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화곡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완화곡선은 도로 선형을 설계할 때 시점 및 종점에서 접속하는 노선의 곡률과 동일한 곡선을 말한다. 완화곡선을 설치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직선부에서 원곡선부로 차량이 이동할 때 물리적,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속도를 줄이지 않고 쾌적하게 이동하게끔 하기 위해서이다.[1]

종류[편집]

다음 곡선들의 일부분을 완화곡선으로 도로 선형에 적용한다.[2]

  • 3차 포물선곡선(cubic parabolic curve) : 과거 철도에 사용
  • 반파장 sine 체감곡선(successive diminution curve) : 철도에 사용.
  • 나선형 곡선(spiral curve)
  • 렘니스케이트 곡선(lemniscate curve)
  • 클로소이드 곡선(clothoid curve) : 나선의 일종. 곡률이 곡선길이에 반비례. 고속도로에서 사용
클로소이드

계산[편집]

완화곡선은 운전자가 평면곡선부 주행에 적응하도록 적정한 길이의 완화곡선을 설치하는데 그 산정식은 다음과 같다.[3]

( : 완화곡선장 (m),  : 설계속도 (km/h),  : 주행시간 (2초))
설계속도 (km/h) 120 110 100 90 80 70
완화곡선장 (m) 70 65 55 50 45 40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재기 등. 2013, 94쪽.
  2. 이재기 등. 2013, 95쪽.
  3. 이희건 (2018년). “풍수지리를 고려한 도로 노선계획 (Road route planning considering feng shui)”. 공주대학교 대학원. 

참고 문헌[편집]

  • 이재기; 최석근; 박경식; 정성혁 (2013). 《측량학2》. 형설출판사. ISBN 978-89-472-73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