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총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총회(總會, general assembly)란 구성된 사람이나 기관이나 단체나 교회 등이 전체적으로 모이는 회의를 의미한다. 총회는 기독교에서는 주로 지교회 최상회 모임을 말한다. 개신교는 노회와 총회의 모임을 가지는데 노회는 각 교회의 문제를 다루고 총회는 모든 전체 교회와 각 노회들의 문제들을 논의하고 의결하는 최고기구이다. 대한성공회에서는 전국의회라고 부른다.

구약[편집]

구약성경에서는 주로 ‘하나님께서 택하신 백성’(민 16:2; 시 89:7), ‘이스라엘 백성’(민 10:2-3), ‘이스라엘 나라’(삿 20:2; 대하 30:23) 등을 말할 때 총회라고 사용하였다.[1]

신약[편집]

신약성경에서는 문자적 이스라엘은 없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영적인 백성으로서 ‘하나님의 교회 전체’(히 12:23), 혹은 ‘민회’(행 19:32-41)나 ‘회당’(약 2:2)을 가리킨다.

어원[편집]

히브리어로 '에다'라는 단어는‘정하다’, ‘모이다.’ ‘무리’, ‘집회’, 특히 ‘이스라엘 전체 모임’을 뜻한다(민 16:2). 히브리어 카할 동사로 사용될때는‘함께 모으다’는 뜻인데, 하나님의 선민인 이스라엘 공동체를 말한다(민 19:20; 신 5:22). 신약의 단어로 파네귀리스는 ‘광장에 함께 모임’이란 뜻이다. 축제나 예배를 위해 넓은 장소에서 회합을 의미한다(히 12:23).

교파별 총회[편집]

주로 장로교회에서 최고의 의결기관이며 법적인 최고의 치리기관이며 여러 청원들을 의결하는 최종적 기관이다.[2]교파별 총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장로교회 총회 : 각 노회에서 파송한 목사와 장로를 동수로 조직하고 총대는 각 노회 지방의 매 7당회에서 목사 1인, 장로 1인씩 파송하되 노회가 투표 선거하여 개회 2개월 전에 총회 서기에게 송달하고 차점순으로 부총대 몇 사람을 정해 둔다(총회의 조직은 교단마다 차이가 있다). 그리고 전국 노회수 과반의 참석과 회원(목사총대와 장로총대) 각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회한다. 주로 9월 중순(셋째 주간)에 소집된다. → '총대'를 보라.
  • 감리교회 총회 : 목사 대표들과 그와 같은 수의 평신도 대표들로 조직하되 1,500명 이내로 하며, 그 선택 방법은 총회가 정한다. 총회는 회장 1인(감독회장)과 총회가 닫힌 동안의 일을 처리할 실행부 위원회와 교회사업의 필요에 따라 '국'을 설치한다. 회의는 매 2년마다 9, 10월 중에 개최되고 '감리회장'이 의장이 된다.
  • 성결교회(기성) 총회 : 각 지방회에서 선출한 대의원 목사와 장로 동수로 조직하고 세례교인 800명 당 각각 1인씩 파송한다. 총회는 정기와 임시 둘로 구분되는 것이 타교단과 다르다. 정기총회는 매년 6월에 대의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회하며, 임시총회는 임원회의 필요시 또는 회원 3분의 1 이상의 연서 청원으로 총회장이 소집한다.

각주[편집]

  1. [네이버 지식백과 총회 [總會, council] (라이프성경사전, 2006. 8. 15., 생명의말씀사) ]
  2. [네이버 지식백과 총회 [總會, general assembly] (교회용어사전 : 행정 및 교육, 2013. 9. 16., 생명의말씀사)]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