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식세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oncept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Concept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간단히 말해 박테리아가 침입할 때 호중구와 같이 상처가 있는 조직을 마음대로 돌아다니며 박테리아를 잡아먹는 착한 세포이자 호중구와 달리 수명이 매우 길어 감염 부위에서 증식하여 호중구의 수명이 짧은 것을 보완함. 다음 침입에도 대비하기 위헤 기억 세포에 전달도 함.
간단히 말해 박테리아가 침입할 때 호중구와 같이 상처가 있는 조직을 마음대로 돌아다니며 박테리아를 잡아먹는 착한 세포이자 호중구와 달리 수명이 매우 길어 감염 부위에서 증식하여 호중구의 수명이 짧은 것을 보완함. 다음 침입에도 대비하기 위헤 기억 세포에 전달도 함.
또한 대식세포는 모든 조직에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피부의 [[랑게르한스 세포]], 폐의 [[폐포 매크로파지]], 간에서는 [[쿠퍼세포]]가 대표적으로 대식세포가 가장 많은 곳은 폐로 폐에 총 350억 개의 대식세포가 존재함.
또한 대식세포는 모든 조직에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피부의 [[랑게르한스 세포]], 폐의 [[폐포 매크로파지]], 간에서는 [[쿠퍼세포]]가 대표적으로 대식세포가 가장 많은 곳은 폐로 폐에 총 350억 개의 대식세포가 존재함.
하지만 대식세포 역시 헬퍼 T세포와 같이 CD4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HIV의 표적이 되어 오히려 아지트가 되며 단핵구 역시 CD4단백질이 있음. 대식세포가 HIV에 감염되면 식균작용, 항원제시능력 등이 저하되며 결국 바이러스성 괴사하거나 [[NK세포]] 등 다른 면역세포에게 죽음.
하지만 대식세포 역시 헬퍼 T세포와 같이 CD4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HIV의 표적이 되어 오히려 아지트가 되며 대식세포의 전 단계인 단핵구 역시 CD4단백질이 있어 [[HIV]]에 감염됨. 대식세포가 HIV에 감염되면 식균작용, 항원제시능력 등이 저하되며 결국 바이러스성 괴사하거나 [[NK세포]] 등 다른 면역세포에게 죽음.

2010년 3월 18일 (목) 23:25 판

세포성 면역에 관여하는 면역 세포의 한 종류(백혈구의 한 종류). 항원의 침입시 혈액중의 단백구가 혈관 밖으로 나가면서 분화됨. 항원의 침입시 혈액 침입 세균을 식작용을 통해 소화하며 T-세포(T-림프구)에게 항원을 제시하여 항원 수용체를 갖도록 한다. 간단히 말해 박테리아가 침입할 때 호중구와 같이 상처가 있는 조직을 마음대로 돌아다니며 박테리아를 잡아먹는 착한 세포이자 호중구와 달리 수명이 매우 길어 감염 부위에서 증식하여 호중구의 수명이 짧은 것을 보완함. 다음 침입에도 대비하기 위헤 기억 세포에 전달도 함. 또한 대식세포는 모든 조직에 존재하는데 대표적으로 피부의 랑게르한스 세포, 폐의 폐포 매크로파지, 간에서는 쿠퍼세포가 대표적으로 대식세포가 가장 많은 곳은 폐로 폐에 총 350억 개의 대식세포가 존재함. 하지만 대식세포 역시 헬퍼 T세포와 같이 CD4 단백질을 가지고 있어 HIV의 표적이 되어 오히려 아지트가 되며 대식세포의 전 단계인 단핵구 역시 CD4단백질이 있어 HIV에 감염됨. 대식세포가 HIV에 감염되면 식균작용, 항원제시능력 등이 저하되며 결국 바이러스성 괴사하거나 NK세포 등 다른 면역세포에게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