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스트레스 관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트레스의 인지와 대처

스트레스 관리(stress management)는 사람의 스트레스, 특히 만성 스트레스 수준을 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기법과 심리요법으로, 일반적인 목적은 일상 기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모델[편집]

일반화된 모델은 다음과 같다:

  • 싸움-도망 반응 (1914년, 1932년)
  • 일반적응증후군(General adaptation syndrome, 1933년)
  • 헨리와 스티픈스 스트레스 모델 (1977년)
  • 인지 스트레스 모델 (Transactional(cognitive) Stress Model / stress model of Lazarus after Lazarus, 1974년)
  • 자원보존이론 (Theory of resource conservation, 1988년, 1998년, 2004년)

스트레스 산업[편집]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기계나 장치를 제조하고 판매하는 산업이다. 실내를 꽃 향기나 숲의 싱그러움으로 채워주는 장치나 특수용액에 몸을 담그면 긴장이 해소되는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근래 들어 과학적으로 인증되지 않은 것이 상품화되는 경향이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1]

기술[편집]

요구 수준이 높으면 추가 업무나 노력의 부담이 지워진다. 새로운 스케줄을 짜고 비정상적으로 높고 개인적인 요구의 기간이 지날 때까지, 이전 스케줄의 정상적인 빈도와 지속은 제한된다.

이러한 기술들 대부분은 꽉 움켜쥐고 버리지 못한 스트레스를 다룬다. 다음 방식 중 일부는 일반 스트레스 수준보다 낮추어, 일시적으로나마 생리적 문제들을 조상해 준다. 일부는 스트레스 요인(stressor)을 고도의 몰두(abstraction) 상태에서 직면하는 것이다.

철학적 패러다임에 따라 스트레스 관리 기술은 다양할 것이다.[4][5]

각주[편집]

  1.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스트레스 산업〉
  2. Lehrer, Paul M.; David H. (FRW) Barlow, Robert L. Woolfolk, Wesley E. Sime (2007).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ess Management, Third Edition》. 46–47쪽. ISBN 978-1-59385-000-5. 
  3. Leubner, D; Hinterberger, T (2017). “Reviewing the Effectiveness of Music Interventions in Treating Depression”. 《Front Psychol》 8: 1109. doi:10.3389/fpsyg.2017.01109. PMC 5500733. PMID 28736539. 
  4. Dubbed "Destressitizers" by The Journal of the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5. Spence, JD; Barnett, PA; Linden, W; Ramsden, V; Taenzer, P (1999). “Lifestyle modifications to prevent and control hypertension. 7. Recommendations on stress management. Canadian Hypertension Society, Canadian Coalition for High Blood Pressure Prevention and Control, Laboratory Centre for Disease Control at Health Canada, Heart and Stroke Foundation of Canada”.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60 (9 Suppl): S46–50. PMC 1230339. PMID 10333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