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 함수: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로봇이 더함: la:Continuitas (mathematica)
6번째 줄: 6번째 줄:
: 실수 집합의 한 부분집합에서 실수 집합으로 가는 함수 <math>f:X\sub\mathbb{R}\rightarrow\mathbb{R}</math>가 주어져 있다고 하자. <math>a\in X</math>이고, <math>\{x_n\}</math>가 <math>a</math>로 수렴하는 <math>X</math>의 임의의 수열이라 하자. 즉, <math>\lim_{n \to \infty} x_n = a</math>이다. 이 때, 만일 <math>\lim_{n \to \infty} f(x_n) = f(a)</math>를 만족할 때, <math>f</math>는 <math>a\in X</math>에서 연속이다. 또한, 만일 임의의 <math>a\in X</math>에 대하여 위 조건이 만족된다면, <math>f</math>는 <math>X</math>전체에서 연속함수가 된다.
: 실수 집합의 한 부분집합에서 실수 집합으로 가는 함수 <math>f:X\sub\mathbb{R}\rightarrow\mathbb{R}</math>가 주어져 있다고 하자. <math>a\in X</math>이고, <math>\{x_n\}</math>가 <math>a</math>로 수렴하는 <math>X</math>의 임의의 수열이라 하자. 즉, <math>\lim_{n \to \infty} x_n = a</math>이다. 이 때, 만일 <math>\lim_{n \to \infty} f(x_n) = f(a)</math>를 만족할 때, <math>f</math>는 <math>a\in X</math>에서 연속이다. 또한, 만일 임의의 <math>a\in X</math>에 대하여 위 조건이 만족된다면, <math>f</math>는 <math>X</math>전체에서 연속함수가 된다.


=== 엡실론-델타 정의 ===
=== 엡실론-델타 논법 ===
극한을 쓰지 않고 함수의 연속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극한을 쓰지 않고 함수의 연속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다시 말해, 실수 집합의 부분집합 ''A''와 ''B''에 대해, ''f'': ''A''→''B''가 ''c''∈''A''에서 연속이라는 것은 곧 모든 수 ''ε'' > 0에 대해 ''x'' ∈ ''A''이고 |''x''-''c''| < ''δ''이면 항상 |''f''(''x'')-''f''(''c'')| < ''ε''를 만족하는 ''δ'' > 0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실수 집합의 부분집합 ''A''와 ''B''에 대해, ''f'': ''A''→''B''가 ''c''∈''A''에서 연속이라는 것은 곧 모든 수 ''ε'' > 0에 대해 ''x'' ∈ ''A''이고 |''x''-''c''| < ''δ''이면 항상 |''f''(''x'')-''f''(''c'')| < ''ε''를 만족하는 ''δ'' > 0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엡실론]]-[[델타]] 정의는 [[오귀스탱 루이 코시]]가 처음으로 생각해 냈다.
[[엡실론-델타 논법]] [[오귀스탱 루이 코시]]가 처음으로 생각해 냈다.


== 좌연속성과 우연속성 ==
== 좌연속성과 우연속성 ==

2009년 11월 22일 (일) 19:05 판

연속 함수는 어떤 임의의 작은 입력값의 변화에 따른 결과값의 변화도 작은 함수를 말한다.

정의

하이네의 정의

다음은 에두아르트 하이네의 정의이다.

실수 집합의 한 부분집합에서 실수 집합으로 가는 함수 가 주어져 있다고 하자. 이고, 로 수렴하는 의 임의의 수열이라 하자. 즉, 이다. 이 때, 만일 를 만족할 때, 에서 연속이다. 또한, 만일 임의의 에 대하여 위 조건이 만족된다면, 전체에서 연속함수가 된다.

엡실론-델타 논법

극한을 쓰지 않고 함수의 연속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실수 집합에서 정의되는 함수 f와 정의역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 c가 있다고 가정하자. 다음 조건을 만족할 때 함수 fc에서 연속이다.

임의의 수 ε>0에 대해, 모든 cδ < x < c+δ에 속하는 x에 대해 f(c)−ε < f(x) < f(c)+ε을 만족하는 양수 δ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실수 집합의 부분집합 AB에 대해, f: ABcA에서 연속이라는 것은 곧 모든 수 ε > 0에 대해 xA이고 |x-c| < δ이면 항상 |f(x)-f(c)| < ε를 만족하는 δ > 0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엡실론-델타 논법오귀스탱 루이 코시가 처음으로 생각해 냈다.

좌연속성과 우연속성

함수 , 집합 와 실수 가 있다 하자.

1. 이면 가 점 에서 우연속(right-continuous)이라고 한다.

2. 이면 가 점 에서 좌연속(left-continuous)이라고 한다.

위상공간에서의 연속함수

연속함수에 대한 위의 정의는 위상공간들 사이의 함수에 대해 적용되도록 일반화할 수 있다. 함수 가 위상공간 에서 위상공간 로의 함수라 하자. 이때 임의의 열린 집합 에 대해 그 역상 열린 집합일 경우 를 연속함수라 한다.

연속함수의 대수

집합 이 있고, 에서 정의된 모든 연속인 실수값함수의 집합이라 하자.

함수 라 하면, 두 함수간 연산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는 임의의 실수
  • 는 정의역 내 어느 점에 대해서도 0이 아닌 함수이다.

함께 보기

틀:Link FA