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군 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공주군 갑
폐지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1948년~1963년
의원 수1인
이후 선거구공주군

공주군 갑대한민국의 옛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당시 충청남도 공주군의 일부 지역을 관할했다.

역사[편집]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군 공주읍, 탄천면, 계룡면, 반포면, 이인면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군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공주군 단일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편집]

선거 정당 의원
1948년 무소속 김명동
1950년 민주국민당 박충식
1954년 자유당 염우량
1958년 자유당 박충식
1960년 무소속
1961년 민주당 엄대섭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편집]

충청남도 공주군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김명동 무소속 10,676표
37.58%
당선
염우량 대동청년단 5,207표
18.33%
박충식 한국독립정부수립대책협의회 4,991표
17.57%
권태훈 무소속 3,881표
13.66%
정인각 무소속 3,650표
12.84%
합계 28,405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충청남도 공주군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박충식 민주국민당 7,657표
25.51%
당선
염우량 무소속 5,307표
17.68%
진상구 무소속 3,842표
12.80%
정경모 무소속 3,227표
10.75%
김제원 무소속 2,763표
9.20%
신현상 무소속 2,637표
8.78%
서상빈 무소속 2,324표
7.74%
김종석 무소속 2,258표
7.52%
합계 30,015표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충청남도 공주군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염우량 자유당 14,227표
53.64%
당선
정경모 무소속 3,561표
13.42%
엄대섭 무소속 2,955표
11.14%
윤해병 무소속 2,063표
7.77%
최영철 무소속 1,576표
5.94%
노마리아 무소속 1,386표
5.22%
황한주 무소속 459표
1.73%
노천태 무소속 295표
1.11%
박충식 무소속 0표
0%
김영용 무소속 0표
0%
합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충청남도 공주군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박충식 자유당 20,429표
69.86%
당선
염우량 자유당 8,810표
30.13%
합계 29,239표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충청남도 공주군 갑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박충식 무소속 5,845표
18.39%
당선
엄대섭 민주당 5,627표
17.70%
정경모 무소속 4,720표
14.85%
김영택 사회대중당 4,457표
14.02%
민동식 무소속 3,377표
10.62%
윤재중 무소속 3,273표
10.29%
박휴서 무소속 2,559표
8.05%
염우량 자유당 1,922표
6.04%
합계 31,780표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편집]

박충식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인해 치러진 196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주당 엄대섭 후보가 당선되었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