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기획위원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책기획위원회(政策企劃委員會, Presidential Commission on Policy Planning)는 국정과제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국가의 중·장기적 발전 전략 수립을 지원하기 위하여 2017년 9월 5일 설립되어 같은 해 12월 15일 출범한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로,[1] 분야별 국가 정책 및 현안 과제를 연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원장은 정해구이며,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39 정부서울청사 창성동 별관 4층에 위치하고 있다.

과거에 국가의 중·장기 발전목표 및 정책방향의 설정, 중요현안에 관한 사항 및 대통령이 요구하는 국가 주요정책의 평가를 맡았던 정책기획위원회가 있었다. 1995년 21세기위원회를 개편하여 발족하였으며, 2008년 미래기획위원회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설립 근거[편집]

정책기획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1]

연혁[편집]

  • 1989년 21세기위원회 설치
  • 1995년 정책기획위원회로 신설
  • 2004년 정책기획위원회 기능 확대
  • 2008년 미래기획위원회로 개편
  • 2017년 9월 5일 '정책기획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시행
  • 2017년 12월 15일 정책기획위원회 출범

주요 업무[편집]

  • 국정과제의 조정 등 국정과제 추진 및 국정과제 관련 보고회의 지원에 관한 사항
  • 국가 중장기 발전전략 및 정책방향의 수립에 관한 사항
  • 각 분야별 정책 및 현안과제 연구에 관한 사항
  • 대통령이 요구하는 국가 주요정책의 연구에 관한 사항
  • 정부출연연구기관과의 정책교류 및 협력에 관한 사항
  • 그 밖에 위원회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조직[편집]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편집]

위촉위원 (100인 이내)[편집]

운영위원회[편집]

정책기획단[편집]

  • 단장은 청와대 정책기획비서관이 겸직

국정과제지원단[편집]

미래정책연구단[편집]

재정개혁특별위원회[편집]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