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유교}}
{{유교}}
'''예기'''(禮記)는 중국 고대 유가(儒家)의 경전인 [[사서오경|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책이다.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책들을 [[전한 무제|한 무제]] 시대에 한나라의 제후인 하간헌왕(河間獻王)이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저작들을 모아 정리한 후, 그 후에 [[전한 선제|한 선제]] 시대에 [[유향 (전한)|유향]](劉向)과 대덕(戴德)·대성(戴聖)의 형제들이 잇따라 증보하거나 간추린 목록이 유향이 214편으로 엮었고, 대덕이 85편으로, 대성이 49편으로 간추렸다. 대덕이 증보하여 간추린 문장을 편집한 예기를 따로 구분하여 [[대대례]](大戴禮)로 불리기도 한다.
'''예기'''(禮記)는 중국 고대 유가(儒家)의 경전인 [[사서오경|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책이다.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책들이지만 진시황의 분서갱유 이후에 흩혀저서 전해지고 있었다. [[전한 무제|한 무제]] 시대에 한나라의 제후인 하간헌왕(河間獻王)이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저작들을 모아 정리한 후, 그 후에 [[전한 선제|한 선제]] 시대에 [[유향 (전한)|유향]](劉向)과 대덕(戴德)·대성(戴聖)의 형제들이 잇따라 증보하거나 간추린 목록이 유향이 214편으로 엮었고, 대덕이 85편으로, 대성이 49편으로 간추렸다. 대덕이 증보하여 간추린 문장을 편집한 예기를 따로 구분하여 [[대대례]](大戴禮)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中國)의 삼례(예기,주례,의례)중 에서 하나이며, 왕조(王朝)의 제도(制度), 상복(喪服), 동작(動作)의 규칙(規則), 예(禮)의 해설(解說), 예악의 이론(理論) 등을 담고 있다.
중국(中國)의 삼례(예기,주례,의례)중 에서 하나이며, 왕조(王朝)의 제도(制度), 상복(喪服), 동작(動作)의 규칙(規則), 예(禮)의 해설(解說), 예악의 이론(理論) 등을 담고 있다.

2012년 2월 21일 (화) 11:45 판

예기(禮記)는 중국 고대 유가(儒家)의 경전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예법(禮法)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책이다.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책들이지만 진시황의 분서갱유 이후에 흩혀저서 전해지고 있었다. 한 무제 시대에 한나라의 제후인 하간헌왕(河間獻王)이 공자(孔子)와 그 후학들이 지은 131편의 저작들을 모아 정리한 후, 그 후에 한 선제 시대에 유향(劉向)과 대덕(戴德)·대성(戴聖)의 형제들이 잇따라 증보하거나 간추린 목록이 유향이 214편으로 엮었고, 대덕이 85편으로, 대성이 49편으로 간추렸다. 대덕이 증보하여 간추린 문장을 편집한 예기를 따로 구분하여 대대례(大戴禮)로 불리기도 한다.

중국(中國)의 삼례(예기,주례,의례)중 에서 하나이며, 왕조(王朝)의 제도(制度), 상복(喪服), 동작(動作)의 규칙(規則), 예(禮)의 해설(解說), 예악의 이론(理論) 등을 담고 있다.

원(元)의 순제(順帝) 때 요(遼), 금(金)의 양사(兩史)ㆍ탈탈(脫脫)과 함께 편찬(編纂)되었다.

예기의 구성

주석


틀:사서오경 틀:십삼경

틀:Link 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