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sfdfdf (토론 | 기여)
Ssfdfdf (토론 | 기여)
92번째 줄: 92번째 줄:


== 축하 의식 ==
== 축하 의식 ==
사람이 생일을 맞으면 대개 [[가족]] 또는 [[친구]]들이 생일을 축하해주며 생일 [[케이크]] 및 여러 음식을 준비해 생일잔치를 열기도 한다. 생일 케이크의 경우 초 수는 그 사람의 나이 수대로 꽂는데, 나이가 10살 이상이 되면 긴 초를 10년 (-0세일 경우 긴 초만 꽂는다.)으로 계산하고 짧은 초를 1년으로 계산해 꽂는다. 사람들의 생일축하노래가 끝나면 생일을 맞는 이가 촛불을 끈다. 그리고 식사 등을 하거나 여러가지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최근에는 [[풍선]], 'HAPPY BIRTHDAY'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장식하기도 한다.)
사람이 생일을 맞으면 대개 [[가족]] 또는 [[친구]]들이 생일을 축하해주며 생일 [[케이크]] 및 여러 음식을 준비해 생일잔치를 열기도 한다. (극히 드물게 생일자가 예복을 입기도 한다.) 생일 케이크의 경우 초 수는 그 사람의 나이 수대로 꽂는데, 나이가 10살 이상이 되면 긴 초를 10년 (-0세일 경우 긴 초만 꽂는다.)으로 계산하고 짧은 초를 1년으로 계산해 꽂는다. 사람들의 생일축하노래가 끝나면 생일을 맞는 이가 촛불을 끈다. 그리고 식사 등을 하거나 여러가지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최근에는 [[풍선]], 'HAPPY BIRTHDAY'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장식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유치원에서는 생일잔치 때 한복을 입기도 한다.


== 대한민국과 일본의 생일 기념 의식 ==
== 대한민국과 일본의 생일 기념 의식 ==

2010년 7월 26일 (월) 14:10 판

생일 케이크.

생일(生日, 조선말: 난날)은 사람이 태어난 기념일을 뜻한다. 때로는 사람이 아닌 것이 다른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날을 축하하기도 기념일이기도 하다.

사람이 태어난 뒤 만 1세에 처음 맞는 생일은 첫돌, 만 60세된 생일을 환갑이라고 부르는 등 생일에도 이름이 있다. 나이에 따른 이름이 아래 정리되어 있다. 여기서 나이는 보통 만 나이로 따지지 않고 한국 나이, 즉 연 나이로 따진다. 생일이나 생일이 지난 다음에 죽은 사람들도 있다. 고대 그리스의 학생들은 생일을 맞으면 결석할 수 있었다. 왕국에서는 의 생일을 공휴일로 지정하기도 한다. (한 예로, 일본에서는 메이지 덴노, 쇼와 덴노, 아키히토 덴노의 생일이 공휴일이다.)

생일과 민족

그런데 모든 민족이 생일 기념 행사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사실상 나이지리아, 카메룬, 케냐,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중·남부 (일명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아프리카)·북아메리카 일부 원주민 부족들은 계산은 사악이고, 더구나 시간은 계산할 수 없는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연령을 구분하는 세대 집단은 있으나 연령의 계산이나 생일 기념행사를 하지 않는다. 시리아미얀마 등에서는 주 또는 달마다 생일을 축하하였고, 기독교의 순교자는 순교일이 생일로 축복을 받는다. 오늘날과 같은 생일파티의 형식은 유럽에서 시작하였다. 이슬람교 창시 이후 아랍인들은 그들의 계율 (사움)에 따라 라마단에는 생일잔치를 하지 않는다.

나이에 따른 이름

파과지년은 영어로 Sweet Sixteen (스윗 식스틴)으로 불린다.

나이(한국 나이 이름 성별 유래
15살 지학 남성 ‘吾十有五而志於學’(논어
16살 파과지년(破瓜之年) 여성 과(瓜) 자를 풀면 팔(八)이 두 개이므로 더하면 16이 되기 때문. 줄여서 파과라고도 함.
20살 약관 남성 ‘二十曰弱冠’[1]예기
30살 이립 남성 ‘三十而立’(논어)
40살 불혹 남성 ‘四十而不惑’(논어)
강사 (强仕) 남성 ‘四十曰強,而仕’, 나이 마흔에 처음으로 벼슬을 하게 된다는 뜻, 예기 곡례편(曲禮篇)
초로 공통
48살 상년 (桑年) 공통 상(桑) 자의 속자를 풀면 십(十) 자가 넷이고 팔(八) 자가 하나이기 때문
50살 지천명 남성 ‘五十而知天命’(논어)
애년 (艾年) 공통 ‘五十曰艾’ 머리털이 약쑥같이 희어진다는 뜻 (예기)
장가 (杖家) 공통 집 안에서 지팡이를 짚을 만한 나이
60살 육순 공통
이순 남성 ‘六十而耳順’(논어)
장향 공통 중국 주나라 때에, 노인이 60세 되던 해부터 고향에서 지팡이 짚는 것을 허락했던 데서 유래 (예기)
하수 (下壽) 공통
61살 환갑, 회갑 공통 간지가 60년마다 한바퀴 돌기 때문
화갑 (華甲) 공통 화(華)자를 풀면 십(十) 자 여섯 개와 일(一) 자 하나로 되기 때문
62살 진갑 (進甲) 공통
64살 파과지년(破瓜之年) 남성 과(瓜) 자를 풀면 팔(八)이 두 개이므로 곱하면 64가 되기 때문. 줄여서 파과라고도 함.
66살 미수 (美壽) 공통 미(美) 자를 풀면 육십육(六十六)이 되기 때문
70살 칠순 공통  
고희 공통 ‘人生七十古来稀’(두보의 시 《곡강(曲江)》)
종심 남성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논어)
희수 (稀壽) 공통
77살 희수 (喜壽) 공통 희(喜) 자의 초서체를 풀면 칠십칠(七十七)이 되기 때문
80살 팔순 공통  
산수 (傘壽) 공통 산(傘) 자의 약자를 풀면 팔십(八十)이 되기 때문
중수 (中壽) 공통 (중수는 80살 또는 100살을 뜻한다)
88살 미수米壽 공통 미(米) 자를 풀면 팔십팔(八十八)이 되기 때문
90살 구순 공통  
졸수 (卒壽) 공통 졸(卒) 자의 초서체를 풀면 구십(九十)이 되기 때문
91살 망백 공통 백 살을 바라본다는 뜻
99살 백수 (白壽) 공통 백(百) 자에서 일(一)을 빼면 백(白)이 되기 때문
100살 백수 (百壽) 공통
중수 (中壽) 공통 (중수는 80살 또는 100살을 뜻한다)
100살 이상 상수 (上壽) 공통  
120살 상수 (上壽) 공통 춘추좌씨전

축하 의식

사람이 생일을 맞으면 대개 가족 또는 친구들이 생일을 축하해주며 생일 케이크 및 여러 음식을 준비해 생일잔치를 열기도 한다. (극히 드물게 생일자가 예복을 입기도 한다.) 생일 케이크의 경우 초 수는 그 사람의 나이 수대로 꽂는데, 나이가 10살 이상이 되면 긴 초를 10년 (-0세일 경우 긴 초만 꽂는다.)으로 계산하고 짧은 초를 1년으로 계산해 꽂는다. 사람들의 생일축하노래가 끝나면 생일을 맞는 이가 촛불을 끈다. 그리고 식사 등을 하거나 여러가지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낸다.(최근에는 풍선, 'HAPPY BIRTHDAY'라고 적힌 플래카드를 장식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유치원에서는 생일잔치 때 한복을 입기도 한다.

대한민국과 일본의 생일 기념 의식

대한민국에서는 생일에 미역국이나 케이크를 먹지만, 일본에서는 주로 케이크를 먹는다. 단, 대한민국에서도 생일이 시험 전이나 시험 기간 (중학생 A의 생일은 7월 4일이지만, A가 다니는 중학교에서는 그 날이 기말고사 두 번째 날이다.) 중 (시험에서 떨어지거나 (예:수능, 군인 계급 진급 시험, 운전 면허 시험 등) 낮은 성적 (예:가 (可)나 양 (良)의 성적)을 받지 않기 위해서 (예:중학교의 중간고사, 기말고사 등)이다.)이면 미역국은 먹지 않는다. (미역 알레르기에 걸린 사람의 생일에도 미역국을 먹지 않는다.) 그리고 한국은 양력, 음력 양쪽 모두 쇠는데 일본은 양력으로만 생일을 쇤다. 어떤 생일에 입는 특수한 예복도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남녀를 불문하고 한복을 착용하나 일본은 남자는 유카타, 여자는 일반적인 기모노를 예복으로 착용한다. 한국에서는 생일이 설날, 추석과 겹치면 생일자는 한복을 입는다.

생일을 기념하는 상징물

같이 보기

주석

  1. 남성의 연령이 스무살 전후로 성인이 되었음을 이르는 말이 약관(弱冠)이다. 이 약관이라는 말은 예기(禮記) 곡례편(曲禮編)에서 유래된 말로서 '20세에 갓을 쓰는 어른이 되지만 아직은 약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나이 20세에 몸은 다 자랐을지 몰라도 마음은 아직 약하고 성숙되지 못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