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트럼 누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펙트럼 누설(Spectral leakage)이라는 것은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 했을 때, 원래의 신호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은 주파수 성분이 관측되는 현상을 말한다. 원래의 신호 스펙트럼 주위의 주파수에 누설이 된 것과 같은 에너지가 관측되어 이와 같이 부른다.

오해[편집]

스펙트럼 누설이 이산 푸리에 변환에 의하여 발생하고, 창 함수에 의하여 그것을 완화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을 하는 경우가 있으나, 실제로는 창 함수가 스펙트럼 누설의 근본적인 원인이고, 이산 푸리에 변환은 누설이 없는 것과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하는 방법이다. 또 구형파의 창이 필요하게 되어 신호 스펙트럼의 요소는 이산 푸리에 변환의 기본함수와 일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창 함수를 통과한 신호의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면 항상 스펙트럼 누설이 생기는 것은 명확하다.

발생[편집]

구형파가 아닌 창 함수는 스펙트럼 누설을 증대시키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가장 피해가 적은 장소에 누설이 생기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인접한 동일 강도의 신호를 식별하는 것과, 다른 주파수의 강도가 상이한 신호를 식별하는 것은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