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찬차차라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피찬차차라어
사용 지역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서북부, 피찬차차라 소유지, 얄라타; 노던 준주 서남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사용 민족 피찬차차라인
언어 인구 3,125명 (2016년)
80% 단언어 화자 (날짜 없음)
문자 로마자
언어 계통 파마늉아어족
 와티어파
  서부사막어군
   피찬차차라어
언어 부호
ISO 639-3 pjt 피찬차차라어
글로톨로그 pitj1243[1]

피찬차차라어(Pitjantjatjara language)[2]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사막지대에 사는 피찬차차라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다른 서부사막어군 언어들과 상호소통이 가능하며, 특히 얀쿤차차라어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단지 20%의 피찬차차라인들만이 영어를 사용하며, 나머지는 피찬차차라어만을 사용한다. 약 50%~70%에 달하는 피찬차차라인들이 그들의 언어로 읽고 쓰기가 가능하다. 사용인구는 2500명 정도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제어 중에서는 가장 보존이 잘 된 언어 중 하나이다.

음운론[편집]

피찬차차라어의 음운 목록은 다음과 같다. 철자는 화살괄호 안에 병기하였다.[3]

피찬차차라어 자음
양순음 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파열음 p~b p t~d t ʈ~ɖ c~ɟ tj k~ɡ k
비음 m m n n ɳ ɲ ny ŋ ng
설측음 l l ɭ ʎ ly
R음 r~ɾ r ɻ [4]
접근음 j y w w

피찬차차라어에는 일반적인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와 같이 대조되는 3개의 모음이 있다.[5]

피찬차차라어 모음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ɪ i, ɪː ii ʊ u, ʊː uu
저모음 ɐ a, ɐː aa

피찬차차라어는 모음의 길이를 구별한다. 장모음은 모음 글자를 중복해서 쓰거나 콜론 :을 써서 a:, i:, u:처럼 나타낸다.

피찬차차라어 정서법은 다음과 같이 밑줄 그은 글자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인 로마자 낱자에 밑줄을 그어 나타낼 수도 있고 전용 유니코드 글자로 나타낼 수도 있다.

  • Ḻ: 유니코드 1E3A
  • ḻ: 유니코드 1E3B
  • Ṉ: 유니코드 1E48
  • ṉ: 유니코드 1E49
  • Ṟ: 유니코드 1E5E
  • ṟ: 유니코드 1E5F
  • Ṯ: 유니코드 1E6E
  • ṯ: 유니코드 1E6F

밑줄은 해당 자음이 치경음이 아니라 권설음임을 나타낸다.

음소배열론[편집]

피찬차차라어에서 장모음은 어휘적인 어근의 첫 음절에서만 나타난다.[6] 따라서 피찬차차라어의 음소배열론은 첫 음절에서는 (C)V(V)(C), 둘째 음절부터는 (C)V(C)을 따른다. 전통적인 피찬차차라어에서 모든 단어는 모음으로 끝난다.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의 경우 다른 접미사가 붙지 않는다면 접미사 -pa가 붙어 단어가 자음으로 끝나는 것을 방지한다.

Ngayu-lu mingkul-ku a-nu.
1SG.NOM wild.tobacco-PURP go-PAST
‘내가 야생 담배를 위해 왔다.’
Ngayu-lu mingkul-pa tjuṯa-ku a-nu.
1SG.NOM wild.tobacco-AUG PL-PURP go-PAST
‘내가 많은 야생 담배를 얻기 위해 왔다.’

ly는 단어의 첫 소리로 올 수 없으며, y 역시 드물다.

강세[편집]

대부분의 오스트레일리아 언어들은 주강세가 단어의 첫 음절에, 부강세가 셋째, 다섯째 등의 음절에 오며,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는 강세가 오지 않는다는 규칙이 있다.[7] 피찬차차라어 역시 이를 따른다.

피찬차차라어에서 동사는 방향 접두사가 붙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접두사와 동사의 첫 음절 모두 주강세를 취한다.

[mɑ́ːpɪ́cʌ] maa-pitja 떨어져-가다(명령)
[ŋɑ́ʎʌpɪ́cʌ] ngalya-pitja 이쪽-가다(명령)

자음 연쇄[편집]

연속되는 두 자음을 각각 C1과 C2라고 할 때에 피찬차차라어의 자음 연쇄는 다음과 같은 제약을 받는다.[8]

  • C1은 파열음 혹은 반모음이 아니어야 한다.
  • C2는 설측음과 r이 아니어야 한다.
  • 같은 위치에서 조음되지 않는 자음들의 연쇄의 경우 C1은 변자음이 아니어야 하고, C2는 치경음이 아니어야 한다.
  • 비음인 자음들의 연쇄의 경우 C2는 설단음이 아니어야 한다.
  • C1이 r일 때 C2는 치경음이 아니어야 한다.

문법[편집]

다음 내용은 주로 Bowe (1990)를 따른다.

명사[편집]

행위자 피행위자[편집]

피찬차차라어는 분열 능격이 나타나는 언어로,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는 능격-절대격 정렬을 따르지만 대명사는 주격-대격 정렬을 따른다.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의 능격 절대격 접미사는 형태가 다르며, 1인칭 단수 주격 대격 접미사는 고유 명사의 능격 절대격 접미사와 형태가 일치한다.

Minyma-ngku tjitji nya-ngu.
woman-ERG child.ABS see-PAST
‘여자가 아이를 보았다.’
Billy-lu Naomi-nya nya-ngu.
Billy-ERG Naomi-ABS see-PAST
‘Billy가 Naomi를 보았다.’
Palu-ṟu ngayu-nya nya-ngu.
3SG.NOM 1SG.ACC see-PAST
‘그가 나를 보았다.’

목표-소유격[편집]

피찬차차라어에서 -ku/-mpa는 소유자를 표시하거나 무언가를 위해서임을 나타낸다. -ku는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에, -mpa는 대명사에 붙는다.

Kungkawara-ku ngunytju a-nu.
girl-GEN mother.ABS go-PAST
‘소녀의 어머니가 갔다.’
Minyma-ngku kuri-ku kapi mantji-nu.
woman-ERG spouse-PURP water.ABS get-PAST
‘여자가 남편을 위해 물을 얻어 왔다.’

목표-소유격은 신체 부위와 같은 양도 불가능 소유를 나타내는 데에 사용될 수 없다. 양도 불가능 소유는 소유자와 같은 격을 취함으로 나타낸다.

Tjilka-ngku minyma tjina waka-ṉu.
prickle-ERG woman.ABS foot.ABS pierce-PAST
‘가시가 여자의 발을 찔렀다.’

몇몇 동사들은 목표-소유격을 둘째 논항으로 취한다. 따라서 해당 문장은 자동문이 된다.

Kuḻunypa ngampu-ku mukuri-nganyi.
toddler.ABS egg-PURP like-PRES
‘아이가 달걀을 좋아한다.’

장소-도구격[편집]

피찬차차라어에서 -ngka/-la는 장소를 표시하거나 도구로 사용됨을 나타낸다. -ngka는 일반 명사와 고유 명사에, -la는 대명사에 붙는다.

Tjitji ngura-ngka nyina-pai.
child.ABS home-LOC sit-HABIT
‘아이가 야영지에서 머무르곤 했다.’
Palu-ṟu palu-la tjawa-lpai.
3SG.NOM 3sg-INSTR dig-HABIT
‘그가 그것으로 파내곤 했다..’

장소격 접미사 -ngka/-la는 아래의 향외격, 탈격, 횡단 접미사가 고유 명사와 대명사에 붙을 때, 기피 접미사가 무언가에 붙을 때 그 사이에 삽입된다.

향외격[편집]

피찬차차라어에서 -kutu는 향외격을 표시한다.

Wati ngura-kutu a-nu.
man.ABS home-ALL go-PAST
‘남자가 집으로 갔다.’
탈격[편집]

피찬차차라어에서 -nguru는 탈격을 표시한다.

Wati-ngku maḻu apu katu-nguru nya-ngu.
man-ERG kangaroo.ABS hill top-ABL see-PAST
‘남자가 언덕 위에서 캥거루를 보았다.’
횡단 접미사[편집]

피찬차차라어에서 -wanu는 그것을 가로질러 간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Wati karu-wanu a-nu.
man.ABS creek-TRAN go-PAST
‘남자가 계곡을 가로질러 갔다.’
기피 접미사[편집]

피찬차차라어에서 -tawara는 그것을 피해 어디론가 간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항상 장소격 접미사 -ngka/-la와 같이 나타난다.

Minyma a-nu tjitji kura-ngka-tawara.
woman.ABS go-PAST child bad-LOC-AVERS
‘여자가 나쁜 아이가 무서워 떠났다.’

인과 접미사[편집]

피찬차차라어에서 -kitja, -tjiratja, -tjara는 각각 무엇을 위해, 무엇이 없기 때문에, 무엇이 있기 때문에 그러하다는 의미를 나타낸다.[9] -kitja와 -tjiratja는 반드시 능격 접미사를 붙여 일치시켜야 하지만, -tjara는 능격 접미사를 붙이는 여부에 따라 다른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Minyma-ngku kuri pu-ngu kungka kutjupa-tjara
woman-ERG spouse hit-PAST woman another-HAVING
‘여자가 다른 여자가 있는 남편을 때렸다.’
Minyma-ngku kuri pai-nu wati kutjupa-tjara-ngku
woman-ERG spouse banish-PAST man another-HAVING-ERG
‘여자가 다른 남자가 있어 남편을 쫓아냈다.’

능격 접미사가 붙었을 경우 소유주가 능격임을 표시하고, 그렇지 않았을 경우 소유주는 절대격이다.

대명사[편집]

피찬차차라어의 대명사는 단수, 쌍수, 복수와 1인칭, 2인칭, 3인칭으로 구분된다. 대명사는 명사와는 다르게 주격-대격 정렬을 따른다. 3인칭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은 오스트레일리아 언어에서 일반적이지 않다.

피찬차차라어 대명사
  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 쌍수 복수 단수 쌍수 복수 단수 쌍수 복수
주격 ngayu-lu ngali nganaṉa nyuntu nyupali nyura palu-ṟu pula tjana
대격 ngayu-nya ngali-nya nganaṉa-nya nyuntu-nya nyupali-nya nyura-nya palu-nya pula-nya tjana-nya

의존 대명사[편집]

피찬차차라어의 의존 대명사는 접어의 형태로 나타나며, 문장의 첫 구성 성분에 붙는다. 단독으로 나타날 수 있는 대명사와 마찬가지로 주격과 대격이 존재한다.

피찬차차라어 의존 대명사
  1인칭 2인칭 3인칭
단수 쌍수 복수 단수 쌍수 복수 단수 쌍수 복수
주격 -ṉa -li -la -n -pula/Ø -ya/Ø
대격 -ṉi -li-nya -la-nya -nta

모든 대명사에 대해 접어 형태가 존재하는 것은 아닌데, 이 경우 대명사가 직접 사용된다.

Tjitji-ṉa nya-ngu.
child.ABS-1SG.NOM see-PAST
‘내가 아이를 보았다.’
Tjitji nyanga puḻka-ngku-ṉi nya-ngu.
child this big-ERG-1SG.ACC see-PAST
‘이 큰 아이가 나를 보았다.’

각주[편집]

  1.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Pitjantjatjara〉.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빠른 발화에서 종종 어중의 -tja-가 생략된 Pitjantjara로도 나타난다.
  3. Tabain & Butcher (2014), 190–191쪽.
  4. 단, 어두에서 r로 쓰이기도 하는데, 어두에는 /r/가 올 수 없기 때문이다. 다른 정서법에서는 /r/rr로 적고 /ɻ/r로 적기도 한다.
  5. Tabain & Butcher (2014), 194–195쪽.
  6. Goddard (1985), 11–12쪽.
  7. Dixon (1980), 128쪽.
  8. Langlois (2004), 43–44쪽.
  9. 언어명이자 부족명인 Pitjantjatjara는 pitjantja-tjara로 분석되며, '나아가기 때문에'의 의미를 가진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