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 (전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전에서 넘어옴)

사랑방 (전체)

이 곳은 모든 사랑방 문서의 현재 토론 중인 내용을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새로 고침)


사랑방의 예전 토론은 과거 토론 목록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새로운 토론을 시작하려면 각 주제의 사랑방으로 가서 '새로운 주제'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토론에 의견을 남기려면 문단 오른쪽의 '편집' 버튼을 눌러 주세요.
  • 모든 사랑방의 보존문서를 보려면 위키백과:사랑방/보존문서를 방문해 주세요.
위키백과 소식
의견 요청

일반[편집]

중간 점검 및 넘겨주기 삭제[편집]

삭제 정책 토론에서 얘기하려다가 많은 사용자께서 의견을 주시고 결정해야 하는 부분이라 여기에서 논의하겠습니다. 삭제 정책 토론에 이 문단이 링크됩니다.

계획에 관한 설명. 아는 내용이라면 넘어가셔도 됩니다.

일단 빠른 삭제 기준은 큼지막한 도입은 끝났으며 이제는 조금씩 큰 영향 없는 개정 작업만 남아 사실상 빠른 삭제 기준 관련하여 제가 계획한 것은 마무리된 상태입니다. 그럼에도 현 삭제 정책에 허점이 보이는 이유는, 삭제 정책이 너무나도 허술하여 제 기능을 못하며 삭제 제안 도입이 안되었고 삭제 토론에 관한 지침조차 불명확하여 늘어지는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위 링크에 준비된 정책 제안 문서들과 그 틀이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을 겁니다.

위 링크 보시면 아시겠지만,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삭제 제안은 빠른 삭제 기준과 삭제 토론의 중간 역할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삭제 제안}}이 부착된 지 7일이 지나면 관리자는 문서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군가에 의해 삭제 제안 틀이 제거된다면, 재부착할 수 없으며 삭제 토론으로 회부해야 합니다.

백:생존 인물의 전기의 삭제 제안은 말 그대로 백:생존 인물의 전기에 해당하는 문서들에 대한 삭제 제안으로, 기존의 삭제 제안보다 틀 제거 조건이 조금 더 엄격합니다. 출처가 없을 때 {{삭제 제안 인물}}을 부착할 수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지 않은 이상 틀을 제거하면 안됩니다.(물론 그럼에도 제거한다면 되돌려집니다.)

아직 백:삭제 절차가 수정되지 않은 상태이긴 한데, 삭제 토론 종결 조건이 명확해집니다. 예를 들어, 삭제 토론이 개시된 후 7일이 지나야 종결할 수 있는데, 반대로 7일이 지났다는 명분으로 유의미한 유지 의견이 없으면 삭제가 적거나 제안자 외 참여자가 없어도 삭제 토론을 종결할 수도 있습니다. 비관리자의 삭제 토론 종결 관련 지침도 명확해집니다.

한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넘겨주기 삭제입니다. 생각하시는 것보다 상당히 많은 넘겨주기 문서들이 삭제 신청되고 있습니다. 현재 시스템상 빠른 삭제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넘겨주기를 처리할 방법은 삭제 토론 뿐인데 너무 번거롭습니다. 위 정책과 지침들을 통과시키면서 함께 통과시키고자 하는데, 크게 2가지 안이 있습니다.


1. 삭제 제안 활용

백:넘겨주기 문서의 삭제 제안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삭제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삭제 제안 틀 유지 기간인 7일보다 짧은 기간으로 삭제할 것을 검토 중입니다. 다만 중간에 삭제 제안 틀이 제거된 경우에는 삭제 토론에 회부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기존의 삭제 제안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2. 넘겨주기 삭제 토론(가칭) 신설

이는 영어 위키백과의 en:WP:RFD과 같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형식은 기존의 번거로운 삭제 토론이 아닌 문서 관리 요청의 형식대로 진행됩니다. 형식은 간편하지만 일반 삭제 토론과 마찬가지로 삭제 토론은 7일 유지 후 문서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일반 삭제 토론과 동일한 효력을 갖습니다.


2가지 안 중 하나는 통과되어야 넘겨주기의 삭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2안 넘겨주기 삭제 토론을 만들었으면 좋겠으며 가장 명확한 방법입니다. 1안은 넘겨주기 삭제 토론 신설에 반대하신다면 대체제로 논의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넘겨주기 관련 삭제 신청은 상당히 많으며 반려되는 건도 많아서 수요?에 대한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요청 링크가 하나 더 생기는 것인데 너무 분산되면 활성화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걱정이 존재할 것이라고 봅니다. 과거 넘겨주기 삭제량이 상당히 많아 정상적으로 이용될 것이라고 보긴 합니다. 반대가 있다면 설득하는 것이 제 역할인 것 같습니다.

이 토론을 바탕으로 나머지 삭제 정책을 정비하여 초안을 완성시킬 것입니다. 여러분의 고견이 필요합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4년 5월 27일 (월) 22:36 (KST)[답변]

넘겨주기만 따로 삭제 신청 절차를 밟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지만, 너무 창구가 분산되어 각 창구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 등이 발생할 것 같습니다. 일단 삭제 제안으로 그대로 유지하고, 삭제 정책을 다듬음과 같이 바로 넘겨주기 문서의 정책 정비가 필요합니다. Vela* (토론 / 기여) 2024년 5월 28일 (화) 16:17 (KST)[답변]
찬성 찬성합니당!⭐ 그 이유는, 넘겨주가 문서 삭제가 되지 않는다는 글을 본 적이 있고, 여러 사람들이 불편 할 것 같기 때문이에여!⭐ 아혀닝𝓰𝓪𝓶𝓮𝓱𝓪𝓼𝓸𝓼𝓮𝓸 2024년 5월 28일 (화) 19:50 (KST)[답변]
의견 넘겨주기 문서는 일반 삭제토론과 적용 법리나 지향하는 결과가 좀 달라 넘겨주기 삭제토론을 만드는것에 찬성하고, 현행 지침으로도 내용이 같은 문서의 삭제토론 동시 회부를 허하는 규정에 따라 문재인을 향하는 넘겨주기 문서들중 수상쩍은 넘겨주기를 통째로 삭제토론에 붙이는게 가능합니다. 통과 전에는 요걸 활용하면 됩니다. 2001:2D8:E134:644F:0:0:3B76:20AC (토론) 2024년 5월 29일 (수) 23:24 (KST)[답변]

2024 전쟁과 평화 에디터톤이 6월에 진행됩니다.[편집]

모두들 안녕하세요, 호국보훈의달 6월을 맞아 6월 3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쟁과 평화 에디터톤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번 전쟁과 평화 에디터톤에서는 "한국전쟁을 비롯해 전세계에서 벌어졌던 전쟁, 그리고 전투와 관련된 문서, 그리고 그 전쟁이 종전된 이후의 레거시인 평화와 관련한 철학적인 논의와 관련된 종전운동, 조약이나 협의체, 민주화 운동과 같은 평화 시위" 등 "전쟁과 평화"에 들어가는 범주의 주제라면 모두 에디터톤 문서로 편집하실 수 있습니다.

  1. 이번 에디터톤에서는 2주차부터 종료되는 4주차까지 각 주별로 특별 주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각 주별로 준비된 주제의 문서를 편집하시고 추가 점수 및 선물을 얻어가세요!
  2. 6월 15일에 용산 전쟁기념관을 방문하는 포토워크 행사와 오프라인 모임이 진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행사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3. 전쟁과 평화 에디터톤의 우승자에게는 10만원 상당의 밀리터리 굿즈를 선물로 증정합니다.

이번 전쟁과 평화 에디터톤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Youngjin (WMKR) (토론) 2024년 5월 28일 (화) 11:12 (KST)[답변]

문체부, 한국 정보 품질 개선을 위해 위키백과 활용 예정[편집]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디지털 대전환 시대 해외홍보 추진계획"이라는 이름의 보도자료를 내어 한국 홍보에 위키백과를 활용할 계획을 밝혔습니다(링크).

□ 「위키피디아」 등 주요 채널 통한 한국 정보의 체계적 제공

  • (1단계) 한국에 관한 정보검색 시 최상단을 차지하는 영문 ‘위키피디아’ 내의 한국 정보 유통 현황 조사 및 누락된 정보의 확인
    • 현황 조사 : 표제어 선정(한국 관련 중요 표제어) 및 목록화, 비교 대조(생성목록과 실제 위키피디아의 게시물 내용 단위)
    • 전략 수립 : 미비점 정리(내용 부족, 누락 사항 등), 자료 수집(주제별 전문기관 등과 협업, 관련 콘텐츠 수집, 영문 번역·감수 등)
  • (2단계) 전문가 집단·기관과 연계한 정확한 정보의 등재 및 기술 확대
    • 기관·출처 명시를 통해 공신력 확보, 영어 외 언어권 단계적 확충(10개 외국어)
    • 위키피디아 입력, 반영 결과 점검 등을 통해 향후 타 매체 확산
  • (3단계) 외국인 이용이 많은 핵심 채널을 통한 확충된 정보의 연계 활성화 및 유효성 검증
    • ▲주요 검색 엔진(구글, 야후 등), ▲생성형 AI(챗 GPT, Gemini, Copilot 등), ▲관련 부처·공공기관 누리집(코리아넷, 홍보 포털 등)을 통한 정보의 순환 현황, 내용 유효성 등 관리

기자가 그러면 위키 편집을 위한 인원을 상주하는 것이냐고 물어보니 그것은 아니고, 정부 기관 등에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것들을 최종 수요자에 맞게 가공해서 통합적으로 제공"하는데 첫 번째는 정부에서 "K-인포 허브"라는 이름의 사이트을 직접 만드는 것이고 두 번째가 위키피디아 등의 채널을 적극 활용한다고 합니다. 한국어판에 대한 언급은 따로 없네요.

개인적으로는 대충 원래 있던 자료들에 공공누리 도장 박아서 배포하는 것이랑 얼마나 큰 차이가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Namoroka (토론) 2024년 5월 29일 (수) 04:45 (KST)[답변]

그런 저작권 오염이야 어떻게든 알아서 대처하겠는데, 현장 사정 모르고 이상한 헛발질만 안 했으면 좋겠네요. LR0725 [ 토론 | 기여 ] 2024년 5월 29일 (수) 04:51 (KST)[답변]
종전에 들은 바 있습니다. 좋은 기회로 보시는 분들도 있는 것 같은데, 저는 회의적입니다.
정보 품질 개선까지는 좋지만, 이를 '해외홍보 추진계획'의 일환으로 이용하는 것은 좋게 보지 않습니다. 문체부에서 직접 관여한다면 '위키피디아 입력, 반영 결과 점검'이 곧 검열이 될 수도 있습니다. 만약 해당 위키피디아의 정책을 준수하지 않고 계획을 추진한다면 재단이 관여해 제재해야 할 것입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 영향이 있을 지는 모르겠으나, 가급적이면 관여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만약 한국어 위키백과에 개입한다면, 협회와 협력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그럼 오히려 플러스로 작용하겠죠. 협회를 거치지 않고 직접 개입하겠다고 하면 자칫하면 재단이 개입하는 상황까지 올 수 있습니다.
이렇게까지 우려하는 이유는 위키피디아 상황을... 잘 모를 수도 잇을 것 같아서 입니다. 부디 제대로 알아보고 추진했으면 좋겠습니다. --ginaan기나ㅏㄴ(˵⚈ε⚈˵) 2024년 5월 30일 (목) 14:07 (KST)[답변]
공공기관이 위키백과의 방향성에 맞게 잘 넣는다면 이것은 우리에게 긍정적 영향을 줄 것입니다. 근데, 이것이 안좋은 방향으로 간다면 국가편향적으로 편집해달라고 말하는 모 단체와 같은 사례로 남을 가능성이 크겠죠.--*Youngjin (토론) 2024년 5월 30일 (목) 14:49 (KST)[답변]
외부 개입에 대해서는 그다지 좋게 여기고 있진 않습니다. 거기다가 한위백보단 나무위키 쪽이 대한민국 사용자가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생각해보자면 실효성이 어떻게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위키백과 자체가 '전문성 높은 사이트'라는 점으로 고려해 보았을 땐 아마도 정부 측이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을 법합니다. --린눈라단 (토론) 2024년 5월 31일 (금) 12:09 (KST)[답변]
의도와 맞지 않은 내용 정정합니다. '전문성 높은 사이트' → '전문성이 높다고 여겨지는 사이트' 린눈라단 (토론) 2024년 5월 31일 (금) 15:59 (KST)[답변]

극단적으로는 국가에 불리한 몇몇문서에 격노 후 수정명령할 미래도 보이네요 2001:4430:D21A:8250:0:0:3F3:8BCD (토론) 2024년 5월 30일 (목) 23:20 (KST)[답변]

공공누리 틀의 사용법 및 저작물 URL 링크[편집]

공공누리 이용 조건은 공공누리 저작물 이용 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이 필요하며, 특히 "온라인에서 출처 웹사이트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링크를 제공하여야 합니다."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공누리 제1유형}}이나 {{공공누리 제1유형 인용}}과 같은 공공누리 관련 틀들은 기관명은 필수로 요구하지만 연도, 작성자명, URL 등을 기입할 방법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작성자와 연도는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니 차치하더라도, URL은 반드시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이용 조건에 포함되어 있기도 하고, 해당 자료가 실제로 적절한 공공누리 라이선스로 배포되었는지 확인하는 데에도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특수:차이/37254966와 같이 {{공공누리 제1유형 인용}}에 url 변수를 추가해 보았는데, 이러한 수정이 적절한지, 다른 공공누리 틀에도 이런 수정이 필요할지 의견을 구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공공누리 제1유형}}의 사용법에 관한 궁금증이 있습니다. 제가 짐작하기에 이 틀은 {{공공누리 제2유형}} 등과 같이 파일에 붙일 의도로 만들어진 것 같은데, 실제로는 {{번역된 문서}}처럼 일반 문서의 토론에만 쓰이고 있습니다. (제1유형 파일은 공용에 있기 때문?) 문서가 공공누리 텍스트를 이용했음을 나타낼 목적이라면 문서 하단에 {{공공누리 제1유형 인용}}을 붙이는 게 더 적절하지 않나요? 공공누리 파일을 이용했음을 나타낼 목적이라면 파일 문서에 명시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나요? -- Ellpicre (토론) 2024년 5월 29일 (수) 15:27 (KST)[답변]


전쟁과 평화 에디터톤 리워드 수요조사[편집]

6월 3일부터 진행되는 전쟁과 평화 에디터톤 우승 및 2위 리워드는 커뮤니티와 참여자 분들이 추천하는 리워드 중에서 선택하여 증정해드릴 예정입니다. 인류의 문명과 함께해 온 전쟁과 평화를 상징하는 물품이나 선호하는 기념품을 적어주시거나 링크해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4년 5월 30일 (목) 18:52 (KST)[답변]

새로운 문서를 만들었는데 검토해 주세요. 유아체능단 (토론) 2024년 6월 2일 (일) 10:13 (KST)[답변]


기술[편집]

Tech News: 2024-14[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4년 4월 2일 (화) 12:35 (KST)[답변]

Tech News: 2024-15[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4년 4월 9일 (화) 08:37 (KST)[답변]

분류 이동 스크립트가 있었다면[편집]

다들 한번쯤 분류를 이동하면 그 분류의 문서들까지 자동으로 고쳐주는 스크립트가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지 않았나요? 물론 cat-a-lot의 선례 때문에 이것도 막힐수도 있겠지만... Bluehill (토론) 2024년 4월 9일 (화) 12:53 (KST)[답변]

분류 이동 스크립트가 cat-a-lot이며 유사 스크립트가 있었다면 그것 또한 막힐 수 있습니다. 대량 작업의 경우 기 정해진 바, 귀찮으시더라도 봇 편집 요청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4년 5월 4일 (토) 22:31 (KST)[답변]

틀:GamesSport의 구조적 문제[편집]

2024년 파리 올림픽을 앞두고 관련 문서들을 정비 중인데 위 틀에 기술적 문제가 있어서 도움을 구합니다. 위 틀의 기능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종목 이름을 입력하면 올림픽 종목 문서 링크와 픽토그램을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틀입니다 (예: {{GamesSport|육상|Format=d}} 육상 ). 이전까지는 픽토그램 그림 따로, 종목 링크 따로 일일히 수동으로 입력해야 했는데 그럴 필요가 없어진 매우 편리한 틀입니다.

문제는 이 틀이 현재 한국어판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습니다. 틀의 핵심적인 작동방식 중 하나가 선수단, 개별대회/종목 문서의 제목 내에서 대회명을 추적하고, 그 뒤에 종목명을 붙여서 해당 대회의 해당 종목 문서를 링크하는 것 (예: 올림픽 영국 선수단 문서에 {{GamesSport|육상|Format=d}}을 입력 : '올림픽' 영국 선수단'올림픽' + 육상)인데 이것이 지원되지 않고 있습니다.

영어판에서 GamesSport 틀은 'at' 구분자로 제목 내에서 대회명을 추적합니다. 모든 선수단과 개별종목 문서가 '(국가명/종목명) at the (대회명)'로 끝나기 때문입니다 (예: en:Great Britain at the Olympics, en:Swimming at the 1988 Summer Olympics). 그런데 한국어판은 이런 식의 제목구조를 취하지 않고 '(대회명) + (국가명/종목명)'의 단순 띄어쓰기로만 표기합니다 (예: 올림픽 + 영국 선수단, 1988년 하계 올림픽 + 수영). 한국어판 문서에서는 'at'을 추적할 수 없으므로, 단순히 문서명 뒤에 '(종목명)'만 붙이게 되어 엉뚱한 제목의 문서로 링크되는 등,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겁니다 (예시).

제목에서 대회명만 골라내는 코드를 알아내어 개선시키면 좋을 텐데, 저의 위키문법 코딩실력이 부족하여 고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해결방안을 아시는 분의 도움을 구합니다. 밥풀떼기 (토론) 2024년 4월 15일 (월) 14:03 (KST)[답변]

"대회명+띄어쓰기"로 시작하는 제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틀을 수정하면 기술적으로 해결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즉,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제목에서 ' at the '의 존재 여부를 판별하면 되는 것과 달리 한국어 위키백과는 여러 개의 (대회명+띄어쓰기)로 시작하는지 확인하는 방식인 것입니다. en:Template:Str startswith 틀(해당 틀과 연계되는 String2 모듈에도 해당 기능 추가)을 도입하거나, 기 존재하는 문자열 모듈에서 정규식으로 복수의 대회명을 지정하여 대회명 존재 여부를 파악하면 될 듯 합니다.
참고로, ' at the '가 포함된 영어 위키백과의 문서에서 대회명을 모두 추려본 결과 아래와 같이 38개가 검색됩니다.
검색 결과
  • Olympics
  • Summer Olympics
  • SEA Games
  • Winter Olympics
  • Commonwealth Games
  • Asian Games
  • Asian Winter Games
  • Pan American Games
  • Paralympics
  • Mediterranean Games
  • Asian Beach Games
  • Asian Martial Arts Games
  • Asian Indoor Games
  • East Asian Games
  • Asian Youth Games
  • South American Games
  • Summer Universiade
  • Asian Para Games
  • European Youth Olympic Festival
  • Youth Olympics
  • African Games
  • Summer Paralympics
  • FISU World University Games
  • Asian Indoor and Martial Arts Games
  • World Aquatics Championships
  • European Games
  • South Asian Games
  • British Empire and Commonwealth Games
  • British Commonwealth Games
  • Winter Universiade
  • World Games
  • World Athletics Championships
  • Arab Games
  • Deaflympics
  • Winter Paralympics
  • Islamic Solidarity Games
  • European Championships
  • Junior Pan American Games
위 영어 대회명에 해당하는 한국어 대회명이 제목의 앞단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면 될 듯 하지만, 그 외에 다른 좋은 해결책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ted (토론) 2024년 5월 4일 (토) 23:16 (KST)[답변]
대회명이 생각보다 굉장히 많네요. switch 구문이라도 활용해야하나 싶은데 이번에 모듈을 쓰는 것으로 또 바뀌어서 어렵네요. 밥풀떼기 (토론) 2024년 5월 6일 (월) 00:48 (KST)[답변]

Tech News: 2024-16[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4년 4월 16일 (화) 08:28 (KST)[답변]

Tech News: 2024-17[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4년 4월 23일 (화) 05:27 (KST)[답변]

목차 완료 표시 소도구의 문제[편집]

벡터 2022 스킨에서 목차를 사이드바로 이동하면 문제가 없는데 제목으로 이동하면 아이콘이 안뜹니다. Bluehill (토론) 2024년 4월 27일 (토) 16:42 (KST)[답변]

이상하게도 로그아웃 한 상태에서는 문제가 없네요. 제 환경이 문제인가 봅니다. Bluehill (토론) 2024년 4월 27일 (토) 16:45 (KST)[답변]

@RhapsoDJ: 아이콘을 바꾸시는 분께서는 기존에 총의가 확립된 상태에서 {{완료}}, {{미완료}} 아이콘을 변경하신 것인지 모르겠지만, 그렇지 않으셨다면 미리 공동체에 알려주시고 작업을 하셨으면 합니다. 해당 기여로 인해 기술 문제가 발생했고 소도구에 해당 아이콘이 반영이 안 되어 있어 미표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Bluehill: 뒤늦게 알아차리고 소도구에 반영은 했지만 이후에도 캐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웹 브라우저 캐시를 모두 삭제하고 다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4년 5월 4일 (토) 22:28 (KST)[답변]

Tech News: 2024-18[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4년 4월 30일 (화) 12:33 (KST)[답변]


DISPLAYTITLE 관련 질문[편집]

영어 위키백과의 Equation xy = yx 문서를 번역하다가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DISPLAYTITLE과 관련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en:Template:DISPLAYTITLE의 소스를 참고해서 틀:제목표시 문서를 만들었음에도 안 되는 것으로 보아 우리 위키에 해당 기능을 미디어위키의 지침에 따라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혹시 DISPLAYTITLE 확장 기능이 우리 위키에 설치되었는지 확인해주실 수 있나요? -- Kyeon-go (토론) 2024년 5월 4일 (토) 19:24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도 영어 위키백과와 똑같이 {{DISPLAYTITLE}}이라는 텍스트를 사용해야 제목의 효과가 적용됩니다. 그리고 {{DISPLAYTITLE}}는 틀이 아니라 특수 명령문입니다. '제목표시'라는 것은 처음 듣는데, 한국어로 번역해서 직접 만드신 용어이신가요? --ted (토론) 2024년 5월 4일 (토) 22:21 (KST)[답변]
네! 일부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선 자국어로 번역한 걸 참고해서(예: 에스페란토 버전, 프랑스어 버전) 만들어 본 것입니다 -- Kyeon-go (토론) 2024년 5월 5일 (일) 00:39 (KST)[답변]
설명문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해당 틀은 사용을 하지 말라고 적혀있습니다. (Please use {{DISPLAYTITLE:Pagetitle}}, rather than {{DISPLAYTITLE|Pagetitle}}. 문장 참고) 지금 도입하신 틀은 특수 명령문을 감싼 것 말고는 다른 역할이 없습니다. {{DISPLAYTITLE}}을 직접 사용해주세요. --ted (토론) 2024년 5월 5일 (일) 08:21 (KST)[답변]
감사합니다! 제가 만든 틀은 삭제 신청할게요!
문서 번역 기능에선 우리나라 위키에 없는 틀이라 떴던데 왜 그런 거죠? Kyeon-go (토론) 2024년 5월 5일 (일) 08:28 (KST)[답변]
제가 이해를 잘 했는지 모르겠으나, "Equation xy = yx" 문서를 번역하실 때 해당 틀이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메시지가 표시됐다는 말씀이신가요? 해당 문서는 DISPLAYTITLE 틀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특수명령문 DISPLAYTITLE의 용법은 {{DISPLAYTITLE:설명문서}}이고, 틀로서의 DISPLAYTITLE 사용법은 (틀이 존재하는 경우) {{DISPLAYTITLE|설명문서}}입니다. (가운데 :와 |의 차이에 따라 특수명령문을 쓸지, 틀을 쓸지 결정됨) 그리고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DISPLAYTITLE 틀을 사용하는 일반 문서는 없다고 보셔도 무방합니다.[33] 다시 말해 영어 위키백과에서 사용하지 않는 틀인데 왜 한국어 위키에 없는 틀이라고 경고가 나왔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 --ted (토론) 2024년 5월 5일 (일) 08:45 (KST)[답변]
네 맞습니다.. 제대로 이해하셨습니다. 처음엔 그 메시지가 뜨고 '해당 부분은 평문으로 추가된다' 같은 주의도 봤었습니다. 아무래도 이중 중괄호({{ }}) 안에 있어서 틀이라고 인식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 Kyeon-go (토론) 2024년 5월 5일 (일) 10:02 (KST)[답변]

실시간 미리 보기와 2017 위키텍스트 편집기의 미리 보기에서 {{클릭가능한 버튼2}}가 제대로 렌더링 되지 않는 문제[편집]

제 사용자 토론 문서를 편집하던 중에 이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사용자:Bluehill/토론 상단 틀에는 버튼 두개가 있는데 이게 링크로 렌더링되더라고요. Bluehill (토론) 2024년 5월 5일 (일) 23:26 (KST)[답변]

해당 문제가 발생한 원인은 미리 보기를 할 때 mw-ui-button 클래스와 연계가 되는 mediawiki.ui.button이 로드되지 않아서입니다. 이 문제가 왜 발생했는지, 그리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은 올려주신 파브리케이터에서 확인을 기다려야 할 듯 합니다. 긴급히 해결을 원하시면 스크립트에 아래 내용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위키페이지 콘텐츠가 표시될 때 해당 기능을 로드하는 스크립트입니다.
mw.hook( 'wikipage.content' ).add(function(){
	if ($('.mw-ui-button').length > 0) {
		if (mw.loader.getState('mediawiki.ui.button') === 'registered') {
			mw.loader.load('mediawiki.ui.button');
		}
	}
});
mediawiki.ui.button의 경우 구식 모듈로 경고가 표시되어 Codex 문법으로 치환이 권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phab:T346469에 따르면 해당 모듈은 2024년 1월 18일 기준으로 stable이 아니기 때문에(추후 CSS 변화로 인해 깨질 우려가 있어서 이에 따라 관리를 해주어야 함) 누군가가 꾸준히 이곳에서 코드를 관리해주는 사람이 없는 한 이곳에 적용하기엔 무리가 있을 듯 합니다. mw:Module:Clickable button 3, mw:Template:Clickable button 3/styles.css처럼 mediawiki.ui.button에 의존하지 않도록 강제 해결하는 방법도 존재하나 시스템 자체에서 제공하는 스타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에(변화가 반영되지 않음) 이 방법도 고려 대상은 아닙니다. --ted (토론) 2024년 5월 7일 (화) 18:49 (KST)[답변]

Tech News: 2024-19[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4년 5월 7일 (화) 01:44 (KST)[답변]

Hi everyone, as announced in November, the Web team at the Wikimedia Foundation is working on dark (sometimes also called night) mode. Now, we have released the feature for logged-in users of advanced mobile mode across all wikis for testing purposes. But don't worry, the new feature is not disruptive! (See the "known limitations" section below.) It's just important for us to work together with you before we release this feature to a wider audience. Our goals for the early rollout are to:

  • Show what we've built very early. The earlier you are involved, the more your voices will be reflected in the final version
  • Get your help with flagging bugs, issues, and requests
  • Work with technical editors to adjust various templates and gadgets to the dark mode

Go to the project page and the FAQ page to see more information about the basics of this project.

Known limitations of the initial release

  • Currently, dark mode is only available on mobile, for logged-in users who have opted into advanced mode, as an opt-in feature.
  • Gadgets may initially not work well with dark mode and may have to be updated.
  • Our first goal is making dark mode work on articles. Special pages, talk pages, and other namespaces have not been updated to work in dark mode yet. We have temporarily disabled dark mode on some of these pages.

What we would like you to do (the broad community)

If you have questions - ask us! Also, where appropriate, consider linking to the Recommendations for dark mode compatibility on Wikimedia wikis on pages explaining how to define colors in code. Soon, this page will be marked for translation. We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recommendations may evolve. For this reason, we are not suggesting to create your local wiki copies of recommendations. At some point, the copy could becom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version.

What we would like you to do (template editors, interface admins, technical editors)

When most bugs are solved, we'll be able to make the dark mode available for readers on both desktop and mobile. To make this happen, we need to work together with you on reporting and solving the problems.

  1. To turn it on, use the mobile website and go to the settings part of your menu and opt into advanced mode, if you haven't already. Then, set the color to dark. (Later, we will be allowing the device preferences to set dark mode automatically).
  2. Next, go to different articles and look for issues:
    • If you have noticed an issue with a template but do not know how to fix it
      1. Go to the recommendations page and find a relevant example
      2. If no relevant example is available or you're not sure of the fix, contact us
    • If you want to debug many templates in dark mode
      1. Install the WCAG color contrast browser extension (Chrome, Firefox) and visit some articles. Use it to identify problems
      2. Go to the recommendations page and find relevant examples
      3. If no relevant example is available or you're not sure of the fix, contact us
    • If you have a bug report for dark mode that is not related to templates
      1. Take a screenshot of what you are observing.
      2. Contact us. If possible, please write down your browser version and operating system version.

Thank you. We're looking forward to your opinions and comments! SGrabarczuk (WMF) (토론) 2024년 5월 11일 (토) 01:21 (KST)[답변]

Tech News: 2024-20[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4년 5월 14일 (화) 08:58 (KST)[답변]

아이콘 디자인 변경[편집]

기존의 아이콘들은 명암 묘사가 많아서 몇몇 분들께는 보기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다음 틀들의 아이콘을 변경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크기는 틀에 맞게 조정하면 됩니다.)

RhapsoDJ (토론) 2024년 5월 20일 (월) 20:50 (KST)[답변]

Tech News: 2024-21[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4년 5월 21일 (화) 08:04 (KST)[답변]

아이콘 디자인 변경 (2)[편집]

이전에 {{의견 요청}}의 아이콘 변경 요청을 올렸었는데 다시 보니 아래의 아이콘이 가시성이 더 좋을 것 같네요. 죄송하지만 다시 부탁드려도 될까요?

RhapsoDJ (토론) 2024년 5월 24일 (금) 23:03 (KST)[답변]

Tech News: 2024-22[편집]

MediaWiki message delivery 2024년 5월 28일 (화) 09:15 (KST)[답변]

Mbox 계열 기본 아이콘들의 디자인 변경.[편집]

{{Mbox}} 계열 틀들({{Ambox}}, {{Tmbox}}, {{Imbox}}, {{Cmbox}}, {{Ombox}})에 쓰이는 기본 아이콘의 설정을 플랫 디자인으로 변경해 주신다면 좋겠습니다.

RhapsoDJ (토론) 2024년 5월 30일 (목) 14:11 (KST)[답변]


하단의 업로드 링크에 있는 아이콘을 플랫 디자인 아이콘으로 변경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파일:OOjs UI icon upload-progressive.svg

RhapsoDJ (토론) 2024년 6월 1일 (토) 09:13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