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박열을(를) 추가함
문원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在北平和統一促進協議會)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956년]] 결성된 단체이다. '''재북평통'''이나 '''통협'''으로 약칭되기도 한다.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在北平和統一促進協議會)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956년]] 7월 2일에 납북된 남한 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단체이다. '''재북평통'''이나 '''통협'''으로 약칭되기도 한다.


== 결성과 활동 ==
== 결성과 활동 ==
[[1956년]] 7월에 [[평양]]의 [[모란봉극장]]에서 결성되었다. 참가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김일성]]을 지지하는 재북 인사들로, 주로 [[한국 전쟁]] 북조선으로 사람들이며 한국 전쟁 전에는 김일성을 지지하지 않았던 [[우익]] 계열 출신이다.
[[1956년]] 7월에 [[평양]]의 [[모란봉극장]]에서 대남선전과 통일전략에 납북인사를 활용하기 위한 의도에서 [[한국 전쟁]] 당시 납북된 인물들로 가입자 대부분은 비자발적으로 동원되었다.


[[평양방송]]에 따르면 이 단체는 [[대한민국]] 출신 월북 인사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자원적 정치조직이다. 단체의 이름은 [[1948년]]에 [[제1공화국]] 수립 직전 [[서울]]에서 결성된 [[김구]]와 [[김규식 (1881년)|김규식]] 중심의 '''통일독립촉진회'''를 이어받는다는 측면에서 따온 것이다.
단체의 이름은 [[1948년]]에 [[제1공화국]] 수립 직전 [[서울]]에서 결성된 [[김구]]와 [[김규식 (1881년)|김규식]] 중심의 '''통일독립촉진회'''를 이어받는다는 측면에서 따온 것이다.


강령은 평화통일, 전쟁반대, 남북협상의 세 가지이다. 평화통일 운동과 이에 따른 대남 선전이 주요 업무이다.
강령은 평화통일, 전쟁반대, 남북협상의 세 가지이다. 평화통일 운동과 이에 따른 대남 선전이 주요 업무이다.


== 구성원 ==
== 구성원 ==
초기의 구성원은 한국 전쟁 중 조선민주주의공화국을 택한 인사들이며, [[1948년]]에 평양에서 열린 [[남북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연석회의]]에 참가했던 남북협상파와 [[대한민국 제헌국회]]의 소장파 의원으로 [[국회 프락치 사건]] 관련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1948년]]에 평양에서 열린 [[남북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연석회의]]에 참가했던 남북협상파와 [[대한민국 제헌국회]]의 소장파 의원으로 [[국회 프락치 사건]] 관련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납북 인사로 부르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의거월북한 것으로 주장하여 논란이 있다. 한국 전쟁 중의 급박한 상황에서 식모와 참모를 둘 정도로 우대를 받기도 하였고, 사망한 뒤 일부는 [[애국렬사릉]]에, 일부는 평양 [[삼석구역]]과 신미리의 특설묘지에 안치되었다.<ref>{{서적 인용
대한민국에서는 납북 인사로 부르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의거월북한 것으로 주장하여 논란이 있다. 한국 전쟁 중의 급박한 상황에서 식모와 참모를 둘 정도로 우대를 받기도 하였고, 사망한 뒤 일부는 [[애국렬사릉]]에, 일부는 평양 [[삼석구역]]과 신미리의 특설묘지에 안치되었다.<ref>{{서적 인용
32번째 줄: 32번째 줄:
|확인일자=2008-08-24
|확인일자=2008-08-24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8743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 주석 ==
== 주석 ==
{{주석}}
{{주석}}

2012년 6월 14일 (목) 09:21 판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在北平和統一促進協議會)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956년 7월 2일에 납북된 남한 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단체이다. 재북평통이나 통협으로 약칭되기도 한다.

결성과 활동

1956년 7월에 평양모란봉극장에서 대남선전과 통일전략에 납북인사를 활용하기 위한 의도에서 한국 전쟁 당시 납북된 인물들로 가입자 대부분은 비자발적으로 동원되었다.

단체의 이름은 1948년제1공화국 수립 직전 서울에서 결성된 김구김규식 중심의 통일독립촉진회를 이어받는다는 측면에서 따온 것이다.

강령은 평화통일, 전쟁반대, 남북협상의 세 가지이다. 평화통일 운동과 이에 따른 대남 선전이 주요 업무이다.

구성원

1948년에 평양에서 열린 남북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연석회의에 참가했던 남북협상파와 대한민국 제헌국회의 소장파 의원으로 국회 프락치 사건 관련자 등이 포함되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납북 인사로 부르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의거월북한 것으로 주장하여 논란이 있다. 한국 전쟁 중의 급박한 상황에서 식모와 참모를 둘 정도로 우대를 받기도 하였고, 사망한 뒤 일부는 애국렬사릉에, 일부는 평양 삼석구역과 신미리의 특설묘지에 안치되었다.[1]

주요 인물은 안재홍, 조소앙, 오화영, 김약수 등으로, 대부분 일제 강점기에 독립 운동 경력이 있다. 3·1 운동 당시 학생 시위를 주도했던 강기덕, 일본에서 장기간 수감 생활을 한 박열도 포함되었다.

참고자료

주석

  1. 김귀옥. 〈제4장 북에서는 이산가족 문제를 어떻게 인식해왔는가 - 2. 월북인 인식과 정책〉.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서울: 역사비평사. ISBN 8976967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