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신일여객 (경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합자회사 신일여객
형태합자회사
창립1970년 5월 1일
시장 정보비상장
산업 분야운수업
본사 소재지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화합로 336
핵심 인물
김문종 (대표사원)
제품시내버스
종업원 수
200명

신일여객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시내버스 운행업체이다. 계열사는 신일운수, 뉴신일관광이 있다.

연혁[편집]

  • 1970년 5월 1일: 회사 설립
  • 1977년 2월 23일: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홍문리에 지점 설치.
  • 1992년 7월 15일: 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마전리에 지점 설치.
  • 1992년 11월 20일: 공동대표사원 김만석, 김문종 취임.
  • 1993년: 신일여객에서 뉴신일관광 계열분리
  • 1997년: 마을버스 회사인 신일운수를 설립하여, 017번 운행을 개시하였다.
  • 2002년 9월: 적성면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운행하는 대성여객 (현 신성교통) 30번 22대 시외버스 및 30-1번 8대 인수
  • 2002년: 16번 도시형버스 분리노선으로 도내리 ~ 봉일천 운행하는 16-1번 도시형버스 신설운행함
  • 2003년 3월: 적성면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운행하는 30번 시외완행버스가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
  • 2004년: 도내리 ~ 봉일천 운행하는 16-1번 도시형버스가 금촌의료원까지 단축운행.
  • 2004년 11월 5일: 13번, 15번 도시형버스는 금촌 주공단지 경유 운행.
  • 2005년: 두포리 ~ 문산읍 ~ 도내리 ~ 금촌의료원 운행하는 16번 도시형버스가 폐선.
  • 2006년 3월: 법원읍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운행하는 300번 도시형버스 신설.
  • 2006년 5월 1일: 2005년 폐선한 16번 도시형버스 분리노선으로 문산읍 ~ 두포리 운행하는 11-1번 도시형버스 신설 및 도내리 ~ 금촌의료원 운행하는 16-1번 도시형버스가 100-16번 마을버스로 형간전환, 신일운수로 양도 및 문산까지 연장으로, 문산읍 ~ 도내리 ~ 금촌의료원 변경.)
  • 2006년 8월 21일: 13번, 15번 도시형버스는 금촌 주공단지 일부 변경.
  • 2007년 8월: 법원읍 ~ 파주읍 (주내) ~ 금촌 주공단지 운행하는 301번 도시형버스 신설 및 30-1번 금촌주공단지 운행.
  • 2008년 3월 3일: 법원읍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운행하는 300번 도시형버스가 303번으로 번호 변경 동시에 금촌동 구간 경유 운행.
  • 2008년 8월 25일: 문산읍 ~ 선유리 운행하는 111번 도시형버스 신설 운행.
  • 2008년 12월: 문산읍 ~ 선유리 운행하는 111번 도시형버스가 직천리까지 연장 운행.
  • 2010년 7월 1일: 문산읍 ~ 직천리 운행하는 111번 도시형버스가 22번으로, 법원읍 ~ 파주읍(주내) ~ 금촌 주공단지 운행하는 301번 도시형버스가 16번으로 번호 변경 운행.
  • 2010년 7월 5일: 법원읍 ~ 금촌동 ~ 서울서부시외버스터미널 운행하는 303번 도시형버스가 17번으로 번호 변경 운행.
  • 2011년 3월 9일: 문산여자고등학교 ~ 새아아파트 운행하고 있는 12-1번 통학운행 버스가 23번으로 번호 변경 운행.
  • 2011년 5월 2일: 13번 [법원읍~광탄~오산리~금촌] 노선을 노선연장 및 노선번호 변경(10번 법원읍~광탄~오산리~금촌~운정신도시~덕이지구~대화역), 16번 도시형버스는 폐선.
  • 2012년 3~5월: 광탄 ~ 문산 운행하는 14번 도시형버스가 광탄에서 세경고등학교로 단축 및 노선 변경한다.(통일공원 미경유 및 문산역 종점 변경)
  • 2012년 11월 7일: 월롱역 ~ 금촌동 ~ 운정신도시 ~ 대화역 운행하는 16번 도시형버스 신설 운행
  • 2012년 11월 25일: 비암리~금촌주공단지 운행하는 15번 도시형버스가 금촌 구간 일부 변경운행 (금촌주공단지 일부분 구간 반대로 운행. 장안미래아파트, 신성차고지, 앞골입구 미경유 및 금촌역 경유)
  • 2013년 1월: 법원읍~금촌~불광동 운행하는 17번 도시형버스가 기점이 법원읍에서 월롱역으로 단축운행 (월롱역~금촌~불광동)
  • 2013년 3월 1일: 적성~금촌주공단지를 운행하는 30-1번 도시형버스가 중복노선, 수요부족으로 폐선되었다.
  • 2013년 12월 31일: 공동대표사원 김만석 사망에 따라 김운종 대표사원 단독운영체제.
  • 2014년 1월 20일: 월롱역 ~ 대화역을 오가는 10-1번 도시형버스 신설
  • 2014년 3월 8일: 같은 파주시 관내 시내버스 회사로 신성여객이 경영난으로 신성여객 소속의 50번, 52번 등을 본회사가 임시운행하기 시작했다.
  • 2014년 5월 1일: 신성여객 31번을 인수 (11대)
  • 2014년 7월 6일: 31번 기존 불광동 ~ 법원읍까지 노선을 불광동 ~ 광탄까지 단축운행 (1일 기존 40회에서 48회로 증회운행)
  • 2014년 10월 18일: 신성여객 92번을 공배운행 개시하면서 16번 폐선
  • 2015년 2월: 월롱역 ~ 불광동까지 운행하는 17번 도시형버스가 월롱역 ~ 서영대학교 파주캠퍼스까지 연장운행.
  • 2015년 8월 1일: 신성여객 92번을 공동배차를 단독운행으로 변경(14대 인수)
  • 2015년 11월 1일: 신성여객신성교통 9710번을 인수 (15대)
  • 2015년 12월 12일: 9710번 광역버스 노선이 봉일천시내를 경유하는걸로 변경
  • 2016년 1월 1일: 신성여객 37번.93번.95번을 인수 (5대)
  • 2017년 4월 4일: 교하동 ~ 강선마을(주엽역)을 오가는 10-1번 도시형버스 신설
  • 2018년 1월 1일: 도시형버스 22번을 11번에 통합
  • 2017년 10월 16일: 문산시외버스터미널 공사실시 및 문산시외버스터미널 있던 차량들은 진흥공업사 기점으로 변경
  • 2020년 5월 1일: 직행좌석버스 9709번을 서울운수와 공동 배차 참여
  • 2020년 8월 1일: 직행좌석버스 9709번 인수, 직행좌석버스 9709A번 신설
  • 2021년 7월 1일: 직행좌석버스 9709번, 9710번이 경기도 공공버스로 편입

현황[편집]

2021년 1월 기준이다.[1]

운행업체 보유 노선수 등록 대수
노선 합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대수 합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신일여객 44 - 5 - 39 107 - 23 - 84

운행 노선[편집]

도시형버스[편집]

맞춤형버스[편집]

노선

번호

운행구간 경유지 운행

대수

운행

횟수

배차

간격

비고
15 비암2리 광탄삼거리 발랑리, 방축리, 신산리 3 30~45분 22회 평일 생활형 노선
93 진흥공업사 진흥공업사 운천리, JSA, 대성동, 통일촌, 멸공관, 운천리 2대 05:50 - 93
운천리, 훈련장, 전초, 해마루촌, JSA, 통일촌, 멸공관, 운천리 06:50

09:00 15:00 19:00 20:30

93-2
운천리, 훈련장, 전초, JSA, 남북출입국, 통일촌, 멸공관, 운천리 07:30 93-1
운천리, JSA, 남북출입국, 통일촌, 멸공관, 운천리 08:30

13:30 16:00

93-5
운천리, JSA, 통일촌, 멸공관, 운천리 10:30

19:30 22:00

93-3
운천리, 통일촌, 멸공관, JSA, 대성동, 운천리 12:00 93-4
운천리, JSA, 전초, 훈련장, 통일촌, 멸공관 16:30 93-6
운천리, 훈련장, 전초, 해마루촌, JSA, 남북출입국, 운천리 17:10 93-10
운천리, 통일촌, 멸공관, JSA, 대성동, 전초, 훈련장 17:40 93-7
진흥공업사 서영대학교 LG이노텍, LG화학 10:00

10:40 11:20 14:00 14:40 15:20

93-8

평일

평화누리공원 임진각 93-9

주말·공휴일

303-1 신산3리 원흥역 탄삼거리, 광탄시장, 마장리, 영장삼거리,기산리 - 마장호수 흔들다리, 기산리, 보광사, 벽제묘지, 서울시립승화원 , 호반9단지 5회
  • 313번 : 신산3리 - 광탄시장 - 마장3리 - 보광사 - 상곡마을 - 벽제역 - 신원마을 - 원흥역5번출구 - 원흥역2번출구 (현재 미개통)

직행좌석버스[편집]

폐선된 노선 (이전 노선)[편집]

보유 차량[편집]

자일대우버스[편집]

현대자동차[편집]

황해버스/범한자동차[편집]

볼보버스[편집]

사업장 현황[편집]

  • 본점: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대능리 88-188-1

참고 사항[편집]

  • 15번과 067번은 약 1시간 정도의 간격으로 번갈아 운행한다.
  • 11-2번 (도내리), 11-3번 (동문리)의 경우 차는 11번 그대로 운행하나 앞에 있는 행선판에 유의해야 한다. (11-2번은 평일 아침 1회 운행. 운행 경로는 021번 노선과 같다.)
  • 11-2번 (도내리)의 루트는 법원읍 - 문산읍 - 백석리 - 월롱면 - 금촌동 - 문산읍 - 파주읍(주내) - 연풍리 - 법원읍이다.
  • 12-1번은 문산수억고등학교에서 세아아파트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주말 운행 함, 아침 2회 운행 및 22시 시 경 막차 운행)
  • 93번 계통(통일촌, JSA, 해마루촌 방면)은 민통선(통일대교)을 통과하므로 임진강 이북지역을 갈 경우 출입허가를 받은 사람만이 승차할 수 있다.

갤러리[편집]

각주[편집]

  1. 버스 등록 현황, 경기도청, 2021년 3월 29일 작성.
  2. 법원리우체국, 천현초등학교, 율곡초등학교에서 승차 시 행선지(적성, 불광동) 방면을 확인 후 승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