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자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황금자칼
화석 범위:
플라이스토세 - 현재
텔아비브(Tel Aviv)의 황금자칼
텔아비브(Tel Aviv)의 황금자칼

🔊 황금자칼의 소리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식육목
과: 개과
속: 개속
종: 황금자칼
학명
Canis aureus
Linnaeus, 1758[1]
황금자칼의 분포

황금자칼의 서식 지역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2]


CITES Ⅲ: 특정 국가에서 규제대상으로 지정됨
평가기관: CITES[2]

황금자칼 (Canis aureus, 영어: golden jackal), 커먼자칼(영어: common jackal), 아시아자칼(영어: Asiatic jackal),[3] 황금늑대(영어: gold-wolf)[4]는 아프리카 북부와 북동부, 유럽 중부와 남동부(최대 오스트리아-헝가리 지역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에스토니아 북쪽까지 밝혀짐), 소아시아, 중동, 남아시아에 서식하는 개과의 종이다. 자칼 중 유일하게 아시아에도 분포한다. IUCN에서는 황금자칼의 광대한 서식 지역, 최적의 먹이 등으로 인해 관심 필요 등급만을 책정했다.[2] 이름에 자칼이 들어가지만 자칼과 황금자칼은 밀접한 관련이 없고 오히려 늑대코요테와 더욱 많은 관련이 있다.[3][5] 이 종은 기본적인 사회 단위인 한 번식 가능 쌍으로 이루어지며 자손을 낳는다.[6] 황금자칼은 과일, 곤충서부터 작은 유제류까지 광범위한 먹이를 섭취할 수 있다.[7] 천적은 호랑이, 사자, 표범, 줄무늬하이에나, 늪악어 다.

진화[편집]

아프리카가 기원인 다른 자칼 종과는 달리, 황금자칼은 아시아에서 등장하였다.[5] 황금자칼의 직접적인 조상은 빌라프란치엔(Villafranchian, 플리오세 말에서 플라이스토세 초기[8]) 시기의 카니스 쿠르쿠센시스(Canis kuruksaensis)로 추측한다. 개과는 타지키스탄에서 원생했다. 선사 시대 자칼의 또 다른 조상일 것이라 추측했던 카니스 아르넨시스(Canis arnensis)는 나중에는 유럽 출신인 코요테와 더욱 밀접한 관계로 알려졌다. 황금자칼은 플라이스토세 후기 동안 유럽 대륙에 번식하게 되었다고 추정한다.[9]

황금자칼은 개속의 가장 일반적인 동물이다.[10] 황금자칼은 상대적으로 짧은 얼굴 영역과 덜 열육성인 치아, 약하게 발달된 두개골 등 늑대보다 덜 전문종이 된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황금자칼은 주로 작은 새, 설치류, 작은 척삭동물, 곤충, 썩은 고기 등을 먹는다.[11] 황금 자칼은 넓은 식단에 적응한 일반종에 가까우며, 다른 서식지와 다양성을 갖추고 많은 먹이를 섭취할 수 있게 해 준다. 유연한 몸과 긴 다리는 먹이를 찾아 먼 거리를 다닐 수 있게 해 준다. 물을 포기하면서 신선한 먹이와 물이 있는 곳을 찾는 능력이 있다.[6] 황금자칼 두개골의 특성과[3] 유전적 구성은 검은등자칼이나 가로줄무늬자칼보다 늑대나 코요테와 비슷하다는 것이 밝혀졌다.[5]

분류[편집]

이 종은 서식 지역이 넓기 때문에, 지역 종족의 많은 수가 묘사되고 있다. 19세기 동안, 아프리카 황금자칼은 유라시아 황금자칼와는 다른 종으로 생각해서 "토아스" 또는 "토우 개"라고 불렸다.[12] 동물학에서는 여러 번 동의어로 제안된 시도가 여러 번 있었지만, 서아프리카 자칼의 분류학적 위치는 현재 너무 적은 수집 자료로 인해 몇 가지 가설만 있을 뿐 정확하고 명료한 결론에 다다르기 힘들다. 1840년 이전, 서아프리카 서식 아종 10종 중 6종이 색을 통해 이름이나 명칭을 부여했다. 종간 모습의 높은 차이, 샘플의 부족과 유전자 이동을 막을 수 있는 대륙의 거대한 장애물 전무 등으로 인해 서아프리카 아종의 일부는 이러한 아종을 인정하고 있다.[13]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개과의 계통 분류이다.[14][15][16]

개과
회색여우속

섬여우

회색여우

큰귀여우

너구리

여우속

검은꼬리모래여우

케이프여우

페넥여우

아프간여우

스위프트여우

키트여우

북극여우

붉은여우

흰꼬리모래여우

코사크여우

벵골여우

덤불개

갈기늑대

게잡이여우

작은귀개

포클랜드늑대

티베트모래여우

남아메리카여우속

회백색여우

다윈여우

팜파스여우

남아메리카회색여우

페루사막여우

안데스여우

가로줄무늬자칼

검은등자칼

아프리카들개

승냥이

황금자칼

에티오피아늑대

아프리카황금늑대

코요테

회색늑대

(회색늑대의 아종)

붉은늑대(코요테와 회색늑대의 혼종?)

참고 문헌[편집]

서지[편집]

각주[편집]

  1. Linnæus, Carl (1758).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라틴어) 10판. Holmiæ (Stockholm): Laurentius Salvius. 40–41쪽. 2012년 11월 24일에 확인함. 
  2. “Canis aure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3월 22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justification for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3. Sillero-Zubiri, Hoffman & MacDonald 2004, 157쪽
  4. Brehm 1895, 196쪽
  5. Lindblad-Toh et al. 2005.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Nature 438: 803-819.
  6. Sillero-Zubiri, Hoffman & MacDonald 2004, 159쪽
  7. Sillero-Zubiri, Hoffman & MacDonald 2004, 158쪽
  8. Rook, L.; Martínez-Navarro, B. (2010). “Villafranchian: the long story of a Plio-Pleistocene European large mammal biochronologic unit”. 《Quaternary International》 219: 134. Bibcode:2010QuInt.219..134R. doi:10.1016/j.quaint.2010.01.007. 
  9. Spagnesi & De Marina Marinis 2002, 216쪽
  10. Sillero-Zubiri, Hoffman & MacDonald 2004, 156쪽
  11. Heptner & Naumov 1998, 132–134쪽
  12. Smith & Jardine 1839, 193–194쪽
  13. Rosevear 1974, 38–44쪽
  14. Lindblad-Toh, Kerstin; Wade, Claire M; Mikkelsen, Tarjei S.; Karlsson, Elinor K.; Jaffe, David B.; Kamal, Michael; Clamp, Michele; Chang, Jean L.; Kulbokas, Edward J.; Zody, Michael C.; Mauceli, Evan; Xie, Xiaohui; Breen, Matthew; Wayne, Robert K.; Ostrander, Elaine A.; Ponting, Chris P.; Galibert, Francis; Smith, Douglas R.; Dejong, Pieter J.; Kirkness, Ewen; Alvarez, Pablo; Biagi, Tara; Brockman, William; Butler, Jonathan; Chin, Chee-Wye; Cook, April; Cuff, James; Daly, Mark J.; Decaprio, David; 외. (2005).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Nature》 438 (7069): 803 in 803–19. doi:10.1038/nature04338. PMID 16341006. 
  15. Nyakatura, K.; 외. (2012).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BMC Biology》 10 (12). doi:10.1186/1741-7007-10-12. 
  16. Koepfli, Klaus-Peter; Pollinger, John; Godinho, Raquel; Robinson, Jacqueline; Lea, Amanda; Hendricks, Sarah; Schweizer, Rena M.; Thalmann, Olaf; Silva, Pedro; Fan, Zhenxin; Yurchenko, Andrey A.; Dobrynin, Pavel; Makunin, Alexey; Cahill, James A.; Shapiro, Beth; Álvares, Francisco; Brito, José C.; Geffen, Eli; Leonard, Jennifer A.; Helgen, Kristofer M.; Johnson, Warren E.; o'Brien, Stephen J.; Van Valkenburgh, Blaire; Wayne, Robert K. (2015). “Genome-wide Evidence Reveals that African and Eurasian Golden Jackals Are Distinct Species”. 《Current Biology》 25 (16): 2158–65. doi:10.1016/j.cub.2015.06.060. PMID 26234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