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정상회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중일 정상회의
당사국

한중일 정상회의(韓中日頂上會議, 일본어: 日中韓首脳会談, 중국어: 中日韩领导人会议)는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3개국이 합의해 2008년부터 매년 연례적으로 개최하는 국가정상급 회의이다.

상세[편집]

동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고 경제협력 및 관계개선, 재난대책 등의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보건, 교육, 환경, 재무, 교통, 문화, 스포츠, 경제 및 통상, 재난 관리 등에 3국은 협력을 지속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1] 한중일 정상회의 이후 각종 다양한 장관급 회의 또한 3국 협력의 실질적인 진행을 잘 보여주고 있다.[2][3][4]

역대 정상회의에서는 한중일 3국의 공동 관심사 및 이익에 대해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북핵 문제, 한중일 FTA, 대만 문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등 3국이 공유하고 있는 문제는 매우 심오하기에, 3국 협력은 모두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개최지는 매년 회의 참가국이 돌아가면서 맡고 있는데[5], 개최지는 이후 일본 →중국→한국 순서로 결정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는 한중일 3국 협력 사무국이 설치되어 있다.[6]

역사[편집]

대한민국,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간의 3국 협력은 1990년대 후반 오부치 게이조 총리와 전문가들이 조찬 회동을 통해 아세안+3 정상회의의 연장선상에서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할 것을 제안한 것에서 시작되었다.[7] 1999년 3국 정상들의 첫 조찬 회동을 계기로 3국 협력은 첫발을 뗐다.[8]

이후 3국은 매년 아세안+3 정상회의의 연장선상에서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개최했으며, 2004년 노무현 대통령은 아세안+3 정상회의 바깥에서 3국 정상회의를 제도화할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노 대통령의 제안에 중국과 일본은 동의의 표시를 하였다. 몇 년 간의 협상을 거쳐, 3국은 2007년에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아세안+3와 독립된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7] 2008년에 최초의 공식적인 한중일 정상회의가 일본 후쿠오카시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연례적으로 개최되었다가, 2015, 2018, 2019, 2024 불규칙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회의[편집]

정상회의[편집]

회의 개최국 개최도시 참가정상 일자
대한민국 대한민국
대통령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총리
일본 일본
내각총리대신
1차 일본 일본 후쿠오카 이명박 원자바오 아소 다로 2008년 12월 13일
2차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이명박 원자바오 하토야마 유키오 2009년 10월 10일
3차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주 이명박 원자바오 하토야마 유키오 2010년 5월 29일 ~ 30일
4차 일본 일본 후쿠시마, 도쿄 이명박 원자바오 간 나오토 2011년 5월 21일 ~ 22일
5차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이명박 원자바오 노다 요시히코 2012년 5월 13일
6차 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 박근혜 리커창 아베 신조 2015년 11월 1일
7차 일본 일본 도쿄 문재인 리커창 아베 신조 2018년 5월 9일
8차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청두 문재인 리커창 아베 신조 2019년 12월 24일
9차 대한민국 대한민국 서울 윤석열 리창 기시다 후미오 2024년 5월 26~27일(조율 중)

외무장관회의[편집]

회의 개최국 개최국 장관 개최도시 일자
1회 대한민국 대한민국 송민순 제주 2007년 6월 3일
2회 일본 일본 고무라 마사히코 도쿄 2008년 6월 14일
3회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양제츠 상하이 2009년 9월 28일
4회 대한민국 대한민국 유명환 경주 2010년 5월 15일
5회 일본 일본 마쓰모토 다케아키 교토 2011년 5월 19일
6회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양제츠 닝보 2012년 4월 8일
7회 대한민국 대한민국 윤병세 서울 2015년 3월 21일
비공식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 박진, 왕이, 하야시 요시마사 코로나19 중에 삼국의 외교장관이 아세안+3 외교장관회의에서 만났다 2022년 8월 4일
8회 대한민국 대한민국 박진 부산 2023년 11월 26일

국가 정보[편집]

기본 정보[편집]

국가 면적 km2 인구 인구밀도
인간개발지수
(2014)
수도 최대 도시 2위 도시 3위 도시
대한민국 대한민국 100,210 50,004,441 491 0.891 (15위) 서울 서울 부산 인천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9,596,961 1,339,724,852 139.6 0.719 (91위) 베이징 상하이 베이징 광저우
일본 일본 377,944 128,056,026 337.1 0.890 (17위) 도쿄 도쿄 요코하마 오사카

경제[편집]

국가 GDP (명목)
백만$ (2014)
GDP (PPP)
백만$ (2014)
1인당 GDP (명목)
$ (2014)
1인당 GDP (PPP)
$ (2014)
수출규모
백만$ (2012)
수입규모
백만$ (2012)
무역규모
백만$ (2012)
대한민국 대한민국 1,449,494 1,789,758 28,739 35,485 552,600 514,200 1,066,800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10,355,350 17,632,014 7,572 12,893 2,057,000 1,735,000 3,792,000
일본 일본 4,769,804 4,788,033 37,540 37,683 773,900 830,600 1,604,500

군사[편집]

국가 병력 국방비
백만달러
(2015)
구축함,F-15이상급
(2015)
군사력 순위
대한민국 대한민국 687,000 33,900 9척,50대 6위
일본 일본 230,300 57,600 56척,350대 5위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2,285,000 188,000 21척,60대 3위

신용등급[편집]

국가 피치 무디스 S&P
대한민국 대한민국 AA- Aa3 AA-
일본 일본 A+ A1 A+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A+ Aa3 AA-

가입된 국제기구 및 조직[편집]

국가 G20 G7 P5 G4 UfC OECD OSCE DAC BRICS MIKT MNNA APEC EAS APT SCO WTO
대한민국 대한민국 × × × × ×
일본 일본 × × × ×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 × × × x × × ×

각주[편집]

  1. 외교부. “회의결과 목록 | 한 · 일 · 중 3국 협력 외교부”. 2024년 5월 15일에 확인함. 
  2. “한중일 환경장관 3~4일 일본서 회의…“대기질 등 현안 논의””. 2024년 5월 15일에 확인함. 
  3. “한중일 재무장관”. 2024년 5월 15일에 확인함. 
  4. “한중일 문화장관 ‘전주 선언문’ 채택…“미래세대·지역교류 강화””. 2024년 5월 15일에 확인함. 
  5. http://news.donga.com/3/all/20110521/37414868/1
  6.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9/28/201109280014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7. Lee, Jong Won (March 2019). “Kim Dae Jung's Initiative for the East Asian Community and Korea-Japan-China Trilateral Cooperation” (PDF). 《アジア太平洋研究》 36: 19–42. 
  8. “China-Japan-ROK Cooperation (1999-2012)”. 《gov.c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4년 12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3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