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할단 훈련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관타나모만 수용소 수용자들의 출신 훈련소(2007년)

할단 훈련소(아랍어: معسكر خلدن)는 아프가니스탄 팍티야주 동부의 산악 지대에 있었던 군사 훈련소였다.[1] 아프가니스탄에 있었던 군사 훈련소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유명한 곳 가운데 하나였다.[2]

미국 정보 분석가들은 할단 훈련소가 알카에다의 훈련소였다고 하지만 일부에서는 훈련소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중앙정보국의 지원 아래에 세워졌다고 주장한다.[3][4] 할단 훈련소의 소장은 리비아 출신의 이븐 알샤이흐 알리비2001년 말에 체포됐다.[5]

1999년 신년전야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을 폭파시키려 했었던 아흐메드 레삼1998년 4월에 '나빌'이라는 가명으로 5, 6개월간 할단 훈련소에서 훈련을 받았다고 말했다.[6] 그는 할단 훈련소에는 50~100명 정도의 훈련병들이 있었으며 소화기권총, 소형 기관총, 로켓추진유탄, 폭발물(TNTC-4, 가소성 폭약 포함), 독극물(사이안화물 포함) 사용법과 사보타주, 대상 선택법, 시가전, 전술(암살 포함), 보안 등을 배웠다고 했다.[6][7] 관타나모만 수용소에 수용됐었던 한 수용자는 11살 때 할단 훈련소에서 훈련을 받았으며 정신 교육을 많이 받았다고 말했다.[8]

아프가니스탄 전쟁 초기에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할단 훈련소를 알카에다의 훈련 시설이라고 설명하며 적 전투원들을 관타나모만 수용소에 가두었다.[9] 그러나 2006년 이후로 9/11 위원회 보고서와 노르웨이 국방 연구소의 국제 테러리즘 및 세계 지하디즘 연구부장 브뤼니아르 리아의 주장, 관타나모만 수용소 수용자들의 재판 기록물 등은 부시 행정부의 이러한 판단에 의문을 표한다.[9][10][11] 사우디아라비아인 관타나모만 수용소 수용자 아부 주바이다는 할단 훈련소는 오사마 빈라덴의 요청으로 2000년탈레반이 폐쇄했다고 증언했다.[9] 수단인 수용자 누르 우트만 무하메드와 사우디아라비아인 수용자 할리드 술라이만 자이드 알후바이시도 이 증언을 뒷받침했다. 브뤼니아르 리아는 2008년에 쓴 책에서 할단 훈련소와 탈레반, 알카에다의 간부들 사이에 이념적 마찰이 생겨 할단 훈련소가 폐쇄됐다고 주장했다.[11] 아부 주바이다와 알후바이시, 무하메드도 이를 증언했다.[9] 미국 정부가 할단 훈련소와 연관됐다고 주장하던 57명의 수용자 가운데 27명이 풀려났는데 이 가운데에는 아부 주바이다의 친구인 알후바이시도 포함됐다.[12]

할단 훈련소 출신 인물[편집]

각주[편집]

  1. Mark Fineman, Bob Drogin & Josh Meyer (2001년 12월 18일). “Camps Are Rubble but Their Threat Remains”. 《Los Angeles Times》.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2. 미상 (2015년 3월 20일). “Revealed: The CIA report used as pretext for Iraq invasion”. 《Russia Today》. 2015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3. Jones, S. G. (2012). Hunting in the Shadows: The Pursuit of al Qa'ida since 9/11: The Pursuit of al Qa'ida since 9/11. W. W. Norton & Company. "The guesthouses were used as temporary residences by foreign fighters on their way to —or back from— the Khaldan camp. Khaldan was not under the control of al Qa'ida, though Zubaydah knew many of the members."
  4. Kevin Ryan (2012년 10월 17일). “Abu Zubaydah Poses a Real Threat to al-Qaeda”. 《Foreign Policy Journal》. 2015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5. Hal Bernton, Mike Carter, David Heath & James Neff (2002년 7월 7일). “The Terrorist Within”. 《The Seattle Times》. 2013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6. U.S. Court of Appeals for the Ninth Circuit (2010년 2월 2일). “United States v. Ressam” (PDF). 2012년 10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7. “Ressam Testimony in Mokhtar Haouari Trial”. 《Southern District of New York》.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8. Thomas Walkom (2003년 12월 2일). “Ordinary lad — or jihad conscript?”. 《Toronto Star》. 2005년 3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2007). “Abu Zubaydah Unclassified Verbatim Combatant Status Review Tribunal Transcript” (PDF). 2009년 5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10. 9/11 Commission. (2006). 9/11 Commission Report: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Commission on Terrorist Attacks Upon the United States.
  11. Brynjar, L. (2008). Architect of Global Jihad: The Life of Al-Qaida Strategist Abu Mus'ab al-Suri. Columbia University Press. pp. 242–243.
  12. 미상 (2018년 5월 2일). “The Guantánamo Docket”. 《The New York Times》.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13. 미상 (2005년 12월 22일). “Another Angle on al-Zawahiri's Call to Action”. 《Stratfor》.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14. Hal Bernton, Mike Carter, David Heath & James Neff (2002년 7월 7일). “Going to Camp”. 《The Seattle Times》. 2005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15. 미상. “THE ATTACK LOOMS”. 《National Commission on Terrorist Attacks Upon the United States》.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 
  16. Leela Jacinto (2013년 12월 14일). “Key figures in al Qaeda's North African branch” (PDF). 《CIMIC》.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6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