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랑진읍: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141번째 줄: 141번째 줄:


[[분류:경상남도의 읍·면]]
[[분류:경상남도의 읍·면]]
[[분류:밀양시]]
[[분류:밀양시의 행정 구역]]
[[분류:삼랑진읍| ]]
[[분류:삼랑진읍| ]]
[[분류:1963년 설치]]
[[분류:1963년 설치]]

2011년 7월 14일 (목) 04:45 판

삼랑진읍
三浪津邑
로마자 표기Samnangjin-eup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경상남도 밀양시
행정 구역31개 , 110개
법정리13개
지리
면적78.37km2
인문
인구7,823명(2009년 7월말)
세대3,406세대
인구 밀도99.82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삼랑진읍사무소

삼랑진읍(三浪津邑)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밀양시의 동남부에 위치하여 밀양, 양산, 김해 등 세 지역이 접경을 이루며, 경부선경전선이 분기하는 철도교통의 요지이다. 밀양강(응천강)이 낙동강 본류에 흘러들어 세 갈래(三) 물결(浪)이 일렁이는 나루(津)라 하여 삼랑진(三浪津)이라 하였다. 예로부터 영남대로(嶺南大路)와 접속하는 수운의 요충지로 조선 후기 동안 낙동강의 가장 큰 포구(浦口) 중의 하나로 1765년(영조41년)에는 삼랑창(三浪倉, 후조창 後漕倉)이 설치되어 밀양, 현풍, 창녕, 영산, 김해, 양산 등 여섯 고을의 전세(田稅)와 대동미(大同米)를 수납, 운송하며 물자의 최대 집산처(集散處)로 성장하였으나, 육로교통의 발달로 조창이 없어지면서 읍의 중심이 삼랑리(낙동)에서 송지리로 이동하게 되었다. 1928년 이전까지는 자연,인문지명으로서의 삼랑진으로만 존재하였으나[1] [2] [3] [4] 1905년 송지에 삼랑진역이 들어서고 철도교통의 중심지로 번창하면서 공식 행정지명을 하동(下東)에서 삼랑진으로 개칭하였다. 종종 '삼진'으로 잘못 일컬어 지기도 하는데 '浪'의 음은 '량' 아닌 '랑'이므로 '삼진'이 옳은 표기다. 로마자 표기도 표준 발음법(음운 변화의 결과)에 따라 'Samrangjin'이 아니라 'Samnangjin' [5]으로 적어야 한다.

역사

  • 조선 중기 16세기 초 면방(面坊) 구역 정비시 밀양부의 동남쪽에 위치했다고 하여 하동면(下東面)이라 칭하였다.
  • 18세기 중엽 하동면을 하동초동면(下東初同面)과 하동이동면(下東二同面)으로 분리하였다.
  • 1894년(고종31년) 다시 하동면으로 통합되었다.
  •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시 현재와 같이 13개리를 법정리(法定里)로 삼았으며, 김해군 생림면 도요리 유도(柳島,버들섬)를 송지리에 편입하였다.
  • 1928년 4월 1일 하동면을 삼랑진면(三浪津面)으로 개칭하였다.[6]
  • 1963년 1월 1일 삼랑진면이 삼랑진읍(三浪津邑)으로 승격되었다.[7]
  • 1966년 7월 15일 임천,숭진,청학,용성리 등 옛 금음물부곡(今音勿部曲) 지역 동리의 주민 편의를 위하여 임천출장소를 설치하였다.[8]
  • 1976년 12월 7일 도시계획결정고시[9]
  • 1977년 4월 27일 도시계획지적고시 확정
  • 1995년 1월 1일 밀양시, 밀양군 통합으로 '도 · 농 복합형의 밀양시'(2읍 9면 6동)가 되었다. 밀양군 삼랑진읍 → 밀양시 삼랑진읍 [10]

지리

삼랑진읍은 밀양시의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 금오산(金烏山, 760.5m), 천태산(天台山, 630.9m) 자락이 신불암고개 아래 작원관지로 떨어지면서 양산시(梁山市) 원동면(院洞面)과 시계(市界)를 이루었고, 남쪽으로 낙동강(洛東江) 건너 김해시(金海市) 생림면(生林面)과 마주하고 있다. 서쪽으로 상남면(上南面)과 밀양강 하류를 사이에 두고 있으며, 북쪽으로 임천터널을 경계로 남포동(南浦洞)과, 만어산(萬魚山, 670.4m), 구천산(九天山, 620m) 줄기를 경계로 단장면(丹場面)과 접하고 있다.

하위 행정구역

법정리 행정리
송지리(松旨里) 내송(內松) 1, 내송(內松) 2, 외송(外松) 1, 외송(外松) 2, 신천(新泉), 죽곡(竹谷)
검세리(儉世里) 검세(儉世), 송원(松院)
안태리(安台里) 안태(安台), 동양(東養)
행곡리(杏谷里) 안촌(安村), 남촌(南村)
율동리(栗洞里) 무곡(茂谷), 율곡(栗谷)
우곡리(牛谷里) 우곡(牛谷), 염동(廉洞)
삼랑리(三浪里) 상부(上部), 하부(下部), 내부(內部), 하양(下洋), 거족(巨族)
미전리(美田里) 미촌(美村), 대신(大新)
용전리(龍田里) 용전(龍田)
임천리(林川里) 임천(林川), 금곡(金谷)
숭진리(崇眞里) 숭진(崇眞), 금호(琴湖)
청학리(靑鶴里) 청학(靑鶴)
용성리(龍星里) 청용(靑龍), 칠성(七星)

교통

철도

도로

삼랑진 나들목(삼랑진IC)이 송지사거리에서 1km 떨어진 미전리에 있다.

  • 일반국도 제58호 : 김해시 생림면 - 낙동강 삼랑진교 - 송지사거리 - 삼랑진IC - 임천(부산대 밀양캠퍼스) - 밀양역

※ 삼랑진 - 밀양 구간의 경우 대부분 58번 국도보다는 삼상교(삼랑진읍 미전리와 상남면 평촌리를 잇는 다리)를 거쳐 25번 국도를 이용하는 편이나, 58번 국도 고갯길은 아늑하여 기분전환 드라이브 코스로 괜찮다.

  • 지방도 제1022호선 : 송지사거리 - 지하도 - 삼랑진역 - 안태 - 양산시 원동면
  • 시외버스는 밀양, 김해행이 각 7회 운행되며(임천 경유 3회,평촌 경유 4회), 밀양행의 경우 농어촌버스도 5회 운행된다.
  • 시내버스는 부산대 밀양캠퍼스 - 밀양역 구간이 수시 운행된다.
  • 마을버스는 삼랑진역 전방 100m에 위치한 정류장에서 출발하며 행선지별로 안태(양수발전소)행과 우곡(만어사)행이 각 6회, 낙동(삼랑리)행과 용전행이 각 4회 운행된다. 일요일은 휴무이며 장날(4,9일)은 추가 1회 편성된다.
  • 자세한 버스 시간표는 밀양시청 홈페이지(생활경제-교통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색

2009년 현재 삼랑진 낙동강에는 국도58호 신·구 삼랑진교, 경전선 신·구 낙동철교, 대구부산고속도로 낙동대교 등 다섯 개의 다리가 놓여 있다.

가볼만한 곳

  • 삼랑진역 : 한국 최초의 근대 장편소설 <<무정>>(無情)의 배경이 된 곳으로[11], 2006년에는 영화 '마음이'가 촬영되기도 하였다.
    • 삼랑진역 급수탑 : 1923년 세워진 철도 급수탑으로 증기기관차가 운행되던 시절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2003년 1월 28일 등록문화재 제51호로 지정되었다.
    • 철도관사 : 1927년부터 1945년까지 18년에 걸쳐 조선총독부 철도국 표준설계도에 의해 역 왼편으로 동서 230m, 남북 260m 규모의 격자 주거지에 17동 34호가 건설되었다. [12]
  • 송지시장(삼랑진장) : 전통 5일장으로(4,9일) 삼랑진 우체국, 농협 앞에 열린다.
  • 만어사 : 영화 '청풍명월' , '그해 여름' 촬영지
  • 작원관  : 옛 영남대로 험애(險隘) 중의 하나인 작원잔로(鵲院棧路)[13]에 원(院), 관(關), 진(津)의 역할을 겸하여, 고려 고종 때에 설치하였다.특히 임진왜란 전적지로 알려져 있으며, 1995년 검세리 작원(鵲院,깐촌) 입구에 성문을 복원하였다. 작원관지(鵲院關址)의 원래 위치는 경부선 철길 따라 약 700m 내려간 지점이다.
  • 삼랑진발전본부 [14]
    • 양수발전소 : 4월이면 발전소 진입로에서 안태호, 천태호로 이어지는 벚꽃길이 펼쳐진다.[15]
    • 태양광발전소 : 양수발전소 하부댐 아래에 위치.[16]
  • 삼랑진철교
    • 옛 삼랑진교 : 낙동인도교. 별칭으로 '콰이강의 다리'라 불리며,영화 '똥개' 촬영지이기도 하다.
    • 낙동철교
  • 오순절 평화의마을
  • 김범우묘 : 한국 천주교 첫 희생자 김범우(金範禹, 토마스 1751~1787년)의 묘.
  • 숭진리 삼층석탑 : 보물 제468호[17]

특산물

  • 딸기 : 대한민국 딸기 시배지(최초 재배지)로 매년 3월말~4월경 '삼랑진 딸기 한마당 대축제'가 열린다.
  • 복숭아 : 송지리 죽곡마을에 복숭아밭이 많다.

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주석

  1. <備邊司印 方眼地圖> 1747년(영조23)~1750년(영조26) 편찬 추정
  2. <海東地圖> 1750년대 초 제작
  3. <廣輿圖> 1800년대 전반 제작
  4. <1872년 지방도 密陽府地圖>
  5. 국어의 로마자표기법 제1장 제1항, 제3장 제1항
  6. 조선총독부 경상남도령 제2호(제정 1928년 1월 28일)
  7. 법령 제1177호
  8. 밀양군조례 제103호
  9. 건설부고시제194호
  10.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제정 1994년 8월 3일 법률 4774호)
  11. <기차, 근대화의 힘과 불평등 상징> 주간동아 2007.10.23 607호(p94~95)
  12. <밀양ㆍ삼랑진읍에 있어서 철도관사의 형성과 변용> 대한건축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박중신·조성민·김태영
  13. 작천잔도(鵲遷棧道)라고도 하며 고대부터 교통상 국방상의 관방지(關防地)이다.
  14. 매일신문2008.03.04, 체험학습 - 삼랑진 양수발전소
  15. 부산일보 2007. 04.12, 시장따라 골목따라 - 봄길 따라 가는 소풍 # 삼랑진과 '딸기노점'
  16. 동아일보 2008.05.30 삼랑진에 국내 최대 용량 태양광발전소
  17.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적총람

같이 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