military option'. 《the Guardian》. 10 July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 January 2015에 확인함. 
  13. "Congo rebels call for peace talks" BBC News Africa 2007-12-13”. News.bbc.co.uk. 16 November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 October 2014에 확인함. 
  14. PLAYING THE TROOP NUMBERS GAME 보관됨 11 1월 2023 - 웨이백 머신. US State Department cable, 2 July 2004. WikiLeaks.
  15. "DR Congo army pushes rebels back" 보관됨 16 11월 2018 - 웨이백 머신 BBC News Africa, 14 November 2008
  16. “MONUSCO Facts and Figures - United Nations Organization Stabilization Mission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Un.org. 15 October 2011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 October 2014에 확인함. 
  17. “Monusco”.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2일에 확인함. 
  18. “Alliance of Patriots for a Free and Sovereign Congo (APCLS)”. 12 October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5 March 2015에 확인함. 
  19. “Letter dated 20 May 2018 from the Group of Experts o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addressed to the President of the Security Council” (PDF). 2018년 6월 4일. 2020년 10월 2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31일에 확인함. 
  20. “Rebels kill 15 peacekeepers in Congo in worst attack on U.N. in recent”. 《Reuters》. 8 December 2017. 6 October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 December 2017에 확인함. 
  21. Alexandra Johnson (11 October 2017). “The Allied Democratic Forces Attacks Two UN Peacekeepers in the DRC”. 《Center for Security Policy》. 16 November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3 October 2017에 확인함. 
  22. “DR Congo: Stepping up support for two million displaced”. 8 November 2013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January 2015에 확인함. 
  23. “Kivu Conflict”. The Polynational War Memorial. 1 December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0 November 2017에 확인함. 
  24. “Realtime Data (2017)”. ACLED. 19 September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0 November 2017에 확인함. 
  25. “DR Congo: New 'Kivu Security Tracker' Maps Eastern Violence”. Human Rights Watch. 7 December 2017. 12 December 2017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 December 2017에 확인함. 
  26. “ACLED Data (2018)”. ACLED. 12 February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 February 2018에 확인함. 
  27. correspondent, Jason Burke Africa ( 8 December 2017). “Islamist attack kills at least 15 UN peacekeepers and five soldiers in DRC”. 《The Guardian》. 22 October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 December 2017에 확인함 – www.TheGuardian.com 경유. 
  28. Section, United Nations News Service ( 8 December 2017). “UN News - DR Congo: Over a dozen UN peacekeepers killed in worst attack on 'blue helmets' in recent history”. 《UN News Service Section》. 8 February 2018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0 December 2017에 확인함. 
  29. “Profile: Laurent Nkunda, the Tutsi rebel leader toppled from power”. 《Daily Telegraph》 (영국 영어). 23 January 2009. ISSN 0307-1235. 2 April 2019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 April 2019에 확인함. 
  30. "D.R. Congo: Arrest Laurent Nkunda For War Crimes" 보관됨 1 11월 2008 - 웨이백 머신, Human Rights Watch News, 2006-02-01
  31. "Mineral firms fuel Congo unrest" 보관됨 24 7월 2009 - 웨이백 머신 BBC News, July 2009
  32. Sekyewa, Edward Ronald (2011년 5월 12일). “Trade in Congolese Gold: A dilemma”. 《Kampala Dispatch》. 2012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3. “Rebellion and Conflict Minerals in North Kivu”. 《ACCORD》 (영국 영어). 2022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6월 18일에 확인함. 
  34. “Rebel troops capture Bukavu and threaten third Congo war”. 《The Independent》. 2004년 6월 3일. 2008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5. “DRC: Interview with rebel general Laurent Nkunda”. 《IRIN》. 2006년 9월 2일. 2006년 1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6. “DRC: UN preliminary report rules out genocide in Bukavu”. 《IRIN》. 2004년 1월 17일. 2005년 9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7. “DRC: Government troops seize rebel stronghold, general says”. 《IRIN》. 2004년 9월 14일. 2006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8. “Nkunda Building Forces: Rebel General Draws on More Deserting Troops”. 《Sobaka》. 2005년 9월 16일. 2006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39. “DRC: Human rights situation in Feb 2006”. 《reliefweb.int》. MONUC. 2006년 3월 18일. 2008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0. “Rebel troops clash with army in eastern Congo”. 《SABCnews.com》 (South Afric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6년 8월 5일. 2007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1. “DRC: No plan to arrest dissident ex-general”. 《IRIN》. 2006년 9월 23일. 2006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2. “List of individuals and entities subject to the measures imposed by paragraph 13 and 15 of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596 (2005), pursuant to Resolution 1533 (2004)”. 《UN.org》.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006년 6월 6일. 2008년 1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3. "DRC: Interview with Jacqueline Chenard, spokeswoman for MONUC in Kivu North" 보관됨 30 11월 2006 - 웨이백 머신, IRIN, 2006-07-30
  44. "Congo's rebel leader watches and waits" 보관됨 14 3월 2007 - 웨이백 머신, Financial Times, 2006-08-07
  45. "DRC rebel leader commits to peace" 보관됨 29 9월 2007 - 웨이백 머신, SABC, 2006-10-27
  46. "Congo Warlord's Fighters Attack Forces" 보관됨 25 10월 2012 - 웨이백 머신, Washington Post, 2006-11-26
  47. "UN says engages rebels as army flees Congo town" 보관됨 10 1월 2008 - 웨이백 머신, Reuters, 2006-11-26
  48.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voa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49. "UN Calls for Negotiations in Eastern DRC" 보관됨 14 12월 2006 - 웨이백 머신, Voice of America, 2006-11-27
  50. "DRC: 12,000 Congolese flee into Uganda" 보관됨 23 10월 2007 - 웨이백 머신, SomaliNet News, 2006-12-08
  51. "DRC: Rocket kills 7 in Uganda" 보관됨 23 10월 2007 - 웨이백 머신, SomaliNet News, 2006-12-07

참고 문헌[편집]

  • Alfaro, Stephanie; 외. (2012). “Estimating human rights violations in South Kivu Provinc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A population-based survey”. 《Vulnerable Children and Youth Studies》 7 (3): 201–210. doi:10.1080/17450128.2012.690574. S2CID 71424371. 
  • Cox, T. Paul (2011). “Farming the battlefield: the meanings of war, cattle and soil in South Kivu,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Disasters》 36 (2): 233–248. doi:10.1111/j.1467-7717.2011.01257.x. PMID 21995623.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