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대한민국 여성가족부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새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지막 의견: 2개월 전 (InternetArchiveBot님) - 주제: 외부 링크 수정됨 (2024년 3월)

군 가산점의 외국 사례는 주제와 무관합니다.[편집]

또한 KBS심야토론 군가산점 논란 편에서 군 가산점 찬성 패널측이 미국은 군가산점을 준다는 논거로 군 가산점 부활을 찬성하였으나 미국의 군가산점제는 제 2차세계대전, 한국전쟁 등 미국이나 미국 동맹국의 편에 서서 전쟁에 참여했거나 군복무 중 사망하거나 상해당했을 때 본인이나 유족들이 받는 것으로 이러한 가산점제도는 대한민국에도 국가유공자 가산점 제도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며 일반 제대군인에게 까지 가산점 부여를 하자는 현 군가산점 부활 논란과 다르다. [33]

군 가산점 자체에 대한 사항이며, 여성부와 연관된 괴담은 아니므로 군 가산점 항목으로 옮겨야 합니다.

"군대 논란" 중 보수측 반응은 잘못되었습니다.[편집]

군대 논란 부분에서, 아래와 같은 부분은 전체적인 사실과 다릅니다.

오히려 여성부를 비난하는 보수 측에서 더 심하게 군대를 폄하했다.전원책 변호사는 "군대는 폭력을 가르치는 폭력집단","돈 100만원 줘도 군대 안간다.","군대에서 학점 이수?그거 다 보기 좋으라고 그러는 것이다.","이 세상에 가고 싶은 군대가 어디 있나" 라고 발언했고[30]

전원책 변호사는 군대 가산점 부활에 찬성하는 입장이며, 위와 같이 발언한 것은 군대가 힘든 곳이며, 고생하는 군인을 인정하며 응분의 보상을 주자는 주장이었습니다. 위와 같이 중간 부분만 잘라서 붙이면 전체적인 의미가 변질됩니다.

그리고 김문수 지사의 발언도 본질과 어긋납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하이닉스에서 나오는 구리 양보다도 특전사 6700명의 군인이 와서 팔당호를 오염을 시키는 것이 더 심각하다", "군사시설은 군사보호지역이 늘어나는 혐오시설이라서 주민들이 받기를 원치 않는다" 등 진심으로 군대에 적대감을 표한 군대 폄하 발언을 해도 오히려 여성부를 비방했던 보수 네티즌들은 전 변호사와 김문수 도지사를 지지했다.[31]

김문수 지사의 발언은 하이닉스의 유치는 정부가 반대하면서도 군사시설은 이전시키는 것에 대한 불만을 나타 낸것입니다.군 복무 병력을 비난한 것이 아니고, 시설 이전에 대한 비난을 한 것입니다. 다음 링크에 좀더 자세한 발언 내용이 있고, 살펴 보면 시설 이전에 대한 비난임을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http://www.sisa-news.com/news/article.html?no=7087

진심으로 군대에 적대감을 표한 군대 폄하 발언을 해도 오히려 여성부를 비방했던 보수 네티즌들은 전 변호사와 김문수 도지사를 지지했다

라는 것은 아무런 근거도 없습니다. 31번 링크의 내용은 "장병들이 혐오스럽냐"…軍, 김문수 발언 '불쾌' 라는 제목의 기사이며, 네티즌 반응은 일언반구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이미 전원책, 김문수를 군대, 군인를 비하한 정치인으로 인지했고 그래서 국방부까지 성명서를 냈습니다. 전원책이 군가산점을 주장하든 안하든 본질은 달라지지 않습니다. 전원책의 말은 군대는 폭력적이고 짜증나고 쓸모없고 인생을 망치는 곳이니 보상차원에서 가산점을 주자는 말 밖에는 안보이니깐요. 김문수도 글쓴이가 제시한 출처 기사 말대로 군대가 더러운 존재라는 정확한 근거도 못대면서 무작정 군대를 폄하한 사람입니다. 발언 경위가 저래도 김문수 건은 군대 폄하발언 맞습니다.--여성부의 눈 (토론) 2011년 4월 14일 (목) 20:13 (KST)답변

여성부의 역사, 있는 나라..?[편집]

이 문서는 '대한민국' 여성가족부에 관한 문서인데, 중간에 보면 역사나 여성가족부가 있는 나라에 관한 내용은 이 문서에 부적합하지 않나요 ? -- 土屋光 : "츠치야 히카루" (Talk·Mail·Contribs) 2011년 1월 14일 (금) 23:34 (KST)답변
찬성합니다. 이 부분은 삭제되거나 분할되어야 합니다.-Cwt96 (토론) 2011년 1월 26일 (수) 19:27 (KST)답변

다른 부서에도 다른 나라 부서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여성부의 눈 (토론) 2011년 1월 29일 (토) 09:33 (KST)답변
여성부라는 문서를 새로 만들고, 대한민국 여성가족부와 독립하는 방안은 어떻습니까?--Amoeba (토론) 2011년 1월 30일 (일) 12:40 (KST)답변
여성부 문서를 독립시켰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1년 2월 2일 (수) 10:29 (KST)답변

행정기관 문서에서[편집]

여성가족부에 대한 문서에서 괴담류의 내용을 다룰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위키의 편집지침인 중립적 시각에 맞지않게 오직 여성가족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주장만 기록되어 있군요 인게이지 (토론) 2011년 1월 25일 (화) 16:53 (KST)답변

어딜 봐서 여성가족부의 입장만 대변하고 있는 것이죠? 주장과 반박, 모두 게재되어 있습니다만.--Alto (토론) 2011년 1월 26일 (수) 23:21 (KST)답변
어느 부서에도 해명성 기사를 싣는 부서는 없습니다. 그럼 국방부는 천안함이나 소말리아 납치부대 관련 내용을 실어야 되겠네요? -- Leno (토론) 2011년 1월 31일 (월) 10:44 (KST)답변
천안함 관련 기사 실어도 별 문제 없다고 보는데? 그렇게 따지면 위키백과 초창기 시절에는 대한민국 정부부서 문서 자체가 없을테니 앞으로도 만들면 안되었겠네요. 그런 수동적인 자세때문에 100범씨가 발전을 못하는 겁니다. --여성부의 눈 (토론) 2011년 1월 31일 (월) 19:10 (KST)답변
괴담류 문서가 왜 필요한지 모르겠어서 되돌려야 합니다. 해명성 기사를 원하면 여성부 홈페이지 공지사항이면 충분합니다. 백:아님#개인웹 위키백과는 개인웹이 아니며 특정 대상을 선전하는 내용을 쓰지 말아 주세요.라고 하고 있네요 --38TWD (토론) 2011년 2월 4일 (금) 20:12 (KST)답변
독자연구가 너무 심합니다 --38TWD (토론) 2011년 2월 4일 (금) 20:33 (KST)답변
여성부에 대한 대중적 의식과 관련된 사실관계를 적어논 부분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적어도 독자연구는 아닙니다. 제가 살펴본 결과 출처는 다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여성부에 대한 괴담 혹은 여성부 관련 괴담과 진실이라는 문서를 새로 만드는 방안은 어떨까 제안해봅니다. 여성부의 눈님이나 Altostraus님은 어떻게 생각하는 지요--Amoeba (토론) 2011년 3월 2일 (수) 16:03 (KST)답변
적어도 Altostraus님은 '여성부의 눈' 사용자가 작성한 대한민국 여성가족부항목이 편향적으로 서술되어 있다는 데 동의하고 있습니다.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1년 4월의 16.1 항목을 참고하십시오.--Bd4703 (토론) 2011년 4월 19일 (화) 15:55 (KST)답변
홍보성이 있다고 했지 편향적이라곤 안했거든요? 바로 위에 Alto님 주장이 있는데도 대놓고 조작하시네. 이러려고 저 차단하려고 합니까? --여성부의 눈 (토론) 2011년 4월 19일 (화) 18:55 (KST)답변
'시정 홍보식 서술'이 중립성을 침해한다 말과 내포가 같다는 건 명백하지 않나요? 그리고 한 번만 더 100범이라는 작자하고 동일인물이라고 인신공격하면 인신공격으로 차단 제소하겠습니다. 하는 짓거리가 100범이라는 작자하고 똑같네요. 다중계정 사용 확인 요청 하면 동의할테니 하십시오.--Bd4703 (토론) 2011년 4월 20일 (수) 01:25 (KST)답변
Alto님은 여성가족부 내용 자체는 옳게 보시다가 Leno한테 테러당하고 단지 여성부 비난하는 유저가 이상한 글 넣고 개인주장에 못믿을 괴담 편집을 해서 자동으로 잘려나가서 여성부에 대한 비판이 의도치 않게 적어져서 홍보성이 있는 것처럼 보일 뿐입니다. 편집지침을 제대로 지킨 사람에겐 따진 거 없습니다. --여성부의 눈 (토론) 2011년 4월 20일 (수) 22:07 (KST)답변
타인의 의견을 견강부회 식으로 곡해하지 마십시오. Alto님은 분명히 '여성부의 눈'님이 주장하는 편집본에 대해 "확실히 시정 홍보식 서술로 점철되어 있"다고 명시적으로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 백범이라는 언급할 가치도 없는 작자를 제외하더라도, 많은 사용자들이 해당 항목의 중립성을 침해하는 측면이 있지 않냐는 지적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말하자면, 한 가지 주제만을 다루는 특정 하위항목이 문서 전체 분량의 50% 이상을 차지한다면 그 항목을 새로운 문서로 독립시키는 것이 자연스러운 편집이 아닐까요? 나는 그런 생각 하에 지금 "여성부 관련 괴담과 진실" 항목을 독립시키자는 안을 제안한 것이고, Amoeba님과 협업하여 문서를 발전시키던 중에 여성부의 눈 님이 편집을 자의적으로 되돌린 겁니다. 나는 원래 "국제 교류" 항목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였으나, Amoeba님이 "국제 교류" 항목을 다시 추가하였고, 비록 다른 정부부처 문서에는 없는 항목이지만 포함되는 것도 유익하겠다고 생각하여 그대로 놔두었습니다. 문서 전체의 균형을 고려한 편집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Bd4703 (토론) 2011년 4월 20일 (수) 22:57 (KST)답변

여성부 관련 괴담과 진실 항목을 독립시키는 데 동의합니다.[편집]

현재 위키피디아의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항목에 지나치게 편향적인 서술들이 많습니다. 특히 정부 타 부처 항목들과 비교해 볼 때,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항목에는 불필요한 항목이 지나치게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여성가족부 항목의 전면적인 개편이 필요하다고 봅니다.그러나 여성부 관련 괴담과 진실 항목에서 다루어진 내용들 또한 다루어질 가치가 있는 내용이니, 대한민국 여성부 관련 논란이라는 항목을 새로 만들어서 해당 항목에서 관련 논란들을 집중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제안합니다.--Bd4703 (토론) 2011년 4월 19일 (화) 00:50 (KST)답변

정책이 불필요한 항목입니까? 선례가 없다고 꽁꽁 묶어두는 건 위키피디아 지침에 맞지 않는 내용입니다. --여성부의 눈 (토론) 2011년 4월 20일 (수) 22:09 (KST)답변
'정책' 항목에 대한 논의가 지금 중심이 되는 게 아니지 않습니까? 여러 분들과 제가 제안하는 것은 기존의 "여성부 관련 괴담과 진실" 항목을 독립시키는 것입니다. '여성부의 눈' 님은 토론란에서 어느 정도 이뤄진 합의를 전적으로 무시하고 지속적으로 자신의 편집본으로 문서를 되돌리고 있는데, 사용자 간의 협업을 방해하는 행위가 위키피디아 지침에 맞는 행위인지도 궁금하네요. 정 정책 항목을 넣는 게 필요하다고 여겨지면 넣으십시오. 계속해서 문서를 "여성부 관련 괴담과 진실" 항목이 포함된 편집본으로 되돌리시지는 말고.--Bd4703 (토론) 2011년 4월 20일 (수) 22:46 (KST)답변
'괴담'이라는 단어 사용에 대한 저의가 의심스럽네요.--Hong620 (토론) 2011년 6월 16일 (목) 00:50 (KST)답변

엊그저께 사적인 루트를 통해 몇몇 분에게 이 문서에 대한 문제를 얘기해드렸었는데 지금 보니 어느새 싹 정리되어 있었네요. 저도 현재 상태로 두는 것에 대해 찬성합니다.--Alto (토론) 2011년 4월 24일 (일) 00:13 (KST)답변

여성가족부의 한자 표기에 오류가 있습니다.[편집]

Ministry of the Gender Equality & Family는 여성가족부의 영자 표기 입니다. 그 의미에서 여성에 해당하는 Gender Eqeuality는 평등한 성의 의미로 "여"는 [계집 여(女)]가 아닌 [같을 여 (如)]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는 한자임에도 불구하고 소리가 같다는 이유로, 또한 여성 (女性)을 위한 정책이 많다는 이유로 그 언어를 잘못 표기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중국어로 읽으면 女는 [nǚ]이고 如는 [rú]입니다. 엄연히 다른 말을 혼동하여 개시하는 것은 실수이거나 혹은 고의적인 판단에 의한 행위라고 밖에 볼 수 없습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Artanis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두산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등에서 모두 '같은 여'(如) 자가 아닌 '계집 녀'(女) 자를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jsws1078흑메기 (토론) 2013년 7월 30일 (화) 12:11 (KST)답변
또한 국가기록원 기관연혁정보에서도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jsws1078흑메기 (토론) 2013년 7월 30일 (화) 12:14 (KST)답변
같은 여를 사용한다는 이야기는 여성부의 영어명칭을 비꼬는데서 온 루머입니다.--아드리앵 (토론 · 기여) 2013년 7월 30일 (화) 15:44 (KST)답변
위 국가기록원 연혁정보 링크가 끊어져 아카이브 링크를 추가합니다. 女性家族部라고 확실하게 표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 공식 외국어 사이트인 Korea.net의 중문판, 일문판에서도 일관성있게 해당 표기를 사용하므로 이견의 여지가 없습니다. 다만 본 논란을 의식했는지 한국어판 정부 사이트나 여가부 사이트에선 한자 표기가 대부분 사라져있기는 합니다. --149.167.151.183 (토론) 2021년 3월 2일 (화) 08:35 (KST)답변

제목 변경[편집]

이름이 여성가족부로 바뀌면서 다른 국가의 여성부와 차이점이 있는데, 굳이 길게 표제어를 설정하지 말고, 그냥 여성가족부로 간단하게 표기 해도 괜찮을듯 싶네요.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5년 3월 12일 (목) 00:00 (KST)답변

명칭이 너무 긴 것이 아니라면 (국가명) (부처명)을 병기하는 것이 프:대행의 관례입니다. --Neoalpha (토론) 2015년 3월 12일 (목) 13:20 (KST)답변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나, 통일성을 유지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Neoalpha (토론) 2015년 3월 12일 (목) 13:24 (KST)답변
미국 국토안보부의 경우처럼 이 문서도 제목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어떨까요? 그러는 것이 일종의 관습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Neoalpha님의 의견처럼 통일성을 해칠 수 있다고 봅니다.-- Skky999 (토론기여) 2015년 3월 12일 (목) 20:01 (KST)답변
저 역시 위 사용자들과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여성가족부로 문서 제목을 현재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5년 3월 14일 (토) 01:13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6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대한민국 여성가족부에서 3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6월 28일 (일) 09:30 (KST)답변

병합 제안[편집]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관련 논란은 16000여 바이트짜리 문서입니다. 백:문서 나누기에서는 40000 바이트 미만 문서는 나눌 필요가 없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관련 논란'은 표제어 자체가 길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병합을 제안합니다.--데니스3 (토론) 2021년 9월 17일 (금) 18:48 (KST)답변

유지 대한민국 여성부 시절 논란을 같이 묶기위해서도 분리가 맞습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9월 17일 (금) 20:19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1년 12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대한민국 여성가족부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1년 12월 20일 (월) 03:52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4년 3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대한민국 여성가족부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4년 3월 16일 (토) 01:47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