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박정빈 관련 교지

박정빈 관련 교지
朴廷賓 關聯 敎旨)
대한민국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종목문화재자료 제615호
(2016년 2월 4일 지정)
수량12점
시대조선시대
위치
주소경상남도 양산시 북정로 78, 양산시립박물관
좌표북위 35° 21′ 30″ 동경 129° 2′ 56″ / 북위 35.35833° 동경 129.04889°  / 35.35833; 129.04889
정보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정보

박정빈 관련 교지(朴廷賓 關聯 敎旨)는 경상남도 양산시 양산시립박물관에 있는, 가로가 긴 방저지(方楮紙)에 종서(縱書)로 쓰인 11점이다. 2016년 2월 4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615호로 지정되었다.[1]

개요[편집]

박정빈은 조선 후기 경상남도 양산 출신의 문신으로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국빈(國賓), 호는 이우당(二憂堂)이다. 밀양 박씨 12중조의 한사람이자 고려말 공민왕 때 밀직부원군(密直府院君)을 지닌 박중미(朴中美)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박주한(朴柱漢), 할아버지는 (박동석)朴東奭, 증조할아버지는 박진립(朴振立)이다. 관직은 창원부사 외에도 현감·영장·방어사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1]

양산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박정빈 관련 추증교지는 교지의 일반적인 양식인 가로가 긴 방저지(方楮紙)에 종서(縱書)로 쓰인 11점이다. 나머지 1점은 세로로 긴 붉은 색의 종이에 종서로 쓴 홍패로 1747년 박현보가 무과(병과) 95인으로 급제하였다는 교지이다.[1]

박정빈은 조선후기인 18세기 전반에 창원, 부산 등을 비롯한 경남 일대에서 활동한 문신이다. 그에 대한 관련 문헌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등의 사료를 통해 확인되는 관직 등이 실제 조사본인 <박정빈 관련 교지>를 통해 정2품까지 올라 3대에 걸쳐 관직이 추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1]

따라서 조선후기 양산 지역의 출신 박정빈과 관련한 역사적 사료가 충분한 자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1]

각주[편집]

  1. 경상남도지사 (2016년 2월 4일). “경상남도고시제2016-40호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고시” (PDF). 경상남도공보제2215호. 69-73 (2667480-2667484)쪽. 2016년 11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참고 자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