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열음: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WikitanvirBot (토론 | 기여)
잔글 r2.7.1) (로봇이 바꿈: id:Plosif
Luckas-bot (토론 | 기여)
잔글 r2.7.1) (로봇이 더함: uk:Проривний приголосний
89번째 줄: 89번째 줄:
[[ta:வெடிப்பொலி மெய்]]
[[ta:வெடிப்பொலி மெய்]]
[[tl:Plowsib]]
[[tl:Plowsib]]
[[uk:Проривний приголосний]]
[[zh:塞音]]
[[zh:塞音]]

2012년 2월 6일 (월) 19:15 판

파열음(破裂音, plos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완전한 폐쇄를 당했다 터져 나오면서 나는 소리이다. 폐쇄를 강조하여 폐쇄음(閉鎖音, stop)이라고도 한다.

폐쇄 개시 → 폐쇄 지속 → 파열

파열음 분류

비음

비음을 파열음으로 분류하는 언어 학자도 있다. 이 경우에는 파열음을 파열구음(破裂口音), 비음을 파열비음(破裂鼻音)이라고 한다.

성대

파열음에는 공기가 성대를 통과할 때 성대가 떨리면서 나는 유성음(有聲音)과 떨림이 없는 무성음(無聲音)의 구별이 있다.

공기를 입축한 후 강하게 방출하면서 나는 공기를 기음(氣音)이라고 한다. 파열음에는 기음을 수반한 유기음(有氣音)과 수반하지 않는 무기음(無氣音)의 구별이 있다. 한국어의 격음평음에 대응한다. 유기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서 [pʰ]처럼 쓴다.

길이

길게 조음한 닿소리를 장자음이라고 한다. 파열음에서는 폐쇄를 길게 지속한다.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장음 기호 [pː] 또는 자음을 두 개 겹쳐 표시한다. 파열없는 것을 표시하는 기호를 써서 [p̚]처럼 나타낼 때도 있다. 예:[pː] / [pp] / [p̚p]

기류 기구

허파로부터 나오던 공기를 쓰지 않는 방출음, 입파음, 흡착음도 파열음에 분류한 바가 있다.

긴장

음성 기관의 긴장도가 높은 음을 긴장음(緊張音, tense sound), 낮은 음을 이완음(弛緩音, lax sound)이라고 한다. 자음의 긴장음을 경음이라고 한다. 한국어의 파열음에는 긴장음과 이완음의 구별이 있다. 한국어는 긴장음을 가진 대표적인 언어다.

국제 음성 기호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