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로 운동: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ienic (토론 | 기여)
Sienic (토론 | 기여)
20번째 줄: 20번째 줄:
[[자의국]]에서도 호남순무 [[양문정]]에게 명령을 철회하도록 청조에 상주하라고 요구하여 [[양문정]]도 사태의 심각성을 감지하고 청조에 이를 상주하였다. 그런데 [[양문정]]은 중앙으로부터 오히려 질책만 받았다. 이 소식이 전파되자 군중은 더욱 격분하여 [[보로운동]]이 확산되었다. [[호남 성]]에 이어 [[호북 성]]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나 시위의 규모는 더욱 늘어갔다. '의창'(宜昌)에서 [[만현]](萬縣)까지 이미 [[철도]]공사가 시작되었는데 청조는 공사를 강제로 중지시켜 공사장의 노동자와 상인들이 모여 이를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그러자 청조에서는 군대까지 동원하여 이를 강경진압하였다.<ref name="보로운동"/>
[[자의국]]에서도 호남순무 [[양문정]]에게 명령을 철회하도록 청조에 상주하라고 요구하여 [[양문정]]도 사태의 심각성을 감지하고 청조에 이를 상주하였다. 그런데 [[양문정]]은 중앙으로부터 오히려 질책만 받았다. 이 소식이 전파되자 군중은 더욱 격분하여 [[보로운동]]이 확산되었다. [[호남 성]]에 이어 [[호북 성]]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나 시위의 규모는 더욱 늘어갔다. '의창'(宜昌)에서 [[만현]](萬縣)까지 이미 [[철도]]공사가 시작되었는데 청조는 공사를 강제로 중지시켜 공사장의 노동자와 상인들이 모여 이를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그러자 청조에서는 군대까지 동원하여 이를 강경진압하였다.<ref name="보로운동"/>


또한 [[무한]]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낫는데, [[무한]]의 혁명당들도 긴밀히 연락하여 '대강보'(大江報)에 청조의 매국행위를 폭로하는 글을 연재하여 청조에 대하여 갖고 있는 기대와 환상을 버리도록 [[무한]]지역 군중들에게 호소했다. 그리하여 [[보로운동]]을 '반청운동'으로 결합시켜 [[혁명]]으로 이끌어 나가려고 하였다. 청조는 즉각 대강보를 폐간시키고 관련자들을 체포하였다. 이에 청조의 만행을 규탄하고 대강보를 지지하는 성원으ㅢ 편지, 위문 전보, 항의문이 사옥의 벽마다 붙여져 [[무한]]의 보로운동은 뒤이어 [[무창봉기]]를 촉발시킨 도화선이 되었다.<ref name="보로운동"/>
또한 [[무한]]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낫는데, [[무한]]의 혁명당들도 긴밀히 연락하여 '대강보'(大江報)에 청조의 매국행위를 폭로하는 글을 연재하여 청조에 대하여 갖고 있는 기대와 환상을 버리도록 [[무한]]지역 군중들에게 호소했다. 그리하여 [[보로운동]]을 '반청운동'으로 결합시켜 [[혁명]]으로 이끌어 나가려고 하였다. 청조는 즉각 대강보를 폐간시키고 관련자들을 체포하였다. 이에 청조의 만행을 규탄하고 대강보를 지지하는 성원의 편지, 위문 전보, 항의문이 사옥의 벽마다 붙여져 [[무한]]의 보로운동은 뒤이어 [[무창봉기]]를 촉발시킨 도화선이 되었다.<ref name="보로운동"/>


[[양광]]지역은 당시 양광총독 [[장명기]]가 위압적인 태도를 취하였으나 [[광둥 성]]의 월한선 주식소유자가 만인대회를 개최하여 청조의 [[국유화]] 정책에 반대하였다. 해외의 [[화교]]들도 이 소식을 듣고 전보를 보내 보로 운동을 격려하였다. 이에 [[장명기]]는 주주들을 위협하고 또한 [[언론]]에 일체의 보로운동 소식을 게재하지 못하게 하여 이를 막으려 하였다.<ref name="보로운동"/>
[[양광]]지역은 당시 양광총독 [[장명기]]가 위압적인 태도를 취하였으나 [[광둥 성]]의 월한선 주식소유자가 만인대회를 개최하여 청조의 [[국유화]] 정책에 반대하였다. 해외의 [[화교]]들도 이 소식을 듣고 전보를 보내 보로 운동을 격려하였다. 이에 [[장명기]]는 주주들을 위협하고 또한 [[언론]]에 일체의 보로운동 소식을 게재하지 못하게 하여 이를 막으려 하였다.<ref name="보로운동"/>

2011년 3월 17일 (목) 22:52 판

보로운동(保路運動)은 청일전쟁 후 열강에 빼앗긴 이권을 되찾기 위해 민간에서 주도하여 철도를 부설하였으나 당시 국가 재정이 어려워 지면서 청나라 조정은 철도를 국유화하여 이를 담보로 외국으로부터 차관을 도입하려 하자 쓰촨지역을 중심으로 철도를 지키자는 운동을 전개한것을 말한다.

이를 기점으로 신해혁명이 일어난다.

개요

철도부설과 청조의 국유화 정책

청조 황족 고위 내각관료들.(중앙에 경친왕 혁광.) 이들 내각은 '철도국유화'를 추진해 민심으로부터 불만을 사게 만들었다.

중국은 1905년이래 이권회수운동에 의하여 광산채굴권과 철도부설권이 외국으로부터 상당부분 회수되었다. 그리고 철도를 중국인 스스로 건설하기로 하여 호북 성, 호남 성, 광둥 성, 쓰촨 성의 신상(紳商)들은 회사를 설립하고 주식을 모았다. 그러나 기대하였던 만큼 자금이 모아지지 않아 공사는 순조롭지 못하였다.[1]

여기에 각 지역의 신상들 의견이 일치되지 못하여 일을 처리하기가 어려웠고 또한 사리사욕을 꾀하고 있어 철도공사는 자꾸 늦어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청나라 조정은 호남 성,호북 성안의 천한,월한선 철도를 건설하기 위해 영국,프랑스,독일의 은행단과 550만 파운드를 빌리는 차관협정을 체결하기로 하였다. 그런데 여기에 미국이 가입하여 결국 4국 은행단이 각각 4분의 1씩 내기로 하고, 1910년 5월에 '철도협정'을 체결하였다.[1]

1911년 5월 청조는 '신정'(新政)의 일환으로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고 13명의 각료를 임명했는데, 문제는 13명의 각료 중 한족출신은 4명뿐이고 나머지 9명은 만주족이었으며 그 9명 중 6명은 황족이었기 때문에 개혁의 기대를 완전히 저버린 인사였다. 여기에 더 큰 문제는 이 새로운 내각이 가장먼저 의결한 사항이 '철도국유화'였다.[2] 당시 철도건설이 계획했던것보다 늦어지자 청나라 중앙 조정의 관리들은 '외국으로부터 차관을 해서라도 철도를 하루속히 부설하자.'는 주장을 폈다. 청조는 우정부대신 성선회(盛宣懷)의 건의에 의하여 철도국유화의 상유를 발표하였으며 청나라 관료 단방(端方)을 천한,월한선 철도건설 대신으로 임명하였다. 성선회는 우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영국,프랑스,독일,미국 4국 은행단과 600만 파운드를 연리 5%, 40년에 상환하기로 하고 4성의 이금과 염세를 담보로 차관하였다.[1]

그리고 이미 불입한 천한, 월한선의 주식에 대하여 보상방법을 발표하였는데, 월한선은 불입액의 60%를 상환하고 나머지 40%를 국가에서 무이자의 주식을 주어 철도 완공 후 영업에 들어가 이익이 나면 10년에 분할 상환하기로 하였다. 쓰촨 성의 철도는 주식의 불입이 비교적 많아 현금으로 상환하지 않고 국가가 이익을 보증하는 주식으로 주고, 5년 후부터 15년에 걸쳐 나누어 상환하기로 하였다.[1]

보로운동

청조의 철도국유화 정책은 민중들로부터 즉시 불만을 초래했다. 우선 내각이 의회에 아무런 상의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하고 통보한 사항이었고 정부가 약속한 민주적인 절차를 완전히 무시한점과 만주족이 독점한 내각에서 외국 자본을 끌어들이려 했다는 것은 중국 민족주의 정서를 크게 거스르는 결정이었으며 이미 투자한 민간인들의 이권을 박탈하는 조처로 입헌파,혁명파,온건파 할것없이 민중들로부터 커다란 불만을 사게 만들었다.[3] 그리고 이어 '철도국유화'가 해당되는 지역에서 민중들은 보로운동을 일으켰다. 국유화 발표이후 호남 성에서 제일먼저 일어나 '청조가 주권을 팔아먹는다'고 항의하여 장사(長沙)에서 1만여명이 참가한 각 계의 모임을 소집하고 '국유화 명령을 철회하라'고 요구하였다. 또한 조세에 항거하여 '청조에 대항하자'며 상인의 철시와 학생의 동맹휴학이 일어났다.[4]

자의국에서도 호남순무 양문정에게 명령을 철회하도록 청조에 상주하라고 요구하여 양문정도 사태의 심각성을 감지하고 청조에 이를 상주하였다. 그런데 양문정은 중앙으로부터 오히려 질책만 받았다. 이 소식이 전파되자 군중은 더욱 격분하여 보로운동이 확산되었다. 호남 성에 이어 호북 성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나 시위의 규모는 더욱 늘어갔다. '의창'(宜昌)에서 만현(萬縣)까지 이미 철도공사가 시작되었는데 청조는 공사를 강제로 중지시켜 공사장의 노동자와 상인들이 모여 이를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그러자 청조에서는 군대까지 동원하여 이를 강경진압하였다.[4]

또한 무한에서도 보로운동이 일어낫는데, 무한의 혁명당들도 긴밀히 연락하여 '대강보'(大江報)에 청조의 매국행위를 폭로하는 글을 연재하여 청조에 대하여 갖고 있는 기대와 환상을 버리도록 무한지역 군중들에게 호소했다. 그리하여 보로운동을 '반청운동'으로 결합시켜 혁명으로 이끌어 나가려고 하였다. 청조는 즉각 대강보를 폐간시키고 관련자들을 체포하였다. 이에 청조의 만행을 규탄하고 대강보를 지지하는 성원의 편지, 위문 전보, 항의문이 사옥의 벽마다 붙여져 무한의 보로운동은 뒤이어 무창봉기를 촉발시킨 도화선이 되었다.[4]

양광지역은 당시 양광총독 장명기가 위압적인 태도를 취하였으나 광둥 성의 월한선 주식소유자가 만인대회를 개최하여 청조의 국유화 정책에 반대하였다. 해외의 화교들도 이 소식을 듣고 전보를 보내 보로 운동을 격려하였다. 이에 장명기는 주주들을 위협하고 또한 언론에 일체의 보로운동 소식을 게재하지 못하게 하여 이를 막으려 하였다.[4]

주석

  1. 《근대중국:개혁과 혁명-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下)》,신승하 저. 대명출판사. p517~p519
  2. 먼나라이웃나라
  3. 먼나라 이웃나라
  4. 《근대중국:개혁과 혁명-중화제국 마지막 왕조의 몰락(下)》,신승하 저. 대명출판사. p520~p521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