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파살라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설파살라진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2-hydroxy-5-[(E)-2-{4-[(pyridin-2-yl)sulfamoyl]phenyl}diazen-1-yl]benzoic acid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599-79-1
ATC 코드 A07EC01
PubChem 5339
드러그뱅크 DB00795
ChemSpider 10481900
화학적 성질
화학식 C18H14N4O5S 
분자량 ?
유의어 Sulphasalazine, SSZ
물리적 성질
녹는점 240–245 °C (464–473 °F) (dec.)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15%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
생물학적 반감기 5~10시간
배출 약물의 대사산물은 대소변으로 배출[1]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A(오스트레일리아)[2]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투여

설파살라진(Sulfasalazine)은 아줄피딘(Azulfidine)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약물로 류마티스 관절염,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5] 일각에서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1차 치료제로 간주한다.[6] 경구 투여 혹은 직장내 투여가 가능하다.[5]

중요 부작용은 복용한 환자 중 약 25%에서 발생한다.[6] 그중 흔한 부작용은 식욕부진, 구역질, 두통, 발진이 있다.[5] 심각한 부작용은 골수억제, 간 이상,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콩팥 이상이 있다.[6][7][1] 아스피린 알레르기설폰아마이드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에게는 사용해서는 안된다.[6] 임신 중 사용해도 아기에게는 안전한 것으로 추정된다.[5]

설파살라진은 항류마티스제(DMARDs)에 속한다.[5] 명확한 작용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5] 프로스타글란딘을 억제하여 대장에서 국소 항염증 효과를 일으킨다는 주장이 있다.[1] 투여된 약물은 대장 내의 미생물이 설파피리딘5-아미노살리실산으로 분해한다.[5]

설파살라진이 미국에서 사용이 승인된 것은 1950년이다.[5]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8] 복제약으로 이용 가능하다.[5] 2020년 기준으로 미국에서 1백만 건 이상 처방되면서, 284번째로 많이 처방된 약물로 이름을 올렸다.[9][10]

의학적 사용[편집]

설파살라진은 궤양성 대장염크론병 같은 염증성 장 질환 치료에 사용한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혹은 건선성 관절염이나 반응성 관절염 같은 기타 염증성 관절염에도 쓰인다.[11][4][3]

2세 미만 아이에게는 보통 사용하지 않는다.[4][3]

부작용[편집]

설파살라진은 설폰아마이드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 요로폐쇄장폐쇄, 중증 간질환이나 신부전이 있는 환자에서 사용이 금기시된다.[1]

설파살라진은 체내에서 설파피리딘으로 대사된다. 혈청 농도를 3달마다 측정해야 하며, 투여 초기에는 더욱 자주 측정한다. 혈청 농도가 50 μg/L를 넘어가면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드물게 젊은 남성에서 심한 우울감이 보고되기도 했다. 또한 정자부족증이나 일시적인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면역성 혈소판감소증 역시 보고된 바 있다.[12]

설파살라진은 디히드로프테로에이트 합성효소의 작용을 억제하므로 엽산 결핍거대적혈모구 빈혈,[13][14][15] 그 외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16]

G6PD 결핍증이 있는 환자에서는 용혈성 빈혈의 원인이 될 수 있다.[17]

한편 신장결석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18] 그 외에 복부 불편감, 구역질, 구토, 식욕부진, 두토, 어지럼증, 비정상적인 피로감 등을 일으킬 수 있다.[5] 피부와 소변이 주황색으로 변하기도 하며, 간혹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난다.[19][5]

약리학[편집]

설파살라진 투여 용량의 대략 90%는 대장까지 도달하여, 대장 내 미생물로 인해 설파피리딘메살라진(5-아미노살리실산, 5-ASA)으로 대부분 대사된다. 설파피리딘은 거의 모두 흡수되어 추가로 대사 과정을 거치지만, 메살라진은 흡수되지 않고 대장 내에 잔류한다.[4]

설파피리딘은 대사되지 않은 상태, 수산화된 상태, 글루쿠론화된 상태가 뒤섞인 채로 소변으로 배설된다. 아세틸화된 메살라진과 대사되지 않은 설파살라진 역시 소변을 통해 몸 밖으로 제거된다.[4][3]

설파살라진의 작용 기전은 명확하지 않지만, 설파살라진과 그 대사산물은 면역을 억제하며 항균,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11][4] 또한 설파살라진은 시스틴-글루탐산염 역수송체[20] 세피압테린 환원효소를 억제한다.[21]

각주[편집]

  1. Vallerand AH, Sanoski CA, Deglin JH (2014년 6월 5일). 《Davis's drug guide for nurses》 Fourteen판. Philadelphia. ISBN 978-0-8036-4085-6. OCLC 881473728. 
  2. “Sulfasalazine Use During Pregnancy”. 《Drugs.com》. 2018년 11월 9일. 2020년 1월 24일에 확인함. 
  3. “Sulfasalazine 250mg/5ml Oral Suspension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SmPC)”. 《electronic medicines compendium (emc)》. 2019년 9월 13일. 2019년 12월 4일에 확인함. 
  4. “Salazopyrin Tablets - Summary of Product Characteristics”. electronic medicines compendium (emc). February 2014. 2017년 4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5. “Sulfasalazin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016년 1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8일에 확인함. 
  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Stuart MC, Kouimtzi M, Hill SR, 편집. 《WHO Model Formulary 2008》. World Health Organization. 41, 45쪽. hdl:10665/44053. ISBN 9789241547659. 
  7. Hamilton R (2015). 《Tarascon Pocket Pharmacopoeia 2015 Deluxe Lab-Coat Edition》. Jones & Bartlett Learning. 464쪽. ISBN 9781284057560. 
  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9. “The Top 300 of 2020”. 《ClinCalc》. 2022년 10월 7일에 확인함. 
  10. “Sulfasalazine - Drug Usage Statistics”. 《ClinCalc》. 2022년 10월 7일에 확인함. 
  11. “Azulfidine- sulfasalazine tablet”. 《DailyMed》. 2019년 5월 8일. 2015년 10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1월 24일에 확인함. 
  12. Cantarini L, Tinazzi I, Biasi D, Fioravanti A, Galeazzi M (June 2007). “Sulfasalazine-induced immune thrombocytopenia”.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83 (980): e1. doi:10.1136/pgmj.2006.055194. PMC 2600053. PMID 17551063. 
  13. Inflammatory Bowel Disease~workup - eMedicine
  14. Women With Autoimmune Diseases: Medication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Sulfasalazine; “Women with Autoimmune Diseases: Medication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Sulfasalazine”. 2011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3월 8일에 확인함. 
  15. Hernández-Díaz S, Werler MM, Walker AM, Mitchell AA (November 2000). “Folic acid antagonists during pregnancy and the risk of birth defects”.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3 (22): 1608–1614. doi:10.1056/NEJM200011303432204. PMID 11096168. 
  16. Dixon SJ, Patel DN, Welsch M, Skouta R, Lee ED, Hayano M, 외. (May 2014). “Pharmacological inhibition of cystine-glutamate exchange induces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ferroptosis”. 《eLife》 3: e02523. doi:10.7554/eLife.02523. PMC 4054777. PMID 24844246. 
  17. “SulfaSALAzine: Drug Information Provided by Lexi-Comp”. Merck & Co., Inc. Jan 2012. 2011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7월 28일에 확인함. 
  18. De Koninck AS, Groen LA, Maes H, Verstraete AG, Stove V, Delanghe JR (2016). “An Unusual Type of Kidney Stone”. 《Clinical Laboratory》 62 (1–2): 235–239. doi:10.7754/Clin.Lab.2015.150605. hdl:1854/LU-6847821. PMID 27012055. 
  19. “Sulfasalazine”. 《WebMD》. 2016년 1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 Bridges RJ, Natale NR, Patel SA (January 2012). “System xc⁻ cystine/glutamate antiporter: an update on molecular pharmacology and roles within the CNS”.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65 (1): 20–34. doi:10.1111/j.1476-5381.2011.01480.x. PMC 3252963. PMID 21564084. 
  21. Costigan M, Latremoliere A, Woolf CJ (February 2012). “Analgesia by inhibiting tetrahydrobiopterin synthesis”.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12 (1): 92–99. doi:10.1016/j.coph.2011.10.019. PMC 3288148. PMID 22178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