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엽 (1563년):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Unionball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Unionball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안정엽|조선의 정치가|대한민국의 가수}}
{{다른 뜻|안정엽|조선의 정치가|대한민국의 가수}}

'''정엽'''(鄭曄, [[1563년]]~[[1625년]])은 [[조선]] 정치가이며, 자는 시회(時晦), 호는 수몽(守夢)·설촌(雪村), 시호는 문숙(文肅), 본관은 [[초계 정씨|초계]](草溪)이며, 이산보(李山甫)의 사위이다.
'''정엽'''(鄭曄, [[1563년]]~[[1625년]])은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가이며, 자는 시회(時晦), 호는 수몽(守夢)·설촌(雪村), 시호는 문숙(文肅), 본관은 [[초계 정씨|초계]](草溪)이며, 학자 [[이산보]](李山甫)의 사위이며 [[북인]] 당수 [[이산해]]의 당조카사위이다. [[이이]](李珥)·[[성혼]](成渾)·[[송익필]](宋翼弼)의 문인이다.


== 생애 ==
== 생애 ==
[[이이]](李珥)·[[성혼]](成渾)·[[송익필]](宋翼弼)의 문인으로, [[1583년]]([[조선 선조|선조]] 16) 문과에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고, [[1587년]]에 감찰(監察)·형조 좌랑을 지내었다. [[1593년]] 황주 판관으로 왜군을 격퇴하고, 그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되었다. 수찬(修撰)·장령(掌令) 및 서천 군수를 역임하였으며, [[1597년]] 정유재란 때 예조 정랑으로 급고사(急告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후 사성(司成)이 되고, 수원 부사를 거쳐 이듬해 응교로 필선을 겸임하였다. 이어 승지·형조 참의·나주 목사를 거쳐 대사간에 이르렀다. [[1602년]](선조 35) 성혼(成渾)의 문인이라는 혐의를 받고 종성 부사(鍾城府使)로 좌천되었다가 [[1606년]] 성주(星州) 및 홍주(洪州)의 목사를 역임하였다.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뒤에 [[성혼]](成渾)[[송익필]](宋翼弼)의 문하에도 출입하며 사사하였다. 그러나 그의 처가는 [[북인]] [[이산해]]의 가문이었다. [[1583년]]([[조선 선조|선조]] 16) 문과에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고, [[1587년]]에 감찰(監察)·형조 좌랑을 지내었다. [[1593년]] 황주 판관으로 왜군을 격퇴하고, 그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되었다. 수찬(修撰)·장령(掌令) 및 서천 군수를 역임하였으며, [[1597년]] 정유재란 때 예조 정랑으로 급고사(急告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후 사성(司成)이 되고, 수원 부사를 거쳐 이듬해 응교로 필선을 겸임하였다. 이어 승지·형조 참의·나주 목사를 거쳐 대사간에 이르렀다. [[1602년]](선조 35) 성혼(成渾)의 문인이라는 혐의를 받고 종성 부사(鍾城府使)로 좌천되었다가 [[1606년]] 성주(星州) 및 홍주(洪州)의 목사를 역임하였다.


[[광해군]] 즉위 초 예조 참의·대사성·승지·판결사(判決使)·대사간· 등을 지냈다. [[1610년]] [[충청도]] 관찰사에 제수되었다. [[1612년]](광해군 4) 도승지로 왕을 경연에 자주 나가도록 했고, [[1614년]] 공조 참판이 되었다. [[1617년]]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자원하여 양양 부사(襄陽府使)로 나갔다가 1년 만에 사퇴했다.
[[광해군]] 즉위 초 예조 참의·대사성·승지·판결사(判決使)·대사간· 등을 지냈다. [[1610년]] [[충청도]] 관찰사에 제수되었다. [[1612년]](광해군 4) 도승지로 왕을 경연에 자주 나가도록 했고, [[대북]]이 집권한 뒤에도 그의 처당숙이 [[이산해]]였던 탓에 관직에 계속 나갈 수 있었다. [[1614년]] 공조 참판이 되었다. [[1617년]]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자원하여 양양 부사(襄陽府使)로 나갔다가 1년 만에 사퇴했다. 그뒤 [[서인]]들하고 교류하다가 [[인조 반정]]을 지지하게 된다.


[[1623년]] [[인조반정]] 후 대사성 겸 동지경연·원자사부(元子師傅)가 되어 학제(學制)를 상정했고, 여러 번 다른 직에 전임되었으나, 언제나 대사성을 겸함으로써 이때부터 대사헌을 거쳐 좌참찬·좌부빈객 등을 지냈다. [[이괄의 난]] 당시 인조에게 공주로 피할 것을 청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후 대사성 겸 동지경연·원자사부(元子師傅)가 되어 학제(學制)를 상정했고, 여러 번 다른 직에 전임되었으나, 언제나 대사성을 겸함으로써 이때부터 대사헌을 거쳐 좌참찬·좌부빈객 등을 지냈다. [[이괄의 난]] 당시 인조에게 공주로 피할 것을 청하였다.

2012년 1월 24일 (화) 18:33 판

정엽(鄭曄, 1563년~1625년)은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정치가이며, 자는 시회(時晦), 호는 수몽(守夢)·설촌(雪村), 시호는 문숙(文肅), 본관은 초계(草溪)이며, 학자 이산보(李山甫)의 사위이며 북인 당수 이산해의 당조카사위이다. 이이(李珥)·성혼(成渾)·송익필(宋翼弼)의 문인이다.

생애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다가 뒤에 성혼(成渾)과 송익필(宋翼弼)의 문하에도 출입하며 사사하였다. 그러나 그의 처가는 북인 이산해의 가문이었다. 1583년(선조 16) 문과에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고, 1587년에 감찰(監察)·형조 좌랑을 지내었다. 1593년 황주 판관으로 왜군을 격퇴하고, 그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되었다. 수찬(修撰)·장령(掌令) 및 서천 군수를 역임하였으며, 1597년 정유재란 때 예조 정랑으로 급고사(急告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후 사성(司成)이 되고, 수원 부사를 거쳐 이듬해 응교로 필선을 겸임하였다. 이어 승지·형조 참의·나주 목사를 거쳐 대사간에 이르렀다. 1602년(선조 35) 성혼(成渾)의 문인이라는 혐의를 받고 종성 부사(鍾城府使)로 좌천되었다가 1606년 성주(星州) 및 홍주(洪州)의 목사를 역임하였다.

광해군 즉위 초 예조 참의·대사성·승지·판결사(判決使)·대사간· 등을 지냈다. 1610년 충청도 관찰사에 제수되었다. 1612년(광해군 4) 도승지로 왕을 경연에 자주 나가도록 했고, 대북이 집권한 뒤에도 그의 처당숙이 이산해였던 탓에 관직에 계속 나갈 수 있었다. 1614년 공조 참판이 되었다. 1617년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자원하여 양양 부사(襄陽府使)로 나갔다가 1년 만에 사퇴했다. 그뒤 서인들하고 교류하다가 인조 반정을 지지하게 된다.

1623년 인조반정 후 대사성 겸 동지경연·원자사부(元子師傅)가 되어 학제(學制)를 상정했고, 여러 번 다른 직에 전임되었으나, 언제나 대사성을 겸함으로써 이때부터 대사헌을 거쳐 좌참찬·좌부빈객 등을 지냈다. 이괄의 난 당시 인조에게 공주로 피할 것을 청하였다.

관련 항목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