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Misery (비틀즈의 노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isery〉
뒷면에 〈Ask Me Why〉를 싣고 발표된 독일 싱글
비틀즈의 노래
Please Please Me》의 수록곡
발매일1963년 3월 22일
녹음1963년 2월 11일, 20일
장르팝 록
길이1:47
레이블팔로폰
작사가매카트니-레논
프로듀서조지 마틴
Please Please Me》의 수록곡
I Saw Her Standing There
(1)
〈Misery〉
(2)
Anna (Go to Him)
(3)

Misery〉는 영국의 록 밴드 비틀즈의 곡으로, 그들의 첫 정규 음반 《Please Please Me》에 수록되었다. 존 레논폴 매카트니가 공동 작곡했다. 1963년 케니 린치가 〈Misery〉를 커버하여 다른 가수에 의해 최초로 커버된 비틀즈의 곡이 되었다.[1]

배경[편집]

1963년 2월, 14살의 나이에 차트에서 성공을 거두며 영국에서 승승장구하던 헬렌 샤피로는 비틀즈와 함께 전국 투어를 돌게 되었다.[2] 그녀의 아티스트 앤 레퍼토리 매니저였던 노리 파라머는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녹음하여 새로운 컨트리 앤드 웨스턴 음반에 들어갈 곡을 계획하고 있었다. 그는 비틀즈에게 그녀를 위한 곡을 써달라고 요청했다.[3]

그렇게 〈Misery〉는 비틀즈가 뒷무대부터 쓰기 시작해 이후 폴 매카트니가 포슬린 20번지에 위치한 자신의 집에서 작곡을 끝냈다.[4] 당시의 상황을 매카트니는 이렇게 회고했다. "우리는 그 곡을 'Misery(비참해)'라고 불렀지만, 들리는 것처럼 느리진 않아요. 그건 꽤 상당한 속도로 나아갑니다. 그리고 우린 헬렌이 이 노래를 마음에 들어할 거라 생각했어요."[5] 그러나 파라머는 곡의 가사가 부적합하다고 생각했고,[1] 결국 비틀즈는 당시 같은 투어에서 활동한 영국의 가수이자 엔터테이먼트인 케니 린치한테 곡을 주었다(HMV Pop 1136).[6] 그는 레논-매카트니가 작곡한 곡을 처음으로 커버한 사람이 된다.[1][4] 차트에서의 성적은 좋지 못했다.[7] 린치는 1973년 매카트니의 음반 《Band on the Run》의 커버에서 등장했다.

녹음[편집]

후에 비틀즈는 《Please Please Me》에 들어갈 오리지널 곡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자신들이 그것을 녹음하였다.[8] 《Please Please Me》의 모든 곡과 같이 매카트니 & 레논으로 표기되었다. 이 작곡가 표기는 두 번째 음반 《With the Beatles》에서 더 친숙한 레논-매카트니로 변한다. 레논은 "폴의 곡이라기 보다는 존의 곡이지만, 그래도 함께 쓴 곡입니다."라고 말했다.[9] 매카트니는 "전 우리 둘 중 하나가 그걸 주도하지는 않았다고 생각해요. 그냥 날림으로 쓴 곡이였습니다."라고 말했으며,[10] "우리의 첫 발라드 시도"라고도 말한 바 있다.[11]

비틀즈는 1963년 1월 11일의 긴 녹음 일정 동안 11테이크를 녹음했다. 노먼 스미스가 엔지니어를 맡았다.[11] 평범한 스튜디오 멀티트랙 테이프는 15ips(매초당 인치)의 속도지만, 〈Misery〉의 녹음에서는 30ips의 속도였다. 차후 조지 마틴이 개인적으로 한 옥타브 낮은 하프 템포의 피아노 연주를 덧입혔다.[12]

발매[편집]

  • 영국 LP: 《Please Please Me
  • 미국 LP: 《Introducing... The Beatles》
  • 영국 EP: 《The Beatles (No. 1)》

참여 인원[편집]

맥도널드의 글에서 발췌[13][11]

커버판[편집]

연도 가수 발매
1963 케니 린치[1]
1976 플라민스 그루비스 《Shake Some Action》[14]
1993 에바 브라운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