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헌 헌법: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9번째 줄: 19번째 줄:
[[제2차 세계 대전]]이 [[대일본제국|일본]]의 패망으로 끝나고,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양 연합군이 한반도에 진주하게 되었다. 이후 [[38선|북위 38도]]를 기준으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군정을 실시하게 되었고, 한반도의 장래 문제는 [[모스크바 협정|모스크바 3상회의]]와 [[미소공동위원회]]를 거치면서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5년간의 신탁통치를 통해 완전한 독립을 도모하기로 한 안이 나오게 되었지만 한국민들의 강한 반대에 직면하게 되었다. 결국 [[1948년]] [[2월 27일]], [[국제 연합 총회|UN총회]]에서는 [[총선거]]를 실시하되, 가능한 지역 내에서만 실시하여 정부를 수립하기로 결의하였다. 결국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최초의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어 19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제헌국회|제헌국회]]가 구성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대일본제국|일본]]의 패망으로 끝나고,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소련]]의 양 연합군이 한반도에 진주하게 되었다. 이후 [[38선|북위 38도]]를 기준으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군정을 실시하게 되었고, 한반도의 장래 문제는 [[모스크바 협정|모스크바 3상회의]]와 [[미소공동위원회]]를 거치면서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5년간의 신탁통치를 통해 완전한 독립을 도모하기로 한 안이 나오게 되었지만 한국민들의 강한 반대에 직면하게 되었다. 결국 [[1948년]] [[2월 27일]], [[국제 연합 총회|UN총회]]에서는 [[총선거]]를 실시하되, 가능한 지역 내에서만 실시하여 정부를 수립하기로 결의하였다. 결국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최초의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어 19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제헌국회|제헌국회]]가 구성되었다.


제헌국회는 초대국회의장에 [[이승만]]/[[대한독립촉성국민회]], 부의장에 [[신익희]]/[[대한독립촉성국민회]], [[김동원 (1884년)|김동원]]/[[한국민주당]]을 각각 선출하여 대한국민정부수립을 위한 활동을 개시하였다.
제헌국회는 초대국회의장에 [[이승만]]<small>/[[대한독립촉성국민회]]</small>, 부의장에 [[신익희]]<small>/[[대한독립촉성국민회]]</small>, [[김동원 (1884년)|김동원]]<small>/[[한국민주당]]</small>을 각각 선출하여 대한국민정부수립을 위한 활동을 개시하였다.


동년 6월 1일 소집된 제2차 국회 본회의를 열어 헌법 및 정부조직법 기초위원과 국회법 기초위원을 선임하기 위한 전형위원(각 도별로 1인)을 선출하였고 이들 전형위원으로 하여금 기초위원 30인을 선출케 하였다. [[서상일]]위원장을 중심으로한 기초위원들은 당초에 내각책임제로 기초하였던 헌법안을 대통령중심제로 하려는 이승만의장의 의도에 따라 대통령중심제로 기초완료되어 이것이 6월 23일 본회의에 상정.통과되어 7월 17일 이승만의장이 서명/공포하므로써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이 발효하였다.
동년 6월 1일 소집된 제2차 국회 본회의를 열어 헌법 및 정부조직법 기초위원과 국회법 기초위원을 선임하기 위한 전형위원(각 도별로 1인)을 선출하였고 이들 전형위원으로 하여금 기초위원 30인을 선출케 하였다.
<Blockquote>
:위원장 : [[서상일]]
:위 원 : [[유성갑]] [[윤석구]] [[최규각]] [[김옥주]] [[신현돈]] [[김경배]]
</Blockquote>
[[서상일]]위원장을 중심으로한 기초위원들은 당초에 내각책임제로 기초하였던 헌법안을 대통령중심제로 하려는 이승만의장의 의도에 따라 대통령중심제로 기초완료되어 이것이 6월 23일 본회의에 상정.통과되어 7월 17일 이승만의장이 서명/공포하므로써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이 발효하였다.


==주요 내용==
==주요 내용==

2011년 8월 23일 (화) 14:37 판

大韓民國憲法
약칭 제헌헌법, 건국헌법
종류 헌법 제1호
제정 일자 1948년 7월 17일
상태 폐지 (1952년 7월 7일에 일부 개정)
분야 공법
주요 내용 국민의 기본적 권리와 의무를 보장하고, 국가의 통치조직과 그 작용 원리를 규정.
관련 법규 대한민국 헌법의 역사
원문 대한민국 건국헌법
대한민국 헌법 (한국어 / 영어)
전문 · 1장 · 2장 · 3장 · 4장 · 5장 · 6장
7장 · 8장 · 9장 · 10장 · 부칙
임시헌장임시헌법
제1호제2호제3호제4호
제5호제6호제7호
제8호제9호제10호
대한민국의 헌정사
전쟁기념관에 전시 중인 제헌 헌법. 사진은 첫 장이다.

대한민국 건국헌법(大韓民國建國憲法)[1] 또는 대한민국 헌법 제1호(大韓民國憲法第一號)는 1948년 대한민국 제헌국회가 제정하여, 1952년까지 존재한 대한민국의 헌법으로, 제헌헌법(制憲憲法)이라고도 한다. 전문본문 10장 130조로 구성되었다.

제정 과정

제2차 세계 대전일본의 패망으로 끝나고, 미국소련의 양 연합군이 한반도에 진주하게 되었다. 이후 북위 38도를 기준으로 북쪽에는 소련군이, 남쪽에는 미군이 군정을 실시하게 되었고, 한반도의 장래 문제는 모스크바 3상회의미소공동위원회를 거치면서 임시정부를 수립하고 5년간의 신탁통치를 통해 완전한 독립을 도모하기로 한 안이 나오게 되었지만 한국민들의 강한 반대에 직면하게 되었다. 결국 1948년 2월 27일, UN총회에서는 총선거를 실시하되, 가능한 지역 내에서만 실시하여 정부를 수립하기로 결의하였다. 결국 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최초의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어 19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제헌국회가 구성되었다.

제헌국회는 초대국회의장에 이승만/대한독립촉성국민회, 부의장에 신익희/대한독립촉성국민회, 김동원/한국민주당을 각각 선출하여 대한국민정부수립을 위한 활동을 개시하였다.

동년 6월 1일 소집된 제2차 국회 본회의를 열어 헌법 및 정부조직법 기초위원과 국회법 기초위원을 선임하기 위한 전형위원(각 도별로 1인)을 선출하였고 이들 전형위원으로 하여금 기초위원 30인을 선출케 하였다.

위원장 : 서상일
위 원 : 유성갑 윤석구 최규각 김옥주 신현돈 김경배

서상일위원장을 중심으로한 기초위원들은 당초에 내각책임제로 기초하였던 헌법안을 대통령중심제로 하려는 이승만의장의 의도에 따라 대통령중심제로 기초완료되어 이것이 6월 23일 본회의에 상정.통과되어 7월 17일 이승만의장이 서명/공포하므로써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이 발효하였다.

주요 내용

건국헌법은 전문에서 3·1 운동을 통해 대한민국을 건립한 독립정신을 계승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또는 헌장·약헌 등)에서도 3·1운동의 독립정신을 계승한다고 밝힌 것과 함께 살필 때,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았다고도 볼 수 있다(현행 대한민국 헌법에서는 이러한 법통의 계승에 대해 명시하고 있다).

정부형태는 대통령을 국가원수로 하는 대통령중심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제정 초안의 의원내각제의 조항 또한 담고 있어 미국과 같은 순수한 형태의 대통령중심제를 취하고 있지는 않다. 대통령은 행정부의 수반이며 국가원수지만(제51조), 국회에서 대통령 및 부통령을 선출하게 함으로써(제53조) 의원내각제의 총리의 선출과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대통령은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의 임명권을 가지며(제69조), 국회에서 제출한 법률안을 거부할 권한을 가진다(제40조). 대통령은 또한 긴급한 경우에 법률의 효력을 가진 명령을 발하거나, 재정상 필요한 처분을 할 수 있다(제57조). 대통령의 임기는 4년으로, 1회 중임이 가능하다(제55조).

입법권을 가진 국회는 단원제로, 의원의 임기는 4년이다(제33조). 단 제헌국회의 의원은 헌법에 의한 국회로, 임기는 국회 개회일로부터 2년이다(제102조). 국회는 입법권 외에도 예산안 심의·결정권(제41조), 여러 조약의 비준과 선전포고에 대한 동의권(제42조), 국정감사권(제43조),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정부위원의 국회 출석 및 발언 요구권(제44조), 대통령 및 여러 각료에 대한 탄핵소추권(제46조), 국무총리의 임명시 국회 동의권(제69조) 등의 권한을 갖는다.

법원은 법관으로 조직되어(제76조), 독립된 재판기관의 역할을 한다(제77조). 대법원장은 대통령이 임명하지만, 국회의 승인이 필요하다(제78조). 대법원은 명령·규칙·처분의 위헌·위법 심사권을 갖지만, 위헌법률심사권은 대법원이 아니라 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고, 대법관 5명과 국회의원 5명으로 구성되는 헌법위원회가 갖는다(제81조).

특징적인 점은 사기업에서 근로자가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익을 균점할 권리가 인정되었다는 것이다(제18조). 또한 제2장에서는 자유권을 비롯하여 사회적 기본권, 참정권 등의 다양한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규정은 이후의 정치적인 면을 살펴볼 때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존중되지 않은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은 수차례의 개정 뒤에도 자주 나타나게 된다.

주석

참고 자료

  • 계희열, 《헌법학 상 (신정 2판)》, 박영사, 2005.
  • 김철수, 《한국헌법사》, 대학출판사, 1988.
  • 권영설, 〈한국헌법 50년의 발자취〉, 《헌법학연구》 제4집 1호, 1998, pp. 7~28.
  • 정만희, 〈한국헌법상 정부형태의 변천〉, 《헌법학연구》, 1997., pp. 199~223.
  • 최용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통성〉, 《헌법학연구》, 2006., pp. 9~34.

바깥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