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리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ambdaCorp (토론 | 기여)
Leeydyd(토론)의 4639050판 편집을 되돌림
LambdaCorp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내용 ==
== 내용 ==

이 책의 내용은 대체로 전반의 〈팔도총론(八道總論)〉과 후반의 〈복거총론(卜居總論)〉의 2편으로 나누어진다. 〈팔도총론〉에는 조선 전토를 팔도로 나누어 그 지방의 지역성을 출신 인물과 결부시켜 밝혔고, 〈복거총론〉에는 살 만한 곳을 입지조건을 들어 설명하였다. 전자는 지방지지(地方地誌)에, 후자는 인문 지리적 총설에 해당한다. 전반에서는 특히 [[사람]]과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중시한 지인상관론(地人相關論)을 설파했으며, 후자에서는 사람이 살 만한 곳으로 다음과 같은 입지조건을 들고 있다. 첫째 지리적 조건을 들었으며, 둘째 생리(生利)를 들었다. 셋째로는 인심을 들었으며, 넷째로 산수의 경치가 좋은 것을 들었다. 끝에 가서 해거(海居)·강거(江居)·계거(溪居)의 세 곳을 비교하여 말하였다.
이 책의 내용은 대체로 전반의 〈팔도총론(八道總論)〉과 후반의 〈복거총론(卜居總論)〉의 2편으로 나누어진다. 〈팔도총론〉에는 조선 전토를 팔도로 나누어 그 지방의 지역성을 출신 인물과 결부시켜 밝혔고, 〈복거총론〉에는 살 만한 곳을 입지조건을 들어 설명하였다. 전자는 지방지지(地方地誌)에, 후자는 인문 지리적 총설에 해당한다. 전반에서는 특히 [[사람]]과 [[자연환경]]과의 관계를 중시한 지인상관론(地人相關論)을 설파했으며, 후자에서는 사람이 살 만한 곳으로 다음과 같은 입지조건을 들고 있다. 첫째 지리적 조건을 들었으며, 둘째 생리(生利)를 들었다. 셋째로는 인심을 들었으며, 넷째로 산수의 경치가 좋은 것을 들었다. 끝에 가서 해거(海居)·강거(江居)·계거(溪居)의 세 곳을 비교하여 말하였다.

== 함께 보기 ==
* 택리지


== 주석 ==
== 주석 ==

2010년 2월 28일 (일) 02:52 판

택리지》(擇里志)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중환1751년(영조 27년)[1]에 저술한 인문 지리서이다. 팔역지(八域誌) · 팔역가거지(八域可居地) · 동국산수록(東國山水錄) · 동국총화록(東國總貨錄) · 형가승람(形家勝覽) · 팔도비밀지지(八道秘密地誌) 등 여러 이름으로 전해 오고 있다.[1] 어떤 지리적 요건을 갖춘 곳이 살기에 좋은 곳인지를 실학적 입장에서 저술하였다.

내용

이 책의 내용은 대체로 전반의 〈팔도총론(八道總論)〉과 후반의 〈복거총론(卜居總論)〉의 2편으로 나누어진다. 〈팔도총론〉에는 조선 전토를 팔도로 나누어 그 지방의 지역성을 출신 인물과 결부시켜 밝혔고, 〈복거총론〉에는 살 만한 곳을 입지조건을 들어 설명하였다. 전자는 지방지지(地方地誌)에, 후자는 인문 지리적 총설에 해당한다. 전반에서는 특히 사람자연환경과의 관계를 중시한 지인상관론(地人相關論)을 설파했으며, 후자에서는 사람이 살 만한 곳으로 다음과 같은 입지조건을 들고 있다. 첫째 지리적 조건을 들었으며, 둘째 생리(生利)를 들었다. 셋째로는 인심을 들었으며, 넷째로 산수의 경치가 좋은 것을 들었다. 끝에 가서 해거(海居)·강거(江居)·계거(溪居)의 세 곳을 비교하여 말하였다.

주석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