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선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축구 선수(영어: football player)는 축구를 전문적으로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포지션[편집]

축구의 포지션은 일차적으로 골키퍼, 수비수, 미드필더, 공격수로 나뉘며, 그중에서도 여러 가지 포지션으로 나뉜다.

  • 골키퍼: 혼자만 다른 동료들과 다른 색의 유니폼을 입으며 이는 골키퍼만 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칙적으로 골키퍼가 넣은 골도 골로 인정되긴 하지만 골키퍼는 많은 득점이 아니라 적은 실점을 달성하기 위해 존재하는 포지션이므로 골키퍼가 득점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수비수
    • 센터백: 중앙 수비수로 공을 막는 역할을 한다.
    • 풀백: 수비진 양 측면에 위치해서 수비를 담당한다.
  • 미드필더
    • 중앙 미드필더: 공격과 수비를 조율하는 중원사령관으로 이 포지션이 주장을 맡는 경우가 많다. 자신의 편에서 가장 가운데에 위치한다.
    • 수비형 미드필더: 수비 1차 저지선 역할과 후방에서 전방으로 볼을 배급하는 등 공격의 시작점 역할을 한다.
    • 공격형 미드필더: 스트라이커 뒤에서 공격을 지휘하는 플레이메이커이다.
    • 윙어: 양 측면에 배치 되며 드리블 기술이 좋고 측면을 돌파하여 크로스를 올리거나 패스로 아군 공격수를 돕거나 때로는 중앙으로 들어와 슛으로 골을 넣기도 한다.
  • 공격수
    • 중앙 공격수: 최전방에 배치되며 몸싸움과 위치선정 헤딩과 슈팅 능력이 좋고 득점을 하는 것이 1차 목표이다.
    • 세컨드 스트라이커: 중앙 공격수를 보조해주는 보조 포지션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직접 골을 기록하기도 한다.
    • 윙어: 양 측면에 배치 되며 드리블 기술이 좋고 측면을 돌파하여 크로스를 올리거나 패스로 아군 공격수를 돕거나 때로는 중앙으로 들어와 슛으로 골을 넣기도 한다.

선수의 수와 장비[편집]

  • 안전: 경기자는 자신이나 다른 경기자에게 위험스러운 장비 또는 물건을 착용하거나 사용해서는 안 된다. (보석류 포함) 머리핀, 목걸이, 귀걸이, 반지, 시계의 착용이 일절 금지된다.
  • 기본 장비: 경기자의 기본 장비는 상의, 하의(보온 바지를 착용할 경우는 하의의 기본 색상과 같아야 한다), 양말, 정강이 보호대, 신발로 이루어진다.
  • 정강이 보호대: 스타킹으로 완전히 덮인 상태여야 하고, 적절한 재료로 만든 것(고무, 플라스틱 또는 이와 유사한 물질)이어야 하며, 보호의 정도에 무리가 없는 장비여야 한다.
  • 골키퍼: 각 골키퍼는 다른 경기자나 주심 또는 부심과 구별되는 색의 옷을 착용해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골키퍼 장갑을 착용하며 때에 따라서 햇빛을 가리기 위해 캡 형태의 모자를 착용해도 무방하다.
  • 위반/처벌: 본 규칙을 위반할 때에는
- 플레이를 중지시킬 필요가 있다.
- 경기자의 장비가 잘못되어 있으면
- 이미 장비를 바르게 했을 경우를 포함하고 다음 경기가 중단되었을 때 경기장 밖으로 내보낸다.
- 어떤 선수건 경기장을 떠나 장비를 고친 뒤 주심의 허락 없이는 재입장할 수 없다.
- 주심은 그를 경기장에 재입장하도록 허락하기 전에 경기자의 장비가 올바른지 점검하지 않아도 된다.
- 경기자는 볼이 아웃 오브 플레이 때에만 재입장이 허용된다. 본 규칙의 위반으로 경기장을 떠났다가 주심의 허락 없이 경기장에 입장(또는 재입장)했을 때, 주심은 옐로카드를 보여 경고 조치한다.
  • 복장규정: 복장이 분리되었을 경우 즉각 재착용해야 하며 퇴장의위험이 있을 수 있다.
  • 플레이의 재개: 주심이 선수의 장비와 관련하여 경고 조치를 행하려고 플레이를 중지시켰다면 볼이 있던 지점에서 상대팀의 간접 프리킥으로 경기를 재개한다.[1]

기타[편집]

  •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축구 선수는 파이크 볼키아다. 파이크 볼키아는 브루나이 술탄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총리의 조카로 친인척들이 왕족이며 대통령총리로 이루어진 정치 가문의 혈통이며 재산은 24조원(2024년 기준)으로 이재용보다도 2배 부호다.[2] 파이크 볼키아의 재산 형성은 100% 상속[3]으로 모든 역사를 통틀어 가장 부유한 체육인이다.
  • 대부분의 축구 선수의 연봉은 2915만원이다. 하지만 K리그 축구 선수들의 연봉은 2억 3158만원이다.[4]
  • 메시가 축구 선수 중에서 ‘축구계 대통령’이라고 불린다. 한편 메시는 어릴 때 굉장히 가난한 환경[5][6][7][8]에서 자랐는데 메시가 방황하자 아르헨티나의 고위 정치인이 어릴 때 메시에게 매를 들어가며 교육했다고 한다. 또한 해당 아르헨티나의 고위 정치인은 메시가 메이저 축구 선수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많은 금전적인 지원을 해주었다.
  • 한국 축구계 레전드 차범근조국 법무부 장관에 대한 탄원서를 제출하다 보수 정당 지지자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았다.[9]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규칙 4. 선수의 장비”. 국제 축구 연맹. 2007년 12월 29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호날두 연봉은 땅콩" 세계최고 부자 24세 축구선수, 누구”. 머니투데이. 2023년 1월 3일. 
  3. “‘호날두 연봉 2700억 우습네’… ‘자산 24조’ 찐부자 축구선수 누구?”. 조선일보. 2023년 1월 3일. 
  4. “2023 K리그 구단별 연봉 현황 발표”. K리그. 2024년 1월 4일. 
  5. “El crack que desea victorias de regalo” [The 'crack' who wants victories for presents] (스페인어). Canchallena. 2019년 5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1일에 확인함. 
  6. Carlin, John (2010년 3월 27일). “Lionel Messi: Magic in his feet”. 《The Independent》 (UK). 2010년 4월 7일에 확인함. 
  7. Veiga, Gustavo. “Los intereses de Messi” (스페인어). Página/12. 2009년 5월 31일에 확인함. 
  8. Hawkey, Ian (2008년 4월 20일). “Lionel Messi on a mission”. 《The Times》 (London). 2009년 5월 30일에 확인함. (구독 필요)
  9. “차범근 '조국 탄원서' 논란에…"열을 알아도" 아내 의미심장 글”. 중앙일보. 2024년 2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