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음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Dinamik-bot (토론 | 기여)
잔글 r2.6.2) (로봇이 더함: sl:Durova lestvica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Audio|C major scale.ogg|C major scale}}
{{Audio|C major scale.ogg|C major scale}}

==구조==

[[Image:C major scale.png|thumb|장조의 온음과 반음의 패턴]]

장조는 장2도 또는 [[온음]]을 사이에 둔 두개의 동일한 [[테트라코드]]로 보인다. 즉, "온음:온음:반음:온음:온음:온음:반음"의 구조를 가진다. 각 테트라코드는 두 개의 온음과 뒤이어 오는 반음으로 구성된다. 서양의 음계는 오선지 상에 줄이나 공백을 남기지 않으며, 임시표가 붙은 음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조표]]는 단지 샵이나 플랫만을 가진다.

===음정의 이름===

:*1번음 - [[토닉]] - 키 노트
:*2번음 - [[슈퍼토닉]]
:*3번음 - [[미디언트]]
:*4번음 - [[서브도미넌트]]
:*5번음 - [[도미넌트]]
:*6번음 - [[서브미디언트]]
:*7번음 - [[리딩 톤]]
:*8번음 - [[토닉]] (또는 [[옥타브]])

===오도권(The circle of fifths)===

[[오도권]]은 [[요한 다비트 하이니헨]]이 1728년에 최초로 그의 책 ''Der General-bass''에서 도입하였으며, 키(key)들 사이의 상대적인 음정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여왔다.<ref name="Drabkin">Drabkin, William. 2001. "Circle of Fifths".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second edition,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rell (professor of music)|John Tyrrell]]. London: Macmillan Publishers.</ref>

[[Image:Circle of fifths deluxe 4.svg|400px]]

원 안의 숫자는 그 조표의 샵이나 플랫의 숫자를 나타낸다. 다 장조(C major)에서 시작하여, 샵 키는 시계방향으로, 플랫 키는 반시계방향으로 진행된다. 이 원형 배치에서 [[이명동음]] 관계를 볼 수 있다. 여섯 개의 샵이나 플랫이 붙으면, 장조로서는 올림 바 장조(F# Maj), 내림 사 장조(Gb min), 단조로서는 올림 라 단조(D# Maj), 내림 마 단조(Eb min)이 된다.<ref name="Drabkin"/> 일곱 개의 샵 또는 플랫은 각각 올림 다 장조(C# Maj), 내림 다 장조(Cb min)를 만드는데, 이는 각각 다섯개의 플랫 또는 샵을 사용하여 내림 나 장조(Db Maj), 나 장조(B Maj)로 표기한다.


== 조표 ==
== 조표 ==
26번째 줄: 51번째 줄:
| 마 - 나 - 바 - 다 - 사 - 라 - 가
| 마 - 나 - 바 - 다 - 사 - 라 - 가
|}
|}

==참고 문헌==

<references/>

{{음계}}
{{음계}}



2012년 12월 16일 (일) 01:48 판

장음계

장음계(長音階, Major scale), 장조 또는 아이오니안 음계는 온음계의 일종이다. 7개의 음과 첫음보다 한 옥타브 높은 여덟번째 음으로 구성된다. 솔페지에서는 이 음을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라는 음절에 대응시킨다. 표기하기에 가장 단순하지만, 연주하기에 가장 어려울 수 있는 음계가 다 장조이며, 이나 플랫이 필요없는 유일한 장음계로, 피아노 건반에서 흰색 건반만을 이용하게 된다. 장음계는 3번째 음과 4번째 음 사이, 7번째 음과 8번째 음 사이의 음정이 반음이며 나머지는 온음이며, 대체로 명랑하고 밝다.

이 소리의 정보C major scale 

구조

장조의 온음과 반음의 패턴

장조는 장2도 또는 온음을 사이에 둔 두개의 동일한 테트라코드로 보인다. 즉, "온음:온음:반음:온음:온음:온음:반음"의 구조를 가진다. 각 테트라코드는 두 개의 온음과 뒤이어 오는 반음으로 구성된다. 서양의 음계는 오선지 상에 줄이나 공백을 남기지 않으며, 임시표가 붙은 음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조표는 단지 샵이나 플랫만을 가진다.

음정의 이름

오도권(The circle of fifths)

오도권요한 다비트 하이니헨이 1728년에 최초로 그의 책 Der General-bass에서 도입하였으며, 키(key)들 사이의 상대적인 음정의 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여왔다.[1]

원 안의 숫자는 그 조표의 샵이나 플랫의 숫자를 나타낸다. 다 장조(C major)에서 시작하여, 샵 키는 시계방향으로, 플랫 키는 반시계방향으로 진행된다. 이 원형 배치에서 이명동음 관계를 볼 수 있다. 여섯 개의 샵이나 플랫이 붙으면, 장조로서는 올림 바 장조(F# Maj), 내림 사 장조(Gb min), 단조로서는 올림 라 단조(D# Maj), 내림 마 단조(Eb min)이 된다.[1] 일곱 개의 샵 또는 플랫은 각각 올림 다 장조(C# Maj), 내림 다 장조(Cb min)를 만드는데, 이는 각각 다섯개의 플랫 또는 샵을 사용하여 내림 나 장조(Db Maj), 나 장조(B Maj)로 표기한다.

조표

음정 조성 조표
플랫 장조 바 - 나 - 마 - 가 - 라 - 사 - 다
단조 라 - 사 - 다 - 바 - 나 - 마 - 가
샤프 장조 사 - 라 - 가 - 마 - 나 - 바 - 다
단조 마 - 나 - 바 - 다 - 사 - 라 - 가

참고 문헌

  1. Drabkin, William. 2001. "Circle of Fifths".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second edition, edited by Stanley Sadie and John Tyrrell. London: Macmillan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