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석헌: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00범 (토론 | 기여)
그림자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21번째 줄:
|웹사이트= http://ssialsori.net/
|웹사이트= http://ssialsori.net/
}}
}}
'''함석헌''' (咸錫憲, [[1901년]] [[3월 13일]] ~ [[1989년]] [[2월 4일]])은 [[대한민국]]의 [[종교인]]으로, 비폭력 인권 운동을 전개한 [[민권운동가]]이자 [[재야운동가]], [[문필가]]이다. 그의 [[종교]]는 [[개신교]] 종파인 [[퀘이커]]이다.
'''함석헌''' (咸錫憲, [[1901년]] [[3월 13일]] ~ [[1989년]] [[2월 4일]], [[평북]] [[용천]] 출생)은 [[대한민국]]의 [[종교인]]으로, 비폭력 인권 운동을 전개한 [[민권운동가]]이자 [[재야운동가]], [[문필가]]이다. 그의 [[종교]]는 [[개신교]] 종파인 [[퀘이커]]이다.


== 생애 ==
== 생애 ==

2010년 2월 28일 (일) 23:16 판

함석헌
파일:Ham-Seok-heon potrait.jpg
함석헌
출생1901년 3월 13일(1901-03-13)
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평안북도 용천군
사망1989년 2월 4일(1989-02-04)(87세)
서울대학교 병원
사인노환
성별남성
국적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학력덕일소학교, 양시공립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 오산학교, 동경고등사범학교
직업사회운동가, 언론인, 종교인
종교기독교 (종교친우회, 퀘이커)
부모함형택 / 김형도
배우자황득순
자녀국용(장남),은수(장녀),은삼(2녀)
은자(3녀), 우용(차남), 은화(4녀)
은선(5녀)
친척형제 석혜, 석란, 석창, 석보
웹사이트http://ssialsori.net/

함석헌 (咸錫憲, 1901년 3월 13일 ~ 1989년 2월 4일, 평북 용천 출생)은 대한민국종교인으로, 비폭력 인권 운동을 전개한 민권운동가이자 재야운동가, 문필가이다. 그의 종교개신교 종파인 퀘이커이다.

생애

생애 초기

1901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출생했다. 1917년에 황득순과 결혼하고, 1919년 평양 고등보통학교 3학년에 재학 중에 숭실학교 교사로 있었던 함석은 등의 영향으로 3.1운동에 참가한 후, 3.1운동에 대한 반성문을 쓰면 복학시켜준다는 일본인 교장의 제의를 거부하고 퇴학되어 2년간 학업을 중단한다. 이 시기에 함석헌은 수리조합 사무원과 소학교 선생 등을 하게 된다.

청소년기

1921년 함석규 목사의 권유로 평안북도 정주에 있는 오산학교 3학년에 편입하여 수학했으며, 그곳에서 김교신,류영모를 만나 평생 스승으로 삼았다. 1923년 오산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 일본 동경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하여, 우치무라 간조의 성서집회에 참가하여 그의 무교회주의를 접했다. 1928년 졸업과 동시에 귀국하여 오산학교에서 역사와 수신을 가르쳤다. 1934~5년에 동인지 성서조선에서 그의 주저인 '성서적 입장에서 본 조선역사(뜻으로 본 한국역사)'를 연재한다. 1940년 계우회사건으로 일본당국에 의해 투옥되어 평양 대동경찰서에서 1년간 구치되었다.[1]

성서조선 창간호 멤버. 뒷줄 오른쪽이 함석헌.

1942년 5월 성서조선((聖書朝鮮) 제 158호(폐간호)에 실린, 김교신의 조와(弔蛙)라는 우화로 관련자들이 모두 투옥되는 성서조선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성서조선은 폐간되고, 함석헌은 서대문형무소에 미결수로 1943년 4월 1일까지 1년간 복역하였다.(수형번호1588번)

1945년 혈맹의 친구였던, 김교신선생이 흥남에서 장티푸스로 별세하고, 그 해 해방을 맞이한다. 해방이 되자 그는 해방이 도둑같이(아무도 모르게) 왔다고 평하였다.[2][3]

광복 이후 활동

정부 수립 이후

해방 후에는 반공시위인 신의주 학생시위의 배후로 지목되어 북한 당국에 의해 투옥되었다가 1950년 전쟁이 발발하자 부산으로 월남하였다. 이후 종교적 강연 활동을 하다 1956년부터 《사상계》를 통해 논객으로 활약하였다.

이승만 정권 즉,자유당 독재정권 시절부터 반독재 야당 운동에 참여하여 이후 10월 유신 이후 민주화 운동에 앞장서서 수차례 투옥되었다. 1970년에는 진보적 평론지 《씨알의 소리》를 창간하였으나 11월 24일 YWCA 위장 결혼식 사건에 연루되어 윤보선과 함께 재판정에 섰다. 1980년 1월 25일 수경사 보통군법회의의 최종상고심에서 윤보선은 징역 2년, 함석헌은 징역 1년을 선고받았으나 후에 복권되었다. 1980년 신군부전두환 독재정권의 탄압에 의해 씨알의 소리는 강제 폐간되었다.

생애 후반

제5공화국을 거치면서도 민주화운동을 계속하다가 1984년에는 민주통일국민회의 고문을 지냈다. 1985년 민주쟁취국민운동본부 고문이 되었다.

그는 두 차례 노벨 평화상 후보자로 선정되었으며, 성서뿐만 아니라 동서양의 각 고전를 섭렵하여 자신의 사상으로 소화하여, 씨알사상이라는 비폭력, 민주, 평화 이념을 제창하였다. 비폭력주의 신조로 말미암아 “한국의 간디”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사회 평론뿐만 아니라 《도덕경》 등의 각종 동양 고전 주해도 행하였고, 그리고 시를 창작하기도 했다. 1989년 서울대병원에서 별세하였다.

사후

2002년 건국포장 수상 이후 묘소가 대전 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

일본 유학 시절 우치무라 간조의 제자였던 함석헌은 김교신, 송두용 등과 함께 초창기 한국 무교회주의 기독교 운동을 하였고, 퀘이커 모임(1961년1967년)을 계기로 퀘이커 신자가 되었다.[4] 상훈으로 1987년 제1회 인촌상과 2002년 건국포장을 받았다.

일대기로《내가 본 함석헌》,《함석헌 평전》이 있다.

저서

뜻으로 본 한국역사 - 한길사, 2003. 수평선 너머 - 한길사, 2009. <함석헌 저작집> - 한길사, 2009.

번역

간디 자서전 - 간디, 한길사, 2009. 예언자 - 칼릴 지브란, 한길사, 2009. 바가바드 기타 - 한길사, 2009.

외부 연결고리

갤러리

주석

  1. 함석헌 기념사업회. “함석헌 선생의 생애”. 함석헌 기념사업회. 2008년 11월 13일에 확인함. 
  2.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1940년대편 2권〉 (인물과사상사, 2004) 137쪽
  3. 함석헌, 《뜻으로 본 한국역사》(한길사, 2003) 394쪽
  4. 나는 어떻게 퀘이커가 되었나-함석헌 선생의 수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