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래장 사상: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불교}}
{{불교}}


'''여래장 사상'''(如來藏思想)은 '''여래장'''(如來藏)에 대한 교의와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즉 '''진여연기'''(眞如緣起)의 교의를 근간으로 하는 [[대승 불교]] 중기 이후의 사상이다.<ref name="글로벌-중기 이후의 대승사상">[http://donation.enc.daum.net/wikidonation/ency.do?vol=025&code=001006002000000000#001006002004000000 "중기 이후의 대승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1년 1월 23일에 확인.</ref> 여래상 사상에서는 모든 중생은 본래부터 [[여래]]([[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 가능성을 여래장이라고 하였다.<ref name="글로벌-여래장사상">[http://donation.enc.daum.net/wikidonation/ency.do?vol=025&code=001006002000000000#001006002004006000 "여래장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1년 1월 23일에 확인.</ref> 여래장은 본질적으로 [[불성]](佛性) 또는 [[진여]](眞如)와 동일한 개념이다.
'''여래장 사상'''(如來藏思想)은 '''여래장'''(如來藏)에 대한 교의와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즉 '''진여연기'''(眞如緣起)의 교의를 근간으로 하는 [[대승 불교]] 중기 이후의 사상이다.<ref name="글로벌-중기 이후의 대승사상">[[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중기 이후의 대승사상|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중기 이후의 대승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여래상 사상에서는 모든 중생은 본래부터 [[여래]]([[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 가능성을 여래장이라고 하였다.<ref name="글로벌-여래장사상">[[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세계의 종교/불 교/불교의 사상#여래장사상|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중기 이후의 대승사상 > 여래장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여래장은 본질적으로 [[불성]](佛性) 또는 [[진여]](眞如)와 동일한 개념이다.


여래장 사상은 [[인도의 불교|인도]]에선 [[유식설]]보다 먼저 성립되어 [[대승 불교]]의 이대 조류인 [[중관파]](中觀派)나 [[유식파]](唯識派)의 사상과는 다른 계통을 이루었으며, 《[[능가경]](楞伽經)》{{.c}}《[[밀엄경]](密嚴經)》{{.c}}《[[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 대성되었다.<ref name="글로벌-여래장사상"/>
여래장 사상은 [[인도의 불교|인도]]에선 [[유식설]]보다 먼저 성립되어 [[대승 불교]]의 이대 조류인 [[중관파]](中觀派)나 [[유식파]](唯識派)의 사상과는 다른 계통을 이루었으며, 《[[능가경]](楞伽經)》{{.c}}《[[밀엄경]](密嚴經)》{{.c}}《[[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 대성되었다.<ref name="글로벌-여래장사상"/>
26번째 줄: 26번째 줄:
* [[유가행파|유식파{{.cw}}유가행파]]
* [[유가행파|유식파{{.cw}}유가행파]]
* [[대승기신론]]
* [[대승기신론]]

== 참고 문헌 ==
* {{글로벌|제목=여래장사상|주소=http://donation.enc.daum.net/wikidonation/ency.do?vol=025&code=001006002000000000#001006002004006000|분류=불교}}


== 주석 ==
== 주석 ==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 문헌 ==
* {{글로벌|분류=불교}}


{{불교 둘러보기}}
{{불교 둘러보기}}

2011년 4월 7일 (목) 03:36 판

여래장 사상(如來藏思想)은 여래장(如來藏)에 대한 교의와 여래장연기(如來藏緣起), 즉 진여연기(眞如緣起)의 교의를 근간으로 하는 대승 불교 중기 이후의 사상이다.[1] 여래상 사상에서는 모든 중생은 본래부터 여래(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으며, 이 가능성을 여래장이라고 하였다.[2] 여래장은 본질적으로 불성(佛性) 또는 진여(眞如)와 동일한 개념이다.

여래장 사상은 인도에선 유식설보다 먼저 성립되어 대승 불교의 이대 조류인 중관파(中觀派)나 유식파(唯識派)의 사상과는 다른 계통을 이루었으며, 《능가경(楞伽經)》·밀엄경(密嚴經)》·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 대성되었다.[2]

여래장과 여래장연기

여래장(如來藏)은 산스크리트어 타타가타가르바(Tathāgatagarbha)을 뜻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여래태(如來胎)라고 하기도 한다.[2] "여래"(타타가타 · Tathāgata)는 부처를 의미하고 "장" 또는 "태"(가르바 · Garbha)는 모태와 태아 둘 다를 뜻한다.[2] 따라서 여래장은 "그 태내에 부처를 잉태하고 있는 것"과 "성장해서 부처가 될 태아"라는 두 가지 뜻을 담고 있다.[2] 달리 말하면, 여래장은 인간이 본래부터 가지고 태어나는,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일컫는 말이다.[2]

여래장 사상에서는, 깨치지 못한 상태의 사람("범부 · 凡夫")의 마음은 비록 현실적으로는 미혹(迷惑)과 더러움에 뒤덮여 있지만 그 본성은 청정하며("자성청정심 · 自性淸淨心"), 수행에 의해 그 청정한 본성을 전부 나타낼 수 있으며, 그 청정한 본성을 전부 나타내게 된 상태가 여래라고 주장한다.[2] 인간의 미혹과 깨달음, 일상심(日常心)과 여래장의 관계에 대해 이와 같은 주장을 하고 논지를 편 불교 이론 또는 교의가 여래장연기설(如來藏緣起說)이다.[2] 여래장은 본질적으로 불성(佛性) 또는 진여(眞如)와 동일한 개념이다.

여래장 사상의 성립과 발전

여래장 사상은 인도에선 유식설보다 먼저 성립되어 중관파(中觀派)나 유식파(唯識派)의 사상과는 다른 계통을 이루었다.[2]승만경(勝鬘經)》을 비롯하여 《여래장경(如來藏經)》·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세친(世親: c.320-400, 인도)의 《불성론(佛性論)》·섭대승론석론(攝大乘論釋論)》, 견혜(堅慧: 4-5세기, 인도)의 《대승법계무차별론(大乘法界無差別論)》·구경일승보성론(究竟一乘寶性論)》 등의 제2기 대승경전에서 여래장 사상이 조직적으로 기술되었다.[2] 그러나 아직 이 시대에는 아뢰야식과 여래장의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한 논설이 없었다.[2]

그러다가 제3기 대승경전인《능가경(楞伽經)》·밀엄경(密嚴經)》·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등에서 아뢰야식과 여래장과의 조화가 이루어져 여래장연기설이 대성되었다.[2] 유식설에서는 아뢰야식이란 미혹의 근거이며 깨달음의 능력은 없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대승기신론》에서는 아뢰야식에는 미혹(不覺)과 깨달음(覺)의 두 성질이 있다고 보고 어째서 미혹의 현실이 성립되는가 또는 어떻게 하면 오도(悟道)로 향할 수가 있는가를 유전문(流轉門)과 환멸문(還滅門)에 의거하여 역설하고, 미오(迷悟)는 둘이며 동시에 둘이 아니라는(不二) 것을 주장하였다. [2]

함께 보기

주석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