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덕여왕: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0번째 줄: 10번째 줄:


== 생애 ==
== 생애 ==
자태가 풍만하고 아름다웠으며 키는 7척이었고 팔이 무척 길어 쭉 뻗으면 무릎까지 닿았다.<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勝曼姿質豊麗 長七尺 垂手過膝 (승만은 생김새가 풍만하고 아름다웠으며, 키가 일곱 자였고 손을 내려뜨리면 무릎 아래까지 닿았다. )}}</ref> 이러한 신체적 특징은 [[부처]]의 모습을 갖춘 보살에 비유되었을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647년]] 사촌언니인 [[신라 선덕여왕|선덕여왕]]이 [[비담의 난]]을 토벌하던 도중에 서거하자 왕위를 계승하여 즉위하였다. [[당 태종]](재위: [[626년]] ~ [[649년]])이 사신을 보내 부절(符節)을 가지고 [[선덕여왕]]을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추증하고, 아울러 진덕여왕을 주국(柱國) 낙랑군왕(樂浪郡王)으로 책봉하였다. 가을 7월에 [[신라]]는 사신을 [[당나라]]에 보내 은혜에 감사하였다.<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元年 ... 唐太宗遣使持節 追贈前王爲光祿大夫 仍冊命王爲柱國封樂浪郡王 秋七月 遣使入唐謝恩 (원년([[647년]]) [[당 태종]]이 사신을 보내 부절(符節)을 가지고 앞 임금을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추증하고, 아울러 왕을 주국(柱國) 낙랑군왕(樂浪郡王)으로 책봉하였다. 가을 7월에 사신을 [[당나라]]에 보내 은혜에 감사하였다. )}}</ref> [[연호]]를 태화(太和)라 하였다. <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元年 ... 改元太和 (원년([[647년]]) 연호를 태화(太和)로 바꾸었다. )}}</ref>
자태가 풍만하고 아름다웠으며 키는 7척이었고 팔이 무척 길어 쭉 뻗으면 무릎까지 닿았다.<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勝曼姿質豊麗 長七尺 垂手過膝 (승만은 생김새가 풍만하고 아름다웠으며, 키가 일곱 자였고 손을 내려뜨리면 무릎 아래까지 닿았다. )}}</ref> 이러한 신체적 특징은 [[부처]]의 모습을 갖춘 보살에 비유되었을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647년]] 사촌언니인 [[신라 선덕여왕|선덕여왕]]이 [[비담의 난]]을 토벌하던 도중에 서거하자 왕위를 계승하여 즉위하였다. [[당 태종]](재위: [[626년]] ~ [[649년]])이 사신을 보내 부절(符節)을 가지고 [[선덕여왕]]을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추증하고, 아울러 [[김승만|진덕여왕]]을 주국(柱國) 낙랑군왕(樂浪郡王)으로 책봉하였다. 가을 7월에 [[신라]]는 사신을 [[당나라]]에 보내 은혜에 감사하였다.<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元年 ... 唐太宗遣使持節 追贈前王爲光祿大夫 仍冊命王爲柱國封樂浪郡王 秋七月 遣使入唐謝恩 (원년([[647년]]) [[당 태종]]이 사신을 보내 부절(符節)을 가지고 앞 임금을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추증하고, 아울러 왕을 주국(柱國) 낙랑군왕(樂浪郡王)으로 책봉하였다. 가을 7월에 사신을 [[당나라]]에 보내 은혜에 감사하였다. )}}</ref> [[연호]]를 태화(太和)라 하였다. <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元年 ... 改元太和 (원년([[647년]]) 연호를 태화(太和)로 바꾸었다. )}}</ref>


진덕여왕은 왕위 계승자로 내정된 [[태종무열왕|김춘추]]의 양보로 즉위하였으며, [[태종무열왕|김춘추]]와 [[김유신]]의 보좌에 힘입어 즉위한 지 9일 만에 [[비담의 난]]을 종식시켰다. [[비담]]을 비롯한 반란군은 [[김유신]]의 뛰어난 전술에 밀려 결국 궤멸되었다. <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元年 正月十七日 誅毗曇 坐死者三十人 (원년(647) 정월 17일에 [[비담]](毗曇)을 목베어 죽였는데, 그에 연루되어 죽은 사람이 30명이었다. )}}</ref>반란군을 토벌한 진덕여왕은 [[알천]]을 [[상대등]]에 임명하고 대아찬 수승을 우두주(牛頭州)의 영주로 임명<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元年 ... 二月 拜伊湌閼川爲上大等 大阿湌守勝爲牛頭州軍主 (원년(647) ... 2월에 이찬 [[알천]](閼川)을 상대등으로 삼고 대아찬 수승(守勝)을 우두주(牛頭州) 군주로 삼았다. )}}</ref> 하는 등 왕권 강화를 통한 정치적 개혁을 실시함과 동시에 국내 안정을 꾀하여 비교적 안정된 위치에서 정무를 집행하였다.
[[김승만|진덕여왕]]은 왕위 계승자로 내정된 [[태종무열왕|김춘추]]의 양보로 즉위하였으며, [[태종무열왕|김춘추]]와 [[김유신]]의 보좌에 힘입어 즉위한 지 9일 만에 [[비담의 난]]을 종식시켰다. [[비담]]을 비롯한 반란군은 [[김유신]]의 뛰어난 전술에 밀려 결국 궤멸되었다. <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元年 正月十七日 誅毗曇 坐死者三十人 (원년([[647년]]) 정월 17일에 [[비담]](毗曇)을 목베어 죽였는데, 그에 연루되어 죽은 사람이 30명이었다. )}}</ref>반란군을 토벌한 진덕여왕은 [[알천]]을 [[상대등]]에 임명하고 대아찬 수승을 우두주(牛頭州)의 영주로 임명<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元年 ... 二月 拜伊湌閼川爲上大等 大阿湌守勝爲牛頭州軍主 (원년(647) ... 2월에 이찬 [[알천]](閼川)을 상대등으로 삼고 대아찬 수승(守勝)을 우두주(牛頭州) 군주로 삼았다. )}}</ref> 하는 등 왕권 강화를 통한 정치적 개혁을 실시함과 동시에 국내 안정을 꾀하여 비교적 안정된 위치에서 정무를 집행하였다.


그러나 [[백제]]가 [[신라]]의 내정이 내분으로 불안해진 틈을 타 그해 음력 10월 [[신라]]를 침공하였다. 이에 [[진덕여왕]]은 [[김유신]]을 출전시켜 [[백제]]군에 대적하도록 하였다. <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元年 ...冬十月 百濟兵圍茂山·甘勿·桐岑三城 王遣庾信 率步騎一萬以拒之 苦戰氣竭 庾信麾下丕寧子及其子擧眞 入敵陣急格死之 衆皆奮擊 斬首三千餘級 (원년([[647년]])...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무산성(茂山城), 감물성(甘勿城), 동잠성(桐岑城)의 세 성을 에워쌌으므로, 왕이 유신을 보내 보병과 기병 1만 명을 거느리고 가서 막게 하였다. 고전(苦戰)하여 기운이 다빠졌는데, 유신의 부하 비령자(丕寧子)와 그의 아들 거진(擧眞)이 적진에 들어가 급히 공격하다가 죽으니, 무리들이 모두 분발하여 쳐서 3천여 명을 목베었다. )}}</ref> 이렇듯 [[백제]]의 지속적인 공략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던 [[신라]]는 설상가상으로 [[고구려]]까지 [[신라]] 공격에 가세하자 진퇴양난의 신세가 되었다.
그러나 [[백제]]가 [[신라]]의 내정이 내분으로 불안해진 틈을 타 그해 음력 10월 [[신라]]를 침공하였다. 이에 [[김승만|진덕여왕]]은 [[김유신]]을 출전시켜 [[백제]]군에 대적하도록 하였다. <ref>{{서적 인용 |제목= [[삼국사기]] | 저자= [[김부식]] |꺾쇠표 =예|연도= 1145 |장= [[:s:삼국사기/권05/진덕왕 |본기 권5 진덕왕]] |인용문= 元年 ...冬十月 百濟兵圍茂山·甘勿·桐岑三城 王遣庾信 率步騎一萬以拒之 苦戰氣竭 庾信麾下丕寧子及其子擧眞 入敵陣急格死之 衆皆奮擊 斬首三千餘級 (원년([[647년]])...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무산성(茂山城), 감물성(甘勿城), 동잠성(桐岑城)의 세 성을 에워쌌으므로, 왕이 유신을 보내 보병과 기병 1만 명을 거느리고 가서 막게 하였다. 고전(苦戰)하여 기운이 다빠졌는데, 유신의 부하 비령자(丕寧子)와 그의 아들 거진(擧眞)이 적진에 들어가 급히 공격하다가 죽으니, 무리들이 모두 분발하여 쳐서 3천여 명을 목베었다. )}}</ref> 이렇듯 [[백제]]의 지속적인 공략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던 [[신라]]는 설상가상으로 [[고구려]]까지 [[신라]] 공격에 가세하자 진퇴양난의 신세가 되었다.


[[648년]]에 [[고구려]]와 [[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필요한 군사 지원을 얻기 위해 [[김춘추]]를 [[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하였다. [[당나라]] 역시 [[고구려]] 정벌을 위해서는 [[신라]]의 협조가 절실하게 필요했기 때문에 이를 환영하였다.(→[[김춘추]]) 진덕여왕과 [[당 태종]]은 서로 간에 친교를 돈독히 한 다음, 나당 연합을 체결하였다. 진덕여왕 대에 백제가 신라의 턱밑인 [[대야성]](지금의 경남 합천)까지 공격하여 위기 상황에 몰리게 되었다.
[[648년]]에 [[고구려]]와 [[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필요한 군사 지원을 얻기 위해 [[김춘추]]를 [[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하였다. [[당나라]] 역시 [[고구려]] 정벌을 위해서는 [[신라]]의 협조가 절실하게 필요했기 때문에 이를 환영하였다.(→[[김춘추]]) 진덕여왕과 [[당 태종]]은 서로 간에 친교를 돈독히 한 다음, 나당 연합을 체결하였다. [[김승만|진덕여왕]] 대에 백제가 신라의 턱밑인 [[대야성]](지금의 경남 합천)까지 공격하여 위기 상황에 몰리게 되었다.


진덕여왕은 그 후 [[김유신]]으로 하여금 국방력을 증강시켜서 훗날 [[신라의 삼국통일|삼국통일]]의 기틀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김승만|진덕여왕]]은 그 후 [[김유신]]으로 하여금 국방력을 증강시켜서 훗날 [[신라의 삼국통일|삼국통일]]의 기틀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 작품 ==
== 작품 ==

2012년 12월 10일 (월) 12:58 판

신라 진덕여왕
新羅 眞德女王
신라의 제28대 국왕
재위 647년 ~ 654년
전임 신라 선덕여왕
후임 신라 태종 무열왕
신상정보
종교 불교

진덕여왕(眞德女王, ? ~ 654년, 재위: 647년 ~ 654년)은 신라의 제28대 여왕이다. 은 김(金), 는 승만(勝曼)이다. 진평왕의 동생인 국반 갈문왕(國飯葛文王)과 월명부인(月明夫人)의 딸이다.[1]

생애

자태가 풍만하고 아름다웠으며 키는 7척이었고 팔이 무척 길어 쭉 뻗으면 무릎까지 닿았다.[2] 이러한 신체적 특징은 부처의 모습을 갖춘 보살에 비유되었을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647년 사촌언니인 선덕여왕비담의 난을 토벌하던 도중에 서거하자 왕위를 계승하여 즉위하였다. 당 태종(재위: 626년 ~ 649년)이 사신을 보내 부절(符節)을 가지고 선덕여왕을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추증하고, 아울러 진덕여왕을 주국(柱國) 낙랑군왕(樂浪郡王)으로 책봉하였다. 가을 7월에 신라는 사신을 당나라에 보내 은혜에 감사하였다.[3] 연호를 태화(太和)라 하였다. [4]

진덕여왕은 왕위 계승자로 내정된 김춘추의 양보로 즉위하였으며, 김춘추김유신의 보좌에 힘입어 즉위한 지 9일 만에 비담의 난을 종식시켰다. 비담을 비롯한 반란군은 김유신의 뛰어난 전술에 밀려 결국 궤멸되었다. [5]반란군을 토벌한 진덕여왕은 알천상대등에 임명하고 대아찬 수승을 우두주(牛頭州)의 영주로 임명[6] 하는 등 왕권 강화를 통한 정치적 개혁을 실시함과 동시에 국내 안정을 꾀하여 비교적 안정된 위치에서 정무를 집행하였다.

그러나 백제신라의 내정이 내분으로 불안해진 틈을 타 그해 음력 10월 신라를 침공하였다. 이에 진덕여왕김유신을 출전시켜 백제군에 대적하도록 하였다. [7] 이렇듯 백제의 지속적인 공략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던 신라는 설상가상으로 고구려까지 신라 공격에 가세하자 진퇴양난의 신세가 되었다.

648년고구려백제를 견제하기 위해 필요한 군사 지원을 얻기 위해 김춘추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하였다. 당나라 역시 고구려 정벌을 위해서는 신라의 협조가 절실하게 필요했기 때문에 이를 환영하였다.(→김춘추) 진덕여왕과 당 태종은 서로 간에 친교를 돈독히 한 다음, 나당 연합을 체결하였다. 진덕여왕 대에 백제가 신라의 턱밑인 대야성(지금의 경남 합천)까지 공격하여 위기 상황에 몰리게 되었다.

진덕여왕은 그 후 김유신으로 하여금 국방력을 증강시켜서 훗날 삼국통일의 기틀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작품

  • 《태평송》

관련 작품

드라마

가계

참고

주석

  1. 김부식 (1145). 〈본기 권5 진덕왕〉. 《삼국사기》. 眞德王立 名勝曼 眞平王母弟國飯 一云國芬 葛文王之女也 母朴氏月明夫人 (진덕왕(眞德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승만(勝曼)이고 진평왕의 친동생 국반갈문왕(國飯葛文王)의 딸이다. 어머니는 박씨(朴氏) 월명부인(月明夫人)이다. ) 
  2. 김부식 (1145). 〈본기 권5 진덕왕〉. 《삼국사기》. 勝曼姿質豊麗 長七尺 垂手過膝 (승만은 생김새가 풍만하고 아름다웠으며, 키가 일곱 자였고 손을 내려뜨리면 무릎 아래까지 닿았다. ) 
  3. 김부식 (1145). 〈본기 권5 진덕왕〉. 《삼국사기》. 元年 ... 唐太宗遣使持節 追贈前王爲光祿大夫 仍冊命王爲柱國封樂浪郡王 秋七月 遣使入唐謝恩 (원년(647년) 당 태종이 사신을 보내 부절(符節)을 가지고 앞 임금을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추증하고, 아울러 왕을 주국(柱國) 낙랑군왕(樂浪郡王)으로 책봉하였다. 가을 7월에 사신을 당나라에 보내 은혜에 감사하였다. ) 
  4. 김부식 (1145). 〈본기 권5 진덕왕〉. 《삼국사기》. 元年 ... 改元太和 (원년(647년) 연호를 태화(太和)로 바꾸었다. ) 
  5. 김부식 (1145). 〈본기 권5 진덕왕〉. 《삼국사기》. 元年 正月十七日 誅毗曇 坐死者三十人 (원년(647년) 정월 17일에 비담(毗曇)을 목베어 죽였는데, 그에 연루되어 죽은 사람이 30명이었다. ) 
  6. 김부식 (1145). 〈본기 권5 진덕왕〉. 《삼국사기》. 元年 ... 二月 拜伊湌閼川爲上大等 大阿湌守勝爲牛頭州軍主 (원년(647) ... 2월에 이찬 알천(閼川)을 상대등으로 삼고 대아찬 수승(守勝)을 우두주(牛頭州) 군주로 삼았다. ) 
  7. 김부식 (1145). 〈본기 권5 진덕왕〉. 《삼국사기》. 元年 ...冬十月 百濟兵圍茂山·甘勿·桐岑三城 王遣庾信 率步騎一萬以拒之 苦戰氣竭 庾信麾下丕寧子及其子擧眞 入敵陣急格死之 衆皆奮擊 斬首三千餘級 (원년(647년)...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무산성(茂山城), 감물성(甘勿城), 동잠성(桐岑城)의 세 성을 에워쌌으므로, 왕이 유신을 보내 보병과 기병 1만 명을 거느리고 가서 막게 하였다. 고전(苦戰)하여 기운이 다빠졌는데, 유신의 부하 비령자(丕寧子)와 그의 아들 거진(擧眞)이 적진에 들어가 급히 공격하다가 죽으니, 무리들이 모두 분발하여 쳐서 3천여 명을 목베었다. ) 

참고 문헌

  • 김부식, 삼국사기
  • 일연, 삼국유사
  • 김대문, 화랑세기
  • 이덕일, 여인열전 (김영사, 2003)
  • 김용희, 상처입은 봉황 선덕여왕 (탄생부터 죽음까지 안개 속에 가려진 신라 천년의 최대 비밀) (다산초당, 2009)
전 대
선덕여왕
제28대 신라 국왕
647년 - 654년
후 대
태종무열왕

틀:신라의 역대 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