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rthur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simple:Tteok
6번째 줄: 6번째 줄:
==기원과 역사==
==기원과 역사==
[[File:Korean.Folk.Village-Minsokchon-25.jpg|thumb|장독대에 놓인 떡 시루]]
[[File:Korean.Folk.Village-Minsokchon-25.jpg|thumb|장독대에 놓인 떡 시루]]

농경이 시작되면서 사람들은 곡물을 맷돌에 갈아 시루에 쪄 먹었다. 즉 주식으로 밥보다 떡을 먼저 먹었다. 한국에서는 원삼국 시대에 사용된 토기 시루가 발견되었는데 솥이 발명되기 전에는 시루로 떡을 쪄 주식으로 먹었을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삼국시대 솥이 개발 되면서 떡은 주식의 자리를 밥에 넘겨 주었으나 제사를 지낼 때에는 계속 사용이 되었다. 농경 전에는 제사음식으로 가축을 잡아 사용을 했지만 농경이 시작한 후에는 노동력인 가축 대신에 떡을 사용하였다. 백설기와 시루떡은 한국의 유교식 제상이나 샤머니즘의 굿상에 중요한 제물로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ㅋㅋㅋ


==종류==
==종류==

2009년 12월 22일 (화) 15:57 판

다양한 색상의 떡

은 주로 멥쌀이나 찹쌀, 또는 다른 곡식을 쪄서 찧거나 가루 내어 쪄서 빚어 만든 음식을 통칭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는 쌀을 주재료로 사용하지만 감자 전분이나 기타 곡물을 이용하기도 하고 맛과 모양을 더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부재료들이 추가되기도 한다.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쌀을 주식으로 먹는 지역에서 발달하였다. 한국에서는 명절이나 관혼상제 같은 잔치나 축제 행사에 떡을 많이 지어 먹는다.

기원과 역사

장독대에 놓인 떡 시루

ㅋㅋㅋ

종류

재료와 만드는 방법에 따라 아주 많은 종류의 떡이 있다. 크게 만드는 방법으로 나누면 네가지 종류가 되는데, 시루떡과 같은 찐 떡, 인절미와 같은 친 떡, 진달래 화전같은 지진 떡, 경단과 같은 삶은 떡이다.

멥쌀로 긴 원통형으로 뽑아 만든 가래떡, 쌀가루를 시루에 쪄서 만든 시루떡, 찹쌀로 만든 찹쌀떡, 감가루를 넣은 감떡, 무지개 색으로 다채로운 색 층으로 만든 무지개떡, 반달 모양으로 속에 소를 넣어 만든 송편, 찹쌀떡에 고물을 묻혀 만든 인절미, 쑥을 넣은 쑥떡, , 보리 등의 잡곡의 겨, 찌끼를 버무려서 만든 개떡 등이 있다.

가래떡은 설날떡국에 넣어 먹고 송편은 추석 때 많이 빚어 먹는다.

시루떡

작은 시루떡

시루떡은 잡귀잡신을 물리치는 고사에 많이 쓰이는데 쌀을 곱게 가루를 내어 물에 반죽하여 체로 곱게 치고, 시루에 쌀가루와 팥고물을 켜켜로 놓아 안친 후, 시루 밑바닥과 맞물리는 시루 아랫 고리에 물을 붓고 김이 세지 않도록 밀가루로 시루번을 붙인다. 김이 오를 때까지 쪄내다. 고상상에 올려 놓을 때는 시루 째 가장 중앙에 올려 놓는다.

친 떡

떡 치는 모습

친 떡으로 떡살에 갖은 문양을 새긴 절편을 만들기도 하는데, 떡살은 나무나 사기로 만들어 꽃 문양, 줄무늬, 길상 문양을 새기는데 사용한다. 한국의 전통적인 무늬들이 나타난다. 단오에 만드는 수리치절편은 수레바퀴 모양의 떡살을 찍어 장수를 기원하였다. 섣달 그믐날 마당에서 떡을 치는 소리와 냄새는 새해를 알리는 모습이다.

화전

진달래 화전

화전은 기름에 지진 떡을 말하는데 진달래꽃, 배꽃, 국화꽃 등을 전병에 올려 놓고 지진다. 3월 삼짇날에 들판에서 화전을 만들어 먹는 화전놀이가 많았는데, 집안에만 갖혀 지내던 여자들이 봄 나들이를 할 수 있던 기회였다. 번철과 찹쌀만 있으면 간단히 만들어 먹을 수 있다.

경단

경단은 찹쌀 가루를 반죽하여 밤톨만한 구를 만들어 끓는 물에 삶아 낸 다음 고물을 묻혀 만드는데 반죽에 쑥을 넣기도 하고 고물로 꿀과 콩가루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 고물로 계핏가루, 깨, 잣, 팥, 석이채, 대추채, 밤채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돌이나 혼인과 같은 잔치 때 많이 먹고, 시간이 지나도 굳지 않아 부드럽다. 이바지 음식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다양한 고물로 예쁘게 색을 내기 쉽기 때문이다. 돌상에는 찰수수 경단에 팥고물을 묻힌 수수경단을 올려놓고 악귀를 물리치는 의미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떡과 한국의 문화

절기별 떡

정월 초하루에는 가래떡을 먹고, 초삼일에는 싱검초편, 삼색주악, 각색단자를 먹었다. 또한 보름에는 약식을 먹었다. 음력 2월 중화절은 노동이 시작하는 때로 노비들에게 나누어 주는 떡인 솔떡을 먹었다. 3월 삼짇날에는 부녀자들이 진달래로 화전을 지지며 화전놀이를 하였다. 8월 한가위에는 햅쌀로 송편을 빚고, 호박을 넣은 시루떡과 인절미, 밤단자, 토란단자를 만들어 먹었다. 10월에는 선산에 올라 햇곡식으로 고사떡을 만들어 제사를 지냈다.

굿상의 떡

굿을 할 때에 증편, 계면떡, 백설기, 거피팥떡, 화전, 주약, 싱검초편, 시루편, 군뱅이떡 등의 떡이 각각의 신령을 대표하여 상에 오른다. 증편과 백설기는 가장 높은 신령에게 바친다. 특히 증편은 신령에게 사람의 일을 보고하는 역할을 한다고 여긴다.

의례와 떡

아이의 돌상에는 백설기와 수수떡이 오른다. 백설기는 재앙을 막고 사람들로 관심을 받고자 100명에게 나누어 주었다. 수수떡은 귀신을 막아 준다고 여겨 반드시 아이에게 먹였다.

혼례와 장례에도 떡은 반드시 사용되었고, 이사를 하면 시루떡을 마련하여 이웃에게 돌리며 인사를 나누었다. 시집간 딸이 1~2년 지나 친정을 다녀갈 때나 시가로 다시 돌아갈 때 양쪽 집에서는 절편이나 인절미를 만들어 함께 보냈는데 이것을 '이바지 떡'이라고 불렀다.

떡값

한국 사회에서는 '떡값'이라며 명절에 떡을 해서 먹으라고 돈을 주고 받는 풍습이 있었는데 명절 때가 되면 아무리 돈이 없더라도 떡을 맞추어 차롓상에 올렸기 때문이다. 제3공화국에 보너스라는 것이 없었지만 명절에는 '효도비'라는 명목으로 소액의 돈을 모든 공무원에게 지급하였는데 이것을 떡값이라고도 불렀다. 또한 혼례나 이사와 같은 좋은 일에도 떡이 꼭 필요했는데 같은 부서 사람들이 조금씩 돈을 모아 부조하면서 떡값으로 쓰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좋은 의미가 퇴색되어 이해관계자에게 향후에 호의적 일처리를 간접적으로 부탁하는 뇌물로 떡값이라는 말이 사용되기도 한다.

퓨전떡과 떡카페

최근에는 떡이 적은 양을 섭취해도 포만감이 빠르며, 먹기가 간편해서 아침식사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떡 케이크와 같이 퓨전떡이 출현하고 있다. 그리고 예쁜 떡을 소포장 단위로 판매하고 현대적인 인테리어와 접목시킨 떡카페가 생겨나고 있다. 떡카페는 프랜차이즈 사업도 생겨났는데 떡보의 하루, 질시루, 미단, 동병상련, 종로떡방 등이 있다.

다른 나라의 비슷한 음식

떡과 비슷한 음식은 , 그 중에서도 찰기가 많은 쌀을 선호해서 주식으로 하는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공히 일반적이다.

중국어에는 예로부터 밀가루나 쌀가루 등 다양한 곡식 가루를 이용해서 만든 음식을 폭넓게 지칭하는 말이 있는데 빙()과 가오()가 바로 그것이다. 빙은 주로 납작하게 굽거나 지진 떡 종류를 가리키고 가오는 찧거나 찐 떡 종류를 가리킨다. 그 중에서 한국의 떡과 제일 유사한 음식은 니엔가오(粘糕; 年糕)를 들 수 있는데 이 음식은 찹쌀을 주재료로 하고 중국 설날에 즐겨 먹는다. 그밖에도 달 모양으로 둥글고 납작하게 만드는 월병(月饼 웨빙)은 중국 추석 때 즐겨 먹는다. 단오에는 '중쯔'라는 찹쌀에 대추, 밤, 고기 등을 넣어 댓잎이나 갈잎에 싸서 쪄낸 떡을 먹는다.

일본에는 한국의 떡과 비슷한 음식으로 모찌이이(餅飯; もち)가 있는데 이것은 주로 찹쌀을 이용해서 만든다. 일본에도 다양한 종류의 모치가 있다. 둥글게 경단처럼 만든 모치를 단고(団子; だんご)라고 부른다. 일본 사람들은 한국의 떡국처럼 1월 1일 신년 첫 날 모치를 넣어서 만든 조니(雑煮; ぞうに)라는 일본 전통 떡국을 먹는다. 일본에서 떡은 헤이안 시대에서 먹기 시작했는데, 떡이 복을 담고 있다고 여겨 제사 음식으로 사용한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