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노니아 수페리오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판노니아 수페리오르 속주
Provincia Pannonia Superior
로마 제국속주
103년–3세기

주도카르눈툼
역사적 시대고대
• 설치
103년
• 폐지
3세기
Preceded by
Succeeded by
판노니아 속주
판노니아 프리마
판노니아 사비아

판노니아 수페리오르(Pannonia Superior)는 로마 제국속주 중 하나이다. 중심 도시는 카르눈툼이었으며, 도나우강을 끼고 있는 국경 속주 중 하나였다. 서기 103년에 트라야누스판노니아 속주를 판노이아 수페리오르와 판노니아 인페리오르 등 두 개 속주로 분리시키며 설치되었다. 속주의 영역에는 오늘날 오스트리아, 크로아티아, 헝가리,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등 국가들을 포함하였다.

역사[편집]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서기 193년 황제 자리에 도전하기로 하던 당시에 이곳의 총독이었다.

308년에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사두정치 체제 안에서 커져가던 긴장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카르눈툼에서 공동 황제들인 막시미아누스, 갈레리우스 등과 역사에 남을 만한 회의를 주관하였다. 디오클레티아누스와 막시미아누스는 막센티우스의 손에 죽은 발레리우스 세베루스를 대신하여 갈레리우스가 리키니우스정제로 임명하는 것을 논의하기 위해 308년 11월 11일에 참석한 것이었다. 갈레리우스는 은퇴 후에 권력을 다시 잡으려던 막시미아누스에게 영구적으로 권력에서 물러날 것을 요구하였다. 카르눈툼에서 사람들은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권력 장악과 막센티우스의 반역 행위 등 제국에서 일어난 분쟁들을 해결하길 바라며 디오클레티아누스에게 다시 권좌에 오르라 애청하였다.[1]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다음과 같이 답하였다고 한다: "내가 직접 심어 기른 양배추를 자네의 황제에게 보여줄 수 있다면, 내가 이곳의 평화와 행복을 결코 만족하지 못할 욕망의 소용돌이로 바꿀 것이라는 추측을 그는 분명히 하지 않을 것이다."[2]

도시[편집]

판노니아 수페리오르의 주요 도시들은 다음과 같다:

후대의 판노니아 수페리오르[편집]

8세기 프랑크족계 국가인 판노니아 변경의 북쪽 지역 역시도 판노니아 수페리오르라고 불렸다. 판노니아 수페리오르라는 이름은 훨씬 후대에서 유사하면서도 또한 더 넓어진 의미로 사용된 것을 찾아볼 수 있으며, 예시로 오토 폰 프라이징은 이를 12세기에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본토)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였다 (Chron. 6, 15).

총독 목록[편집]

각주[편집]

  1. Barnes, Constantine and Eusebius, 31–32; Lenski, 65; Odahl, 90.
  2. Aurelius Victor, Epitome de Caesaribus 39.6.
  3. Unless otherwise noted, governors from 103 to 137 are taken from Werner Eck,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Chiron, 12 (1982), pp. 281-362; 13 (1983), pp. 147-237
  4. Margaret Roxan and Paul Holder, Roman Military Diplomas IV, published as Bulletin of the Institute of Classical Studies. Supplement, No. 82 (2003), pp. 463f
  5. Unless otherwise noted, governors from 137 to 179 are taken from Géza Alföldy,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Bonn: Rudolf Habelt Verlag, 1977), pp. 235-238
  6. Legates for A.D. 182 to 238 are based on Paul M.M. Leunissen,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180-235 n. Chr. (Amsterdam: Verlag J.C. Gieben, 1989), pp. 258f

같이 보기[편집]

  • 에피토메 데 카이사리부스 (translation) ca. 395.
  • Barnes, Timothy D., Constantine and Eusebius.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ISBN 978-0-674-16531-1
  • Lenski, Noel. "The Reign of Constantine."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Constantine, edited by Noel Lenski, 59–9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Hardcover ISBN 0-521-81838-9 Paperback ISBN 0-521-52157-2
  • Odahl, Charles Matson. Constantine and the Christian Empire. New York: Routledge, 2004. Hardcover ISBN 0-415-17485-6 Paperback ISBN 0-415-386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